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BTS를 유튜브에서 만난다?" 온라인 공연문화 전성시대!

조회수 2020. 5. 25. 09:48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코로나19로 기대했던 콘서트와 공연이 취소되어 아쉬우셨죠? 외출하기 조심스럽지만 문화예술은 포기할 수 없는 분을 위해 모니터와 휴대폰으로 즐기는 온라인 콘서트가 생겨나고 있어요. BTS의 방방콘부터 유튜브 오페라, 연극, 미사가 대표적이죠. 콘텐츠와 운영 구조까지 모두 바뀌어버린 공연문화, 우리는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해야 할까요?

공감 누리집 원문 기사 보러 가기


여러 온라인 플랫폼에서 온라인 콘서트 이어져

코로나19가 만든 풍경 가운데 가장 인상적인 것은 온라인 공연 문화예요. 음악 콘텐츠는 그야말로 매일같이 대단한 것을 보여주고 있어요. 유튜브 뿐만 아니예요. 네이버TV, 틱톡 등 다수의 동영상 플랫폼(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반 서비스)에서 코로나19 상황의 자가격리자들을 격려하기 위한 콘텐츠가 대거 쏟아졌어요.

▶ 방탄소년단의 유튜브 콘서트 (방방콘)

4월 18, 19일에 열린 방탄소년단의 유튜브 콘서트(방방콘)는 시작 30분 만에 글로벌 시청자 200만 명을 넘어섰어요. 방방콘은 ‘방에서 즐기는 방탄소년단 콘서트’로 이틀간 총 24시간 동안 방탄소년단의 지난 콘서트와 팬미팅 실황 8편을 무료로 공개하는 스트리밍(실시간 재생) 서비스였어요.

또 19일에는 레이디 가가와 세계보건기구 (WHO)가 함께 준비한 <원 월드: 투게더 앳 홈 (One World: Together at Home)>이라는 전대미문의 대규모 온라인 콘서트가 열렸어요.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의 피날레를 장식한 1984년의 <라이브 에이드>보다 큰 공연이었지만 참여한 110여 명의 아티스트는 모두 자신의 집이나 스튜디오에서 최소한의 편성으로 공연에 함께했어요.

한국에서는 슈퍼M이 함께했어요. 이 밖에 바로 지금도 여러 감동적인 순간, 그야말로 음악적 순간들이 벌어지고 있어요. 라디오헤드의 채널에서는 ‘레전설’로 불리던 온갖 콘서트가 고화질로 공개되고 있고, 핑크 플로이드도 25년 전의 <’94 펄스(Pulse)> 공연을 공개하면서 코로나19를 위한 기금 모금을 시작했어요.


오페라, 연극, 성당 미사까지 온라인 참여

▶ 베를린 필하모닉 누리집

온라인으로 콘서트만 볼 수 있는 것도 아니었어요. 오케스트라, 오페라, 연극 심지어 성당 미사까지 온라인으로 참여하거나 감상할 수 있어요. 넷플릭스는 경쟁사인 유튜브 채널에 처음으로 자사의 다큐멘터리를 무료로 공개하기도 했어요.

코로나19 상황으로 학교에 가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였어요. 3월 한 달 동안 베를린 필하모닉은 자사의 모든 공연 실황을 무료로 공개했고, 예술의전당도 유튜브에서 <발레 심청> <백건우 피아노 리사이틀> <발레 지젤> 등 여러 편의 공연 실황을 무료 스트리밍으로 제공했어요.

지난 주말에는 <오페라의 유령> 25주년 기념으로 로열 앨버트홀의 공연 실황이 재생되기도 했어요. 제작진은 출연진의 합창 콘텐츠를 올리면 서 ‘월드 투어’라고 불렀어요. 세종문화회관에서는 빌리 카터, 아도이, DTSQ 같은 라이브로 유명한 밴드들을 후원하면서 <힘내라 콘서트(힘콘)>라는 ‘무관객 스트리밍 콘서트’를 열었어요.

▶ <오페라의 유령> 25주년 로열 앨버트홀 공연 실황

이 모든 것이 새롭게 등장한 공연 문화처럼 보여요. 여기서 생각해볼 만한 이슈가 두 개 정도 있을 것 같어요. 하나는, 지난 칼럼에도 썼듯 앞으로 음악 사업(비즈니스)에서 플랫폼의 영향력이 더 커질 것이라는 점이예요. 이번 세계적 유행(팬데믹) 사태에서 인스타그램과 유튜브는 사실 상 매우 가볍고 효과적인 라이브 도구(툴)라는걸 증명했어요.

그 덕분에 얼마 전 페이스북에서는 스트리밍 방송 중에 기부 기능을 추가하기로 결정했어요. ‘스타’라는 팁 기능은 아프리카TV의 ‘별풍선’이나 유튜브의 ‘슈퍼챗’처럼 현금을 기부할 수 있어요. 앞으로 플랫폼은 음악 공연의 기본값이 될거예요.

또 하나 생각해볼 만한 것은 바로 ‘채팅’(통신대화)이예요. 앞서 언급한 모든 공연 가운데 가장 인상적인 것이 실시간 채팅이예요. 오프라인 공연과 온라인 공연의 핵심적인 차이도 여기에 있어요. 실시간으로 관람객들과 나누는 채팅이 공연의 몰입도를 해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동시에 소속감과 결속력을 강화해요. 이렇게 되면 공연 문화가 달라질 수도 있어요.

특히 ‘실시간 채팅’은 오프라인 공연을 온라인으로 봐야 하는 이유가 될 수 있어요. 드라마를 보면서 수다를 떠는 것처럼, 공연을 보며 낯선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고 또한 거기에 유머·농담과 감상 포인트가 들어가면, 우리가 이전에 경험한 공연과 상당히 다른 질감의 문화를 발견할수 있을 거예요.


비대면 접촉 시대의 콘서트 수익 구조는?

마지막으로 이렇게 온라인 공연이 기본값처럼 자리 잡을 때, 그러니까 공연이 콘텐츠화될때 수익과 분배 구조에 대한 이슈가 발생할 수도 있을 거예요. ‘박수 대신 댓글이 움직이는 공연’ 시대에 콘서트의 수익 구조는 어떻게 만들어질수 있을까요?

보통 음악가들의 공연 수익은 티켓 판매, 현장 굿즈(팬 상품) 판매, 그리고 광고 수익으로 발생해요. 적게는 1만 원에서 많게는 10만 원에 이르는 티켓 가격은 보통 공연장의 대관료나 함께 출연하는 스태프의 비용으로 정산되므로 음악가들의 실제 수입 영역이라고 하기 어려워요.

대신 티셔츠, 음반 및 여러 굿즈 등 부가 수익은 고스란히 음악가의 수익이예요. 아이돌 그룹도 그렇고, 인디 밴드도 마찬가지예요. 그래서 열성 팬(팬덤)이 중요해지는데, 이 팬들이 온라인으로 지불할 가능성이 얼마나 될지는 몰라요. 굿즈는 손에 잡히고, 그것이 나의 소유가 되므로 지불 가능성을 높이지만 디지털 콘텐츠는 나의 것이라 하기 애매하기에 지불 가능성이 낮아져요.

코로나19는 콘텐츠 산업에서 전대미문의 구조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앞서 언급한 이슈들은 우리가 앞으로 종종 만나게 될 문제예요. 콘텐츠로 먹고살아야 하는 입장에서 나조차 그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지 고민되요. 어느 때보다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희망적으로 실천해야할 때가 아닌가 싶어요.

ⓒ 차우진 음악평론가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