제가 외국인이라 반말하는 건가요?

조회수 2020. 12. 28. 09:1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처음 보는 사람들도 바로 반말을 했다. 한국어 배우면서 반말이라는 것을 점차 깨닫게 되었다.
출처: JTBC 비정상회담

2015년부터 2019년 현재까지 다양한 언어교환 모임을 운영해왔다. 언어교환에 대해 짤막하게 설명을 하자면 외국인과 한국인이 모여서 서로의 언어를 가르쳐주고 문화를 교류하는 모임을 뜻한다. 유학생이 많은 대학교는 직접 운영하며 이를 사업으로 하는 회사도 있다. 나는 그런 종류의 회사에서 잠시 매니저로 일을 하다가 수원으로 돌아와 언어교환을 시작했다.


지난 4년 동안 한국인과 외국인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 교류와 감정들을 면밀히 관찰했다. 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중재하고 서로의 입장을 알려주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는 내가 겪었던 일들을 써보고자 한다.


모두가 나와 같은 것을 보고 느낀 것은 아닐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 글의 내용처럼 행동하고 생각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사람을 대하는 또 다른 방식을 제안해보고 싶었다. 그리고 한번 생각해 볼 것들을 나누고 싶었다. 외국인과 한국인을 동일하게 대해야 하지만 다르게 대해야 할 때도 분명히 있기 때문이다.

외국인이라 반말하는 건가요?


예전에 있던 일이다. 언어교환 모임이 끝나고 친구(흑인)랑 거리를 걸어가고 있었다. 맞은편에서 다가오던 한국인 4명이 갑자기 친구에게 다가왔다. 그러더니 “Hey! What's up, bro! 흑형! 밥은 먹었어? 엉?”이라며 하이파이브를 시도했다. 우리는 당황한 채로 멍하니 서 있었다. 정신을 차리고 “실례지만 제 친구랑 아는 사이인가요?”라고 물었다.


그 사람들은 차례로 나에게 “안녕하세요”라며 고개를 숙여 인사하더니 “처음 뵙겠습니다. 저는 외국인 친구를 사귀고 싶어서 이 사람에게 접근을 했어요”라며 말을 높였다. 그러면서도 내 친구에게는 계속 반말로 “한국 김치 알아 김치? 싸이 알아?”라며 말을 걸었다. 우리는 그냥 갈 길 가겠다고 빠져나왔다. 내 친구는 길거리에서 갑자기 모르는 한국 사람이 다짜고짜 반말하는 것에 언짢아했다.


다른 언어교환 모임에서도 한국 사람들이 외국인에게 다짜고짜 반말하는 모습을 본 적 있다. 이 이야기를 다른 친구에게 하니 내 친구도 모르는 한국 사람이 다짜고짜 자신에게 반말한 적 있다고 했다. 이런 경우가 실제로도 흔하게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인터넷에서 검색을 해보고 카카오톡과 페이스북으로 외국인 친구들에게 질문했다.

출처: JTBC 비정상회담
출처: JTBC 비정상회담

실제로 외국인이라고 반말을 들어야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는 적지 않게 기사화돼 있었다.


“외국인이라고 아무런 설명 없이 반말을 해대는 공무원에게 주눅이 든 린다는 혹시 잘못 보이지나 않을까 하는 두려움을 안고 돌아서야 했다.” (오마이뉴스)


“초창기엔 우리도 이 친구들 많이 무시하고 ‘밥 먹었어?’라며 반말하고 그랬죠. 지금은 달라졌어요.” (경향신문)


“아직도 많은 한국인이 외국인이라면 반말하면서 무시하고 자기보다 낮은 사람 취급합니다. 노동자든 기혼여성이든 한국이 필요해서 온 외국인들이 많아요. 그들도 한국 사회를 움직이는 일원들이니 좀 더 이해하려는 마음을 갖고 평등하게 대해주면 좋겠습니다.” (한국일보)


