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숙사 확충 반대, 월세는↑" 양심 없는 대학가 원룸 주인

조회수 2019. 3. 3. 10:00 수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아무불만대잔치⑤

양심 없는 대학가 원룸 건물주

‘아무불만대잔치(아불대)’는 20대가 겪고 있는 우리 사회의 불합리한 상황들을 20대가 직접 발굴·선정·취재해 보도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취재대행소 왱과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아불대 공모전을 통해 8개의 우수 콘텐츠를 선정했고 이를 8회에 걸쳐 보도합니다. 관련 영상은 유튜브 ‘취재대행소 왱’에서 볼 수 있습니다.

* 순서

①신입 채용에 왜 경력을 묻나요?

②왜 우린 ‘수강신청 전쟁’을 벌이나

③청년은 체감 못 하는 청년 일자리 예산

④탈출구 없는 청년 주거 빈곤

⑤양심 없는 대학가 원룸 건물주

⑥무한 경쟁 시대 “라이벌이 된 친구”

⑦“양보가 의무인가요?” 경로석 앞에 선 청년

⑧대학생 항변 “왜 성인요금 내야 하죠?”

“집은 허름한데 월세는 터무니없이 비싸요. 원룸 주인들이 학생들을 돈줄로만 보고 있는 것 같아요.”(22세 대학생 김필수씨)


“높은 등록금 때문에 알바에 허덕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원룸 주인들이 월세 올리고 대학 기숙사 확충도 막는 걸 보면 너무 속상합니다.”(23세 대학생 전효성씨)


“지방대에 다니는데 기숙사 정원이 턱없이 부족해 자취를 하고 있어요. 방값이 너무 비싸 부모님께 손 벌릴 수밖에 없는 현실이 너무 막막해요.”(24세 대학생 민경효씨)

부동산 중개업체 다방이 지난해 7월 조사한 서울 주요 대학가 원룸의 평균 월세가는 52만원이다. 청년들은 이 돈을 마련하려고 알바를 하거나 부모에게 손을 벌린다. 이게 힘들면 지옥고(지하방·옥탑방·고시원)에 떠밀린다. 통계청이 조사한 서울 시내 최저주거기준 미달률을 보면 관악구(37.6%, 서울대), 동작구(25.7%, 중앙·숭실대), 성북구(23.3%, 고려·국민·성신여대), 동대문구(23.2%, 경희·서울시립·한국외국어대) 등 주요 대학 밀집 지역이 특히 높다. 대학생 최민희(22)씨는 “투룸에 벽만 세워놓고 원룸처럼 꾸민 반지하방이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50만원”이라며 “양심없는 원룸업자를 보면 화가 나지만 학교를 다니려면 울며 겨자 먹기로 계약할 수밖에 없었다”고 토로했다.

일부 대학 주변 원룸 주인들은 계약 기간 동안의 월세를 한꺼번에 받는 이른바 ‘깔세’를 조건으로 방을 임대한다. 방학에 고향으로 내려가 방을 빼는 걸 막기 위해서다. 충북 제천 세명대, 강원 강릉 강릉원주대 강릉캠퍼스, 전북 익산 원광대 주변 원룸들은 대부분 이런 식으로 방을 내놓는다. 세명대 총학생회는 지난해 원룸 가격 인하를 촉구하는 ‘반딧불 시위’를 벌였다.

지방 출신 청년들은 아예 방 구하기를 포기하고 원거리 통학을 하기도 한다. 강원도 춘천에 사는 대학생 김동인(22)씨가 그렇다. 김씨는 집에서 서울 중구 학교까지 90㎞ 넘는 거리를 통학한다. 김씨는 “지방 학생들이 방을 두고 경쟁하다보니 월세 값이 감당하기 힘든 수준으로 올랐다”며 “매일 왕복 4시간을 길에다 버리는데 그 시간이 가장 아깝다”고 토로했다.

