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백종원은 왜 홍탁집 아들에게 분노할까?

조회수 2018. 11. 25. 11: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골목식당'이 쓰는 홍탁집 막장 드라마

한숨이 절로 나왔다. <백종원의 골목식당> 논란의 ‘홍탁집 아들’은 일주일 동안 달라진 게 없었다. 엄마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닭볶음탕을 조리할 수 있을 정도로 숙달하라는 백종원의 미션을 깔끔히 무시했다.


홍탁집 아들은 하루에 고작 한번 연습(이라고 하기 민망하지만)을 하다가 마지막 날이 돼서야 부랴부랴 움직였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셈이다. 엄마의 말로는 9번 연습을 했다고 했으나 아들 본인은 서른 번쯤 했다고 부풀렸다. 어설픈 거짓말은 곧 들통나게 마련이다. 더군다나 요리는 눈을 통해 그 숙달된 정도를 금세 확인 가능하다. 


닭 손질부터 어설펐다. 어쩔 줄 몰라하는 손이 안쓰러울 지경이었다. 백종원의 날카로운 눈매에 긴장한 탓이 아니라 그저 허술한 실력 때문이었다. 닭을 자르는 소리는 균일하지 않았고 잘린 닭들의 모양도 일정치 않았다. 세제와 설거짓거리가 있는 싱크대에서 닭을 씻는 기초적인 잘못도 저질렀다. 닭에 대한 공부도 부실해 내장을 빼지도 않은 채 조리를 시작하려 했다. 


그뿐인가. 냉장고 어디에 어떤 재료가 들어있는지 여전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였다. 그런 아들이 안타까웠는지 엄마는 계속해서 힌트를 주려 애썼고 백종원의 얼굴은 점점 어두워졌다. 요령과 벼락치기의 결말은 비참했다. 참다못한 백종원은 결국 폭발했다. 과연 이 드라마의 결말은 어떻게 끝날까.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은 최근 들어서 그 성격이 완전히 달라진 것처럼 보인다. 얼마 전까지 요식업 경영의 노하우와 요리 기술이 부족한 자영업자들에게 백종원표 솔루션을 제시하는 게 주된 스토리 라인이었다면 최근에는 장사에 대한 기본도 갖추지 못한 사장님들을 정신적으로 개조하고 심지어 문제적 인간들에 대한 ‘사람 만들기’ 프로젝트까지 나서고 있다. 이걸 솔루션의 범위가 넓어졌다고 봐야 할까?


갈등과 문제 해결이라는 드라마적 요소는 프로그램의 화제성을 높이고 시청률 상승에 기여했다. (5%대였던 평균 시청률은 7%대까지 높아졌다.) 재미를 본 제작진이 어느 순간 선을 넘어버렸는지도 모른다. 최근화로 올수록 이 프로그램은 점점 더 문제적 참가자를 섭외하고 점점 더 문제적 상황을 연출하는 데 골몰하는 듯 보였다. 


흥미로운 건 그럴수록 그 골치 아픈 난제를 해결하는 백종원의 능력과 권위가 더 빛나게 된다는 점이다. 히어로 영화로 비유하자면 최악의 빌런을 소환해 백종원의 영웅적 면모를 드러내는 식이다. 저 빌런들이 백종원의 교화를 받고 변해가다니. 웬만한 연속극보다 흥미진진하고 몰입도가 높다. 


이에 대해 위근우 칼럼니스트는 경향신문에서 ‘징벌 서사’라는 개념을 부여한 바 있다. 그는 “<백종원의 골목식당>의 장르는 징벌”이라면서 <백종원의 골목식당>이 “징벌적인 서사 및 쾌감에 대한 당위적 근거를 마련하는 대신 백종원이라는 존재의 권위로 알리바이를 대체했다”고 지적했다. 


같은 칼럼에서 그는 <백종원의 골목식당>이 백종원이 “아버지의 권위를 대행하는 형태”를 지속적으로 연출한다는 점 또한 꼬집었다. “<골목식당>에서 보여주는 백종원의 모습은 자신의 경험에 절대적 지위를 부여하고 복종을 요구하는 가부장적 모델과 크게 다르지 않다. 백종원의 솔루션은 컨설팅보다는 훈육에 가깝다. 그의 권위는 엄한 아버지의 모습으로 구현된다.”  


답답해하는 전문가의 이미지 속에 숨겨놓은, 엄한 벌을 내리려는 아버지를 발견한 것이다. 일리 있는 지적이라 생각하고 일정 부분 동의하지만 그렇다고 백종원의 솔루션 전체를 징벌의 개념에만 가두지는 않아도 될 테다. 


기본적으로 백종원이 요구하는 건 식당을 운영하는 데 반드시 갖춰야 할 기술과 노하우이며 이것이 매번 일방적으로 벌을 내리는 형태는 아니다. 전문가와 비전문가 사이의 컨설팅은 일정 부분 훈육적 성격을 띠기 마련이기도 하다. 돈까스 사장님을 대하는 백종원의 태도에는 존중이 담겨 있지 않던가. 


결국, 이것은 다시 섭외와 연출의 문제로 넘어간다. 위근우 칼럼니스트의 지적을 백종원에 대한 저격으로 받아들여 발끈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가 겨냥하고 있는 것 또한 <백종원의 골목식당> 제작진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일차적인 질문은 제작진에게로 향해야 한다.

제작진은 많고 많은 참가자 중에서 왜 굳이 홍탁집 아들(의 엄마)을 선발했을까? 결국 필요했던 건 드라마였을 테고 그것이 시청률에 도움이 된다면 일부분 막장적일수록 더 좋다는 (최소한) 암묵적인 합의가 있었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백종원의 해결책이 문제라고 덮어두고 비판할 수는 없지만, 제작진이 왜 자꾸 백종원의 영역도 아닌 지점에 백종원을 끼워 넣으려 하는지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백종원은 최선을 다하고 있다. 제작진도 그러리라는 걸 알고 있었을 게다. 하지만 이건 장기적으로 볼 때 유익한 방식은 아니다. 홍탁집 아들의 경우 어찌어찌 넘어간다고 하더라도 앞으로도 이런 식의 드라마를 계속 쓰게 된다면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농후하다. 


초심을 떠올리는 게 필요한 건 솔루션을 기다리는 자영업자들만이 아니다. <백종원의 골목식당> 제작진들도 프로그램을 처음 시작할 때의 마음가짐과 태도를 되새겨 봐야 하지 않을까. <백종원의 골목식당>이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나 <안녕하세요>는 아니지 않은가.

* 외부 필진 버락킴너의길을가라 님의 기고 글입니다.

<직썰 추천기사>

애견샵 강아지의 엄마는 어디 있을까?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