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는 정말 상투를 잡았나?

조회수 2020. 2. 12. 10:3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2019년 하반기에 접어들며 30대 매수 비중이 30%까지 증가했다.

부동산스나이퍼의 부동산 시장 저격 #31

현재는 12·16 대책으로 부동산 시장이 소강상태지만, 작년 한 해 동안 서울 아파트는 거래량과 시세가 동시에 회복하면서 추가 상승장을 연출했습니다. 이러한 상승세를 이끈 주역은 30대인데요. 전통적으로 시장의 매수 대기자인 50~60대는 2019년 증가하는 30대의 매수세를 두고 “어려서 모르고 상투를 잡았네”, 이제 너도, 나도 뛰어드니 아파트 투자를 접고 쉬어야 할 때라는 등의 부정적인 평가를 했습니다.

점점 늘어나는 30대 매수 비중

실제로 2019년 1년간 30대의 아파트 매수 비중을 살펴봐도 그 수치는 점점 늘고 있습니다.

출처: 직방
하반기에 접어들며 30대 매수 비중이 30%까지 증가했다.

2019년 상반기 20%대 중반 수준의 거래 비중을 보이던 30대는 6월 이후 추가 상승의 기미가 보이자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섰습니다. 7월 이후에는 평균적으로 전체 거래 중 30%가 넘는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30대가 이렇게 적극적으로 변하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상황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무려 18번이나 이루어진 정부의 규제에도 떨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서울 핵심지 아파트값, 계속해서 강화되는 대출 규제로 자금줄이 마르는 상황이 ‘더 오르면 영원히 내 집 마련을 못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불안감을 들게 하면서 30대의 매수를 부추긴 것으로 보입니다.

어디를 샀을까?

직장이 서울에 몰려 있는 30대는 어디를 택했을까요? 신도시는 분당이나 판교를 제외하고는 교통이 편리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편리함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이들 세대가 왕복 2~3시간의 출근길을 불사하고 주택을 구매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그렇다고 강남구 소재 아파트를 매수하자니 입지가 우수한 것은 맞지만 아무리 대출을 영혼까지 당겨도 LTV 40% / DTI 40% 하에서는 한계가 있죠. 때문에 다음으로 입지가 우수한 지역에 몰린 것으로 생각됩니다. 


출처: 직방
30대가 가장 많이 매수하는 지역은 강서구, 성동구, 영등포구이다.

자치구별로 30대들의 매수 비중을 알아보면 그 경향이 드러납니다. 매수 비중에 따라 서울 전체 25개 구를 1그룹, 2그룹, 3그룹으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1그룹은 30대가 20%대의 매수 비중을 드러낸 지역으로 강남/서초/양천, 강북/금천/중랑/노원입니다. 1그룹 내에서도 전자와 후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전자는 비싸서 포기한 것이고, 후자는 입지가 안 좋아서 포기한 것입니다.

출처: 직방
강남구의 평균 아파트값은 20.2억이다.

전자에 속하는 강남/서초/양천의 평균 아파트값은 각각 20.2억, 19.5억, 10.1억입니다. 사회에 진출한 지 얼마 안 되는 30대가 매수하기에는 상당히 벅찬 금액입니다. 반면, 전통적으로 동북부에 시세 상승 여력이 약하고 강남/종로 등 업무 지구와 접근성이 떨어지는 강북구 등은 투자 매력을 느끼지 못한 것이고요. 이러한 이유로 1그룹 지역의 매수 비중이 작았다고 판단됩니다.


2그룹은 광진/중/송파/강동/동대문/은평/종로/관악/성북/용산입니다. 30대가 30%대 초반의 매수 비중을 보이는데요. 이 지역들은 2호선을 중심으로 일부 안쪽으로, 일부 바깥쪽으로 있으며 지하철이 잘 발달한 지역입니다. 1그룹(강남/서초/양천 제외)보다 서울 중심부에 더 가까운 곳에 있는 아파트를 매수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3그룹은 동작/서대문/구로/마포/영등포/성동/강서입니다. 3그룹 지역에서는 30대 매수 비중이 은 30% 후반대에서 40%까지 나타납니다. 2그룹과 비슷하게 업무지구 근처의 지역들로 2호선 근처를 지나는 지역입니다. 여기에 가산디지털단지나 공덕 등 업무지구와의 뛰어난 접근성과 강남 3구 대비 상대적으로 착한 가격이 매수 비중을 높인 것 같습니다.

상투를 잡은 것일까?

출처: 직방
서울의 아파트값 3년 변동률은 위와 같다.

가격만 놓고 보면 작년에 아파트를 최초 구매한 것은 어느 정도 상투를 잡은 것이긴 합니다. 지난 3~4년 동안 가격이 많이 상승했기 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제야 집을 사는 것을 바보 같은 짓이라고 말할 만합니다.


하지만 30대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까요? 내 집을 마련을 하고, 아기도 낳고 키워야 하는 등 가정의 안정감이 중요하게 느껴지는 시기입니다. 전문 투자자가 아닌 이상 이미 상승한 가격보다 안정감을 더 높은 가치로 여긴다면 구매할 만합니다. 문제는 대출을 최대로 받아 매수한 경우 경기가 안 좋아지면 하우스푸어가 되지 않을까 하는 것인데요. 


지난 3년간 3억 대 아파트들은 5억이 되었고 5~6억 대 아파트들은 8~9억 대가 되었습니다. 대략 2000년대 중반이나 2010년대 준공된 서울 25평 아파트들은 2~3억 정도가 올랐습니다. 최근 늦어진 결혼 시기를 고려할 때 30대 중반 결혼하고 신혼부부가 되면, 결혼할 때 양가의 지원/축의금/저축액 등을 통해 4~5억 대 아파트는 살 여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2~3억 정도의 대출금 때문에 하우스 푸어가 될까요? 

출처: 직방
서울 신혼부부의 연소득은 6,447만 원이다.

전국의 신혼부부 평균 소득은 연간 5,223만 원이나, 서울은 이보다 123%가 더 높은 6,447만 원입니다. 연봉 6,500만 원이면 최소한 연 3,000만 원 정도는 저축이 가능하고 10년이면 3억을 모을 수 있습니다. 신혼부부가 자녀가 학교에 들어갈 때까지 최소 10년은 살 텐데 대출 2~3억은 큰 부담은 아닙니다. 더욱이 연차가 쌓이면 점차 연봉도 높아질 것이므로 그 부담은 더 줄어들겠죠.


30대가 상투를 잡았냐고요? 30대 수요자들은 입지가 우수한 지역을 사전에 학습하고 본인의 소득 수준과 미래 대출 상환계획을 따져가며, 감당 가능한 수준에서 주택을 구매한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 시기 측면에서 최고의 선택은 아닐 수 있지만, 주거의 안정성 측면에서 최선의 선택일 것 같네요.

글. 부동산 스나이퍼

(kostill@naver.com)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