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도 모르겠는 공공용어, 알기 쉽게 바꾸면?

조회수 2020. 3. 18. 10:13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해커톤, 거버넌스, 팸투어, MOU... 우리가 의식하지 않고 쓰는 말들이죠? 하지만 정확한 의미를 물으면 막상 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누구나 한 번 보면 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공공용어가 더 쉬워져요! 국민 눈높이 공공용어 어떻게 바뀌었는지 모두 주목!

공감 누리집 원문 기사 보러 가기


국민이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게 공공용어에 대한 개선 필요

위의 소개 글에 나온 용어들 같이, 공공용어 로 사용하는 이런 말들은 일반 국민 10명 중 7명은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한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어요.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은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2016∼2018년 중앙행정기관 보도자료와 정부 업무보고 자료에서 쓰인 공공용어 140개 이해도를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69.3%인 97개가 3점 미만이었다고 밝혔어요. 이해도 3점 미만이면 사용자가 의미를 잘 모르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국립국어원은 설명했어요.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같은 조사에서는 140개 중 57.9%인 81개가 3점 미만으로 나타났어요. 이번 조사는 일반 국민 1000명과 공무원 102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됐어요. 공공용어란 공문서 등에 사용되는 행정용어, 정책용어 등을 말해요.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공무원도 모르는 말로 표현된 정책에서 좋은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라며 “공공용어 개선을 위해서는 중앙행정기관을 비롯한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라고 지적했어요.

▶로마자 (영어) 로만 표기하거나 로마자의 첫 글자만 따서 만든 용어는 어렵습니다. 외국 문자인 로마자는 우리말 표현으로 바꾸거나 적어도 우리글인 한글로 표기해야 합니다.

일반 국민과 공무원 모두 한자어의 경우 오래전부터 쓰였지만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없는 용어를, 외래어는 최근 들어 쓰이기 시작한 용어를 대체로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로마자로만 이루어진 용어도 ‘GDP’ 정도를 제외하고 일반 국민과 공무원 모두 어렵게 여겼어요.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로마자만 쓰는 것은 한글 전용의 원칙을 규정한 국어기본법 위반이기도 하다"라며 “국민 소통의 측면뿐만 아니라 법을 지킨다는 차원에서도 꼭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예규’ ‘리플릿’ ‘이첩’ ‘MOU’ 등은 공무원에게는 상대적으로 친숙하나 일반 국민은 어려워하는 것으로 조사됐어요. 일반 국민에게 공개되는 공문서를 쓸 때는 국민이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찾아 쓰고, 때로는 새로운 말로 다듬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와요.


정책의 취지를 모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친숙한 용어로 만들어야

한편 공무원을 대상으로 정책 용어(새로 추진하는 정책에 붙인 고유한 사업명) 13개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스마트 워크, 오픈 캠퍼스, 스마트 팜 혁신 밸리, 메이커 교육, 법률 홈닥터, 월드 클래스 300, 비즈쿨, 디지털 원 패스, K-Move 스쿨, YES FTA, 혁신 창업 클러스터’ 등 11개 용어의 뜻에 대해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이 나왔어요. ‘임금 피크제’와 ‘스마트 시티’만 이해도 3점을 겨우 넘겼을 뿐이에요.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조사 결과 많은 정책 용어가 일반 국민뿐 아니라 일선 공무원에게도 제대로 전달이 안 되는 상황임을 알 수 있다"라며 “정책 용어를 만들 때는 정책의 취지를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친숙한 용어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어요.

▶공공용어에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말이 포함되어 있으면 어렵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공문서를 작성할 때 해당 외국어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말인지 점검해보아야 합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stdict.korean.go.kr)

소강춘 국립국어원장은 “공공용어가 쉬워지면 국민이 정책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데 들이는 시간과 노력도 그만큼 줄어든다"라며 공무원들이 솔선수범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공공용어를 사용할 것을 당부했어요. 


국립국어원은 쉬운 공공용어 사용에 도움이 되는 공공용어 점검표 등을 만들어 공공기관에 보급할 예정이에요.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