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로 선정된 섬은 어디?!

조회수 2020. 4. 20. 10:07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모든 것이 빠르게 변하는 2020년, 한 번쯤은 뒤를 돌아보며 가끔은 느릿느릿한 몸과 마음과 함께, 느긋하게 힐링하고 싶은 어딘가를 찾고 싶으신가요?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로 선정된 '청산도'를 랜선여행으로 소개해드릴게요.


코로나바이러스가 사라지면 찾아가고 싶은 곳으로 저장!

공감 누리집 원문 기사 보러 가기


느림의 미학이라니? 느림은 행복이라니?

자본주의에서 느림은 패배에요. 속도 경쟁에서 이겨야 살아요. 남보다 빨라야 경쟁에서 이길 수 있어요. 그래서 빠름은 미덕이었어요. 빠름은 행복이었어요. 빠름은 선망의 대상이었어요. 어릴 때부터 선착순과 선행학습에 내몰렸어요. 그래서 빠름이 몸에 배었어요. 그런데 언젠가부터 느림이 행복이고, 느림의 미학이라는 반자본주의적 구호가 동경의 대상이 됐어요. 어느덧 슬며시 느림이 빠름을 앞지르는 시대가 됐어요.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작가 밀란 쿤데라는 소설 <느림>에서 오토바이 탄 인간과 달리는 인간의 차이를 이렇게 설명해요. “속도는 기술 혁명이 인간에게 선사한 엑스터시의 형태다. 오토바이를 타고 가는 사람과는 달리 뛰어가는 사람은 언제나 자신의 육체 속에 있으며, 끊임없이 발바닥의 물집, 가쁜 호흡을 생각할 수밖에 없다. 뛰고 있을 때 그는 자신의 체중, 자신의 나이를 느끼며 어느 때보다도 자신과 자기 인생의 시간을 의식한다. 인간이 기계에 속도의 능력을 위임하고 나자 모든 것이 변한다. 이때부터 그의 고유한 육체는 관심 밖에 있게 되고, 그는 비신체적·비물질적 속도, 순수한 속도, 속도 그 자체, 속도 엑스터시에 몰입한다.” 속도 엑스터시(황홀감)와 느림 가운데 무엇을 선택할까요?


13년 전 아시아 최초의 슬로시티로 선정

느림을 느끼고 싶었어요. 천천히 걷고, 천천히 숨을 쉬고, 천천히 생각할 수 있는 공간을 찾았어요. 그래서 전남 완도군에 위치한 청산도에 갔어요. 물론 13년 전 아시아 최초의 슬로시티(‘느리고 풍요로운 삶’을 지키는 마을)로 선정된 청산도에 간다고 느림의 행복을 저절로 느낄 수는 없을 거예요. 영화 <서편제> 촬영 장소로 유명한 청산도에 간다고 진도아리랑의 깊은 맛을 그냥 느낄 수 없을 거예요. 온통 푸른 자연이라 청산(靑山)도라고 이름 붙여졌고, 옛날엔 신선이 산다고 선산(仙山)으로 불린 섬에 간다고 해서 하루아침에 자연인이 될 수 없을 거예요.

사실 서울에서 1박 2일 시간을 내서 청산도에 간다고 해도 느림의 미학보다는 바쁨의 엑스터시를 벗어나기 어려워요. 서울에서 고속버스로 전남 완도까지 5시간 걸려요. 완도에서 배를 타고 50분. 서울에서 아침에 떠나도 저녁 해질 때쯤 청산도 숙소에 짐을 풀 수 있어요. 한두 곳 바삐 둘러보고, 저녁 먹고 피곤한 몸을 뉘여요. 다음날 서울 가려면 낮에는 출발해야 해요. 오전 한나절 겨우 청산도를 볼 수 있으니 어찌 깊숙하게 느림의 미학이니, 느림의 행복을 느낄 수 있을까요. 하지만 포기는 하지 않아요. 청산도는 무언가 느림의 즐거움을 도시인들에게 줄 수 있을 것 같았어요.

▶ 청산도의 봄은 유채꽃의 향연이다. '여유로움과 느림'을 느끼며 천천히 걸어본다.

3월 24일, 청산도에 도착해 처음 간 곳은 상서마을이에요. 돌담장길로 유명해요. 바람이 거센 섬의 돌담은 육지의 담과는 달리 흙을 넣지 않고 돌만으로 쌓아요. 강담이라고 부르는데 구멍이 숭숭해 허술해 보여요. 과거 새마을운동의 결과로 돌담장은 헐려 나갔어요. 돌담장 대신 쌓기 시작한 시멘트 담벼락은 오래지 않아 낡고 허물어져요. 하지만 섬들의 돌담은 수백 년이 지나도 견고해요. 이유는 역설적으로 바람을 막기 위해 돌담장을 쌓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쌓은 돌 사이에 흙이 없어 그 공간으로 바람이 분산돼 통과해요. 꽉 막지 않고 통과시켰기에 오랜 세월 무너지지 않았어요. 섬사람들과 거센 바람이 맺은 평화협정인 셈이에요. 크고 작은 돌멩이들이 때로는 위태롭게, 때로는 단단하게 서로를 붙잡고 있어요.