‘기숙사 입성’이 주거비 부담을 덜 수 있는 방안이지만 각 대학이 보유한 기숙사는 턱없이 부족하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4년제 일반대 185곳의 공시정보를 분석해 지난해 10월 발표한 자료를 보면, 분석 대상 대학의 평균 기숙사 수용률은 21.5%다. 땅값 비싼 서울의 대학 기숙사 수용률은 17.2%였다. 서울 4년제 대학에 다니는 현유진(21)씨는 낮은 기숙사 수용률의 피해를 봤다. 제주에서 나고 자랐지만 기숙사에 떨어져 불가피하게 자취를 하게 됐다. 현씨는 “먼 지방 출신은 기숙사에 못 들어가면 비싼 월세를 감당하는 것 외엔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학생들 사이에선 “기숙사 합격이 효도”라는 말까지 나온다. 기숙사는 대학이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교육 기본시설’이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 만드는 ‘지원시설’로 분류돼 있어 대학은 기숙사를 일정 규모 이상 갖춰야 할 의무가 없다.

학생들은 기숙사 확충을 요구하고 있지만 원룸업자들이 반대하는 경우가 많다. 고려대는 2013년 학교 부지에 11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기숙사를 지을 계획이지만 인근 주민들이 “1990년대부터 주민들이 써온 공원”이라며 막았다. 한양대는 2015년 1990명을 수용할 기숙사 설립계획을 발표했지만 주민 반대에 발목이 잡혀 아직까지 답보 상태고, 총신대 역시 인근 주민이 ‘환경 악화’를 이유로 기숙사 신축을 막았다.


일부 대학은 기숙사를 아예 학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지었다. 성균관대는 동대문과 창경궁 인근, 국민대는 미아뉴타운, 동덕여대는 종암동 주변에 기숙사를 건립했다. 대학생 최효빈(21)씨는 “학생들의 주거복지를 위해 대학에서 기숙사를 지으려고 해도 원룸 주인들의 반대로 못 짓는 경우가 있다”며 “임대사업자 생계보호를 위해 학생 주거복지는 침해받아도 되는 것이냐”고 지적했다.

20대들은 셰어하우스나 룸셰어, 하우스메이트 등 주거 공유 공간 확충을 대안으로 내놨다. 심규리(20)씨는 “정부가 주도적으로 셰어하우스나 기숙사 건립을 밀고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위생, 안전, 계약 등 문제가 될 수 있는 여지를 방지하기 위한 법적 장치나 기준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예 주거보조금을 지원해달라는 의견도 있다. 대학생 이재현(27)씨는 “정부가 청년 주거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원룸 공급 확충 등 다양한 정책을 냈지만, 실효성있는 건 하나도 없었다”며 “아예 원룸거주 청년들에게 직접적으로 돈을 주는 게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최지희 민달팽이유니온 위원장은 “방 구하는 게 익숙치 않은 학생들은 정보력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다”며 “자취방을 구해 본 학생과 함께 집을 보러 다니거나 정보를 공유하는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도 청년 주거난 해소를 위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취재·기사 작성=원수빈 정미라, 도움=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


🕵️‍♀️의뢰하세요, 취재합니다. 취재대행소왱

 👇 유튜브 구독하고 콘텐츠 받아보기 👇 

▼ 유튜브 구독하고 콘텐츠를 받아보기

👇

▼ 유튜브 구독하고 콘텐츠를 받아보기 ▼

👇

유튜브 구독하고 콘텐츠를 받아보기👇

▼ 유튜브 구독하고 콘텐츠를 받아보기👇

 

👇

유튜브 구독하고 콘텐츠를 받아보기👇

 유튜브 구독하고 콘텐츠를 받아보기👇

 

 👇 유튜브 구독하고 콘텐츠를 받아보기👇

 

👇 유튜브 구독하고 콘텐츠를 받아보기👇

 

 👇 유튜브 구독하고 콘텐츠를 받아보기 👇

 

 👇 유튜브 구독하고 콘텐츠 받아보기 👇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