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참담한 자영업 현실 속 백종원의 의미

조회수 2018. 10. 12. 18:3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비판은 있지만 그의 노력을 과소평가할 순 없다.

2017년 한 해 신규 창업자 수는 128만 5,000명이었다. 2016년 122만 7,000명에 비해 4.7%가 증가한 숫자다. ‘자영업의 위기’라는 말이 식상한 상황인데도 여전히 창업은 늘고 있다. 이 현상의 기저에 깔린 창업주의 진심은 무엇일까? ‘가게를 차리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다’는 절박함일까, ‘남들은 망해도 내가 하면 다르다’는 믿음일까.  


요식업으로 범위를 좁혀 이야기를 해보자. 2017년 음식점 자영업의 폐업률은 91.9%였다. 물론, 이 공포스러운 통계는 정확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쓰인 ‘폐업률 90% 이상’은 10곳의 자영업 중에 9곳이 폐업했다는 뜻이 아니라 10곳이 문을 열 때 9곳이 문을 닫았다는 의미다. 그렇다 해도 엄청나게 많이 점포가 망하고 있다는 것은 변하지 않는 사실이다. 


다른 통계를 살펴보자. 대한민국 요식업의 2년 생존율은 42.3%(2015년 기준)다. 기준을 5년으로 늘리면 17.9%로 뚝 떨어진다. 그 생존율이라는 것도 지난 10일 방송된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의 분식집 사장님처럼 손님이 없어 가게를 내놓았으나 팔리지 않아 어쩔 수 없이 계속 장사를 하는 가게도 포함될 테니 다소 차이가 있다고 봐야 한다. 

단순히 숫자로 보면 피부에 와닿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신을 포함해 입사 동기가 10명 있다. 2년 후 6명으로 줄었다. 5년이 지나니 2명밖에 남지 않았다. 물론 그 2명에 당신이 포함될 거란 보장은 없다. 어떤 창업 전문가는 “요식업 창업은 폐업률이 높지만 그만큼 성공의 가능성도 높은 업종”이라고 했다는데 틀린 말은 아니더라도 이런 식으로 부추길 일은 아니란 생각이 든다. 


그래서일까. <백종원의 골목식당>은 여러모로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다. 실제로 백종원이 사람 여러 살렸다고 해도 과장이 아니다. 물론, 그가 자영업과 관련한 구조적인 문제들, 이를테면 경제 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자영업자의 수, 프랜차이즈의 경우 본사와의 갑을 관계에서 불합리한 관행, 임대료가 지나치게 높게 책정되면서 수익 구조가 무너지는 악순환 등을 해결할 순 없지만 말이다. 


다만, ‘장사의 신(神)’이라 불리는 그가 자신만의 노하우를 전수하고 요식업에 대한 이해를 높여줄 수는 있을 것이다. <백종원의 골목식당>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요식업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나 심층적인 고민 없이 단순히 의욕만으로 일단 가게부터 차리고 보는 경우가 허다하게 많기 때문이다. 충분한 숙련 기간을 거치지 않았으니 노하우가 있을 리 없고 결국 앞서 살펴봤던 참담한 통계의 주인공이 되고 만다. 

자신이 없어서 그만하려고요.
그러면 차라리 이 길에 들어오지 말았어야죠, 애초부터. 일단 들어왔으면 끝장을 봐야지. 식당 하면서 최후의 계산은 포기인데 가게를 그만하실 것까지 생각하신 분이 뭘 못하겠어요. 같이 노력하면 돼요. 들어올 땐 들어와도 나갈 땐 맘대로 못 나가요.
어디 가서 내가 배워가지고 오려면 몇 년이 걸리잖아요. 그걸 단축시켜 주시겠다는 얘기잖아요. 그럼 한번 죽기 살기로 배워봐야죠.

이러한 모습이 요식업 자영업자들의 ‘현실’일 것이다. 분식집 사장님을 보면서 조보아가 눈물을 흘렸던 건 그런 점에서 상징적이었다. 그래도 다행스러운 건 <백종원의 골목식당>이 일종의 교과서처럼 기능하고 있다는 점이다. 백종원이 대한민국의 모든 식당을 일일이 방문하며 솔루션을 제시할 수는 없지만, 열의가 있는 수많은 자영업자라면 분명 방송을 보면서 반면교사로 삼고 있을 것이다. 


물론, 백종원의 솔루션이 절대적인 기준은 아닐 것이다. 또, 백종원의 프랜차이즈 식당들이 골목에 우르르 진출하면서 골목상권의 생태계를 망가뜨렸다는 지적도 일리가 있다. 다만, 그의 이중성을 비난하기에 앞서 그가 자선사업가가 아니라는 점을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 이렇듯 백종원을 향한 여러 비판이 상존하지만, 그가 골목식당들을 살리기 위해 쏟는 노력마저 과소평가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 외부 필진 님의 기고 글입니다.

<직썰 추천기사>

밥만 축내던 그 취준생은 어떻게 취업에 성공했을까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