돌담 사이를 지나며 존재를 뽐내는 바람 돌담장에는 하늘초와 맥문동, 노랑하늘타리 등의 식물이 한 가족처럼 붙어 있어 켜켜이 쌓인 세월을 그대로 느낄 수 있어요. 돌담 사이를 천천히 걸어봐요. 소리가 들려요. 바람 소리에요. 바람은 눈에 보이지 않아요. 허공을 지나치는 바람은 소리도 없어요. 하지만 돌담 사이의 구멍을 스치며 바람은 소리를 내요. 돌 사이를 지나며 스스로의 존재를 나타내요. <장자>는 바람을 ‘땅덩어리가 뿜어내는 숨결’이라고 표현했어요.

바람은 일어나지 않을 때는 고요하지만 한번 일어나면 온갖 구멍이 소리를 질러댄다.
그러다 바람이 멈추면 뭇 구멍들이 모두 고요해진다.

돌담 사이를 스치는 바람 소리를 들으며 느림의 행복을 조금이나마 느껴봐요. 다행이에요. 느림의 기쁨이에요. 저녁을 앞두고 이웃집 노인에게 맛있는 찬거리를 나눠주기 위해 대문을 나와 돌담길을 걷는 허리 구부정한 할머니의 느린 발걸음이 정겨워요. 이방인을 별로 의식하지 않아요.

▶ 청산도의 상징인 돌담마을 골목길. 바람을 막지 않고 통과시켜 바람과 인간, 돌담이 오랜 시간 공존한다.

상서마을에는 이름도 생소한 구들장 논이 있어요. 산비탈에 돌로 축대를 쌓아 평지를 만들고 논바닥에 구들돌같이 넓적한 돌을 깔고 개흙칠을 해서 방수 처리를 했어요. 그 위에 흙을 덮어 물을 가두고 논을 만들었어요. ‘청산도 큰애기 쌀 서 말도 못 먹어보고 시집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척박한 섬이었어요. 그렇게 돌이 많은 땅을 구들장 놓듯 가꾸어 논농사를 한 것이에요. 절박한 몸부림이에요. 방에 온기를 유지시키는 구들장이 청산도에는 먹거리를 공급해 주었어요. 


저녁을 먹고 숙소로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고개를 들어 하늘을 봤어요. 북두칠성이 선명해요. 카시오페아자리도, 사자자리도 눈에 확 들어와요. 하늘이 별로 뒤덮였어요. 내친김에 길에 길게 누웠어요. 문득 ‘忙(바쁠 망)’자를 떠올려요. 마음을 잃어버리면 바빠져요. 느리지만 마음은 잃어버리면 안 돼요. 눈을 감고 소리를 들어요. 풀벌레 소리, 바닷바람 소리, 유성 떨어지는 소리…. 나는 누구일까요.


11코스 17개 길로 구성된 ‘슬로길’

과거 청산도는 고등어 파시로 유명했어요. 파시(波市)는 바다 위의 시장이에요. 어류를 거래하기 위해 열리던 해상 시장이에요.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부터 해마다 6월부터 8월까지 청산도 도청리 포구에 파시가 섰어요. 크고 작은 배 수백 척이 드나들었어요. 하지만 1960년대 중반 고등어가 고갈되면서 고등어 파시는 막을 내렸어요. 물고기 떼가 사라지자 어선도, 사람도 떠났어요. 섬사람들은 전복이나 김, 미역 등을 양식하며 살아가요.

이튿날 청산도의 슬로길을 본격적으로 맛보기 위해 길을 나섰어요. 청산도 슬로길은 11코스 17개의 길로 구성돼요. 전체 구간이 마라톤 풀코스와 같은 42km에 이르러요. 시간상 1코스만 보기로 했어요. 욕심을 버리니 마음이 편해져요. 되도록 천천히 걸었어요. 슬로길 1코스에는 <서편제>를 촬영한 서편제 길이 나와요. <서편제> 주인공 유봉과 송화, 동호 세 사람이 진도아리랑을 구성지게 부르며 돌담길을 내려오는 장면이 5분간 롱테이크(1~2분 이상의 숏이 편집 없이 길게 진행되는 방식)로 촬영됐어요. 반가웠어요. 촬영 세트장으로 만들었던 초가집은 막걸리를 파는 주막으로 바뀌어 영화의 추억을 떠오르게 해요. 이곳에서는 마침 만개한 유채꽃과 바다가 한눈에 들어와요. 푸른색과 노란색이 현란하게 교차해요.


화창한 날씨에 꽃처럼 일렁이는 파도 ‘화랑포’

서편제길 한쪽에는 당집이 있어요. 통일신라시대 청해진 장보고 대사의 신하였던 한내구 장군을 신으로 모셔요. 한 장군이 청산도를 지키다가 늙어 죽자, 섬 주민들은 돌무덤을 만들어 그 옆에 당집을 짓고 수호신으로 모셨다고 해요.

천천히 걷다 보니 초분(草墳)이 눈에 띄어요. 땅속에 묻히지 못하고 땅 위에 망자를 모셨어요. 볏짚으로 이엉을 엮어 망자의 관을 덮어 놓았다가 3~5년 뒤 뼈를 수습해 매장해요. 명절 기간에 상이 나거나 상주가 바다에 나가 있는 동안 상이 나면 임시로 초분을 했다 가정식으로 매장한다고 하는데 풍장(風葬)이라고 해요. 삶과 죽음의 경계가 마치 수평선의 바다와 하늘의 경계처럼 모호하게 느껴져요. 숨을 천천히 쉬며 다시 걸어요. 화랑포 전망대가 나와요. 화창한 날씨에 바라다보이는 앞바다의 파도가 마치 꽃처럼 보인다 하여 화랑포(花浪浦)라 부른다. 절벽에 부딪히는 파도가 눈부셔요.

ⓒ 이길우_칼럼니스트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