“얼핏 보면 모습이 한국인 같아 처음 만난 사람들이 내게 존대를 했다가도, 어설픈 한국말을 듣고는 반말하며 하대할 때 인종차별을 느낀다.” (한겨레21)


“한국에서 대학 다닐 때는 처음 보는 사람들도 나에게 바로 반말했다. 한국어 배우면서 반말이라는 것을 점차 깨닫게 되었다.” (오마이뉴스)

[카카오톡과 페이스북을 통해 한 질문들]


* 질문 내용


1. 잘 모르는 한국 사람이 갑자기 반말한 적이 있나요? 혹은 아는 사람이 존댓말을 사용하다가 갑자기 반말한 경우도 있나요?


2. 그 사람이 반말한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3. 갑자기 반말 들었을 때 기분이 어떠셨나요?


4. 그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대처하셨나요?

모국어에 존댓말과 반말의 개념이 없었지만, 1명을 제외한 대다수 사람은 제대로 모르는 한국 사람이 자신에게 한국어로 반말을 하는 것이 불쾌하다고 답변했다. 또한, 위 신문 기사들과 인터뷰 내용을 종합해 보았을 때 그 사람들이 한국에서 반말을 들은 이유는 크게 3가지로 추정해볼 수 있었다.




1. 외국인에 대한 무시


- 반말은 친근한 사이나 손아랫사람에게 사용하는 말이다. 반말을 썼다는 이유로 사람들 간의 갈등과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고, 징계대상이 되기도 한다.


그만큼 반말은 친근한 사이가 아니거나 손윗사람이 아닌 경우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언어이다. 그렇기에 친하지도 않고 누가 손윗사람이고 아랫사람인지 정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다짜고짜 반말을 사용하는 것은 무시하는 행위라고밖에는 볼 수 없다.


반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 외국인들은 한국에서 주류가 아니니 무시하는 행동에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에 다짜고짜 반말을 사용하는 것은 분명 잘못된 행동이다. 한국어로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도 한국에서 주류집단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상대방을 존중해야 하는 건 당연하다.




2. 외국어는 존댓말과 반말이 없다는 사고방식


- 반말과 존댓말이 따로 구별되지 않은 언어는 분명히 있다. 그러나 그것은 외국어를 사용할 때에 상황이고 한국어를 그 외국어의 규칙에 따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어를 사용할 때는 한국어 예절을 따라야 하고 외국어를 사용할 때는 각 언어의 예절을 따르면 된다. 상대방의 모국어가 한국어가 아니어도 존댓말을 사용하는 것이 한국어 예의다.



3. 반말을 쓰면 더 친해질 수 있다는 생각


- 반말을 사용해 친밀도와 단결력을 도모하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사원부터 대표까지 반말을 사용하는 회사도 있고 반말만 사용하는 카페가 있다. 그러나 이는 특별한 상황과 규칙이 있는 경우에 가능한 일이지 그런 것도 없이 다짜고짜 반말하는 것은 부적절한 행동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외국인이든 한국인이든 한국어로 대화를 하면 한국어 예절을 그대로 따르는 것을 권고드린다. 처음 만날 때는 존댓말을 하는 것, 나이가 많다고 혹은 상대방이 외국인이고 한국어를 못 한다고 다짜고짜 반말하지 않는 것, 어느 정도 친분이 있지 않거나 상호 간의 동의가 없을 때는 존댓말을 사용하는 것, 존댓말을 할지 반말을 할지 결정하기 전까지는 존댓말을 사용하는 것 등 한국어 예절들을 그대로 지키면 된다. 만약 주변에 한국어를 배우는 친구가 있거나 언어교환 모임에 간다면 특히 이 점을 주의해줬으면 한다.


- 한 집단에 속한 한국인이 다짜고짜 외국인에게 반말하기 시작하면 다른 한국인들도 다 같이 외국인에게 반말하는 경향이 있다. 외국인에 반말을 써도 괜찮을 것이라는 생각이 쉽게 퍼져 나가기 때문이다. 그 외국인이 소외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상호 간의 동의 없이는 반말 사용을 삼가는 것을 추천한다.


- 존댓말과 반말의 개념이 없는 모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한국어의 존댓말과 반말을 배우는 것을 힘들어하며 대화할 때도 실수로 존댓말과 반말을 섞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중에서도 특히 다짜고짜 반말하거나 반말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 사람들의 환경을 살펴보면 반말을 사용하는 한국 사람들(자기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들 혹은 친구들)과 주로 교류한 까닭에 존댓말을 구사하는 데 다른 학습자들에 비해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존댓말을 충분히 익히지 않은 상태에서 반말만을 배우게 되니 그런 일이 생겼다. 반말을 사용하지 말라는 뜻은 아니지만, 그래도 존댓말을 정확히 배울 수 있도록 도와줬으면 한다.


- 외국인이라도 한국어 언어 예절을 무시하는 행동을 하면 잘못됐다고 확실하게 알려주는 것이 좋다. 예전에 다른 언어교환 모임에서 한 한국어 학습자(프랑스인)를 만났다. 그 사람은 한국이 좋아서 프랑스에 있는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전공하고 4년 동안 공부했으며 졸업 후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좀 더 배우고 싶어서 한국에 왔다고 했다. 내가 ‘그렇군요. 만나서 반갑습니다’라고 하자 나에게 ‘어 그래’라고 다짜고짜 반말했다. 내가 처음에 잘못 들은 줄 알고 ‘다시 한번 말씀해 주시겠어요?’라고 정중하게 물었다. 그랬더니 또다시 ‘어 그래라고 했어’라고 답변했다. 당혹스러웠다. 그래서 내가 한국에서는 처음 만날 때 다짜고짜 반말하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고 말해주었다.


하지만 그 사람은 4년 동안 대학교에서 그런 부분은 배워서 이미 알고 있으며 그냥 존댓말을 쓰기 귀찮아서 모든 사람에게 반말을 사용한다고 했다. 그래서 그 사람에게 당신이 말을 놓으라고 말한 적도 없는데 반말하는 건 예의가 아니다, 예의는 갖추고 말씀하시라고 부탁을 하니 존댓말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신기하게도 모임에 참가한 다른 한국 사람들은 저런 태도를 ‘외국인의 애교’로 생각했다. 실제로 ‘반말 쓰더라도 외국인이니까 이해해야 한다. 한국에서 한국어를 써주는 것만으로도 감사해야 한다’라는 말과 ‘한국말 하는 거 너무 신기해요. 한국어 너무 잘해요’라는 말을 반복했다.


언어 예절도 하나의 예절이며 그 예절을 무시하는 행동을 애교로 느끼거나 감사해야 할 이유는 없다. 오히려 알면서도 무시한 행동은 바로 잡아야 한다. 만일 친구나 주변 사람 중에 한국어 학습자가 있다면 ‘너는 외국인이니까 반말을 쓰더라도 한국인들이 넘어갈 거야’, ‘반말이라도 한국어를 쓰는 거 신기해’, ‘한국어를 써줘서 고마워’라는 말보다는 존댓말, 반말의 구분 혹은 한국어 예절을 무시하지 말고 정확히 배울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도와줬으면 한다.


내가 운영하는 모임에서도 앞서 이야기한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규칙을 정했다.


1) 한국어를 충분히 잘하는 경우가 아니면 존댓말을 사용한다. 존댓말과 반말의 개념이 정확히 잡히지 않았는데 반말만 집중적으로 배운다면 나중에 한국 사회에서 생활하면서 존댓말과 반말 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존댓말을 먼저 배워야 한다.


2) 나이가 많다고 다짜고짜 반말하지 않는다. 존댓말을 사용한다.


3) 충분히 친해져서 상호 간의 허락이 있기 전까지는 반말을 사용하지 않는다.


BY Korean Grammar Doctor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