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화를 그려온 화가가 꽃 그림을 그린다면?

조회수 2021. 3. 9. 20:43 수정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세상의 모든 화가는 단 한 사람도 예외 없이 두 가지 주제의 그림을 그렸을 거예요. 하나는 자화상이고 나머지 하나는 꽃 그림이에요. 이 둘을 자유자재 능숙하게 활용하는 화가가 안창홍입니다."


화가 안창홍은 미술계에서 아주 각별한 존재라고 하는데요. 어떤 특별한 능력이 있는 걸까요? 이준희 건국대 현대미술학과 겸임교수와 함께 살펴봐요!


봄은 꽃이에요. 꽃 소식으로 봄은 시작돼요. 봄꽃 소식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아래부터 위로 올라옵니다. 가을 단풍은 반대예요. 북에서 남으로, 위부터 아래로 내려가요. 단풍이 망원경이라면 봄꽃은 현미경 같아요. 멀리서 넓게 조망해야 만끽할 수 있는 단풍과 달리 봄꽃은 가까이에서 들여다봐야 제맛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죠.


봄꽃은 앞다퉈 차례로 핍니다. 눈 속에서 꽃망울을 터뜨린다는 복수초를 시작으로 유채, 수선화, 산수유, 매화, 개나리, 진달래, 벚꽃까지예요.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문턱에 피는 라일락은 쉼표 같아요. 5월 중순 무렵, 어스름한 초저녁 가벼운 바람결에 실려 오는 라일락 향기는 여름을 알리는 전령입니다. 아무쪼록 하루빨리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되는 일상이 회복되길…. 그래야 시시각각 피어나는 꽃향기를 코끝으로 체감할 수 있을 테니까요.


동서고금 가릴 것 없이 수많은 예술가가 꽃을 소재로 다뤄왔습니다. 특히 색채를 다루는 화가에게 꽃은 매력적인 대상이 아닐 수 없죠. 세상의 모든 화가는 단 한 사람도 예외 없이 두 가지 주제의 그림을 그렸을 거예요. 하나는 자화상이고 나머지 하나는 꽃 그림이에요.

▶안창홍, ‘자화상’, 종이에 아크릴물감, 1002×70cm, 1998년

단언컨대 자화상을 그리지 않은 화가는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꽃을 한 번쯤 그려보지 않은 화가 역시 없을 거예요. 화가가 자화상을 그리는 이유는 명확해요.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기 위함이에요. 그리고 꽃 그림은 자연에 대한 감흥을 표출하는 방식이죠.


자화상은 자신에 대한 내밀한 표현이라면 꽃 그림은 세상을 조망하는 일이에요. 그러니 반복해 비유하자면 자화상은 현미경이고, 꽃 그림은 망원경과 같아요. 이 둘을 자유자재 능숙하게 활용하는 화가가 안창홍입니다.

형상미술의 독보적 대표 작가

안창홍은 우리 미술계에서 아주 각별한 존재예요. 그는 누구보다도 자유로운 영혼과 확고한 작품 세계를 지닌 작가입니다. 지난 50여 년간 보여준 이력이 이를 증명해요. 안창홍은 지금까지 어떠한 제도나 틀에 얽매이지 않았어요. 자존심을 지켜오며 오직 화가로서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구축해왔죠. 그것은 마치 묵묵히 수행해온 구도자의 자세와 다르지 않아요.


1953년 밀양에서 태어난 안창홍은 미술대학을 나오지 않았습니다. 스스로 정규교육을 거부한 것이죠. 어릴 때 독학으로 미술 공부를 했는데요. 학벌과 인맥을 중시하는 미술계에서 이런 성장 배경은 작가에게 단점이 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이런 약점은 반대로 어떤 작가보다도 큰 장점이기도 해요. 제도화된 미술교육은 화가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옭매는 역기능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안창홍이 이룬 성과는 독보적이고 그 정서는 매우 한국적이에요.

▶안창홍, ‘가족사진’, 종이에 색연필, 76.2×114cm, 1981년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다’라는 식상한 명제가 아니더라도 그의 작품은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차별되는 독창성을 보여줍니다. 안창홍은 오랫동안 인물화에 천착했어요. 그림에 등장하는 인물은 근현대사에서 주목받지 못한 소외된 사람들이에요. 특히 자화상과 ‘가족사진’을 많이 그렸어요.


이런 배경엔 질곡 많은 가족사가 자리 잡고 있어요. 우리 사회의 현실이 반영된 그의 인물화는 ‘시대의 초상화’이기도 해요. 안창홍은 1980년대 민중미술을 상징하는 대표적 미술 그룹 ‘현실과 발언’ 멤버였지만 거기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작품의 영역을 넓혔어요. 젊은 시절, 부산 지역에서 활동하며 ‘형상미술’이라는 영역을 개척하기도 했죠. 1989년 경기도 양평에 작업실을 마련하고 그곳에서 지금까지 전업 작가로 생활하고 있어요.


아름다움 넘어서 생명력이 반영된 꽃

▶안창홍, ‘폭풍이 지나간 후’, 캔버스에 유채, 133×354cm, 2020년, 운중화랑 소장

안창홍의 그림, 특히 인물화는 직설적이고 힘이 셉니다. 노골적일 만큼 직접적이에요. 이미지도 선명하고 색채도 화려해요. 그래서 간혹 보기 불편하다는 사람도 있어요. 그런데 바로 이런 독특함 때문에 그의 그림을 좋아하는 마니아, 즉 수집가(컬렉터)도 많죠. 자칫 대중성과 거리가 먼 것 같지만, 현대적 감각과 장식성을 충분히 지녔기에 미술시장에서도 호응이 큽니다. 이 가운데서도 인물화 못지않게 꽃밭 시리즈가 인기 높아요. 아무래도 꽃 그림은 인물화보다는 덜 자극적이기에 그렇습니다.


실제로 실내에 걸어두고 보기에도 거부감 없이 좋아요. 그럼에도 안창홍은 꽃 그림을 마냥 예쁘고 보기 좋게만 그리지 않았어요. 아름다운 꽃의 겉모양을 단순히 재현하는 차원이 아니에요. 그 속에 담긴 생명력, 삶과 죽음에 대한 은유를 함축적으로 표현했어요. 핏빛보다도 검붉은 맨드라미와 아마란스를 즐겨 그리는데, 이 꽃들은 작가가 직접 작업실 정원에 만든 꽃밭에서 키운 것입니다.


꽃 그림 <폭풍이 지나간 후>는 제목처럼 거센 폭풍과 세찬 비바람이 지나간 후 꽃밭을 그린 작품이에요. 쓰러지고 꺾였을지라도 그 역경을 꿋꿋이 버텨내고 화려함을 내뿜는 아마란스의 생명력을 장엄하게 그려냈어요. 유화물감으로 그린 원작은 가로 354cm, 세로 133cm 크기인 대작입니다. 안창홍은 이보다 훨씬 큰 크기의 인물화를 많이 그렸지만 꽃 그림을 이렇게 크게 그린 경우는 매우 드물어요. 그래서 절반 크기 판화로 다시 제작해 에디션(한정된 수로 제작돼 판매되는 작품) 100장을 찍었습니다. 원화 느낌과 컬러를 그대로 구현하기 위해 실크스크린 판을 무려 43개나 사용했어요. 최근엔 부조와 입체, 판화 외에도 새로운 영역인 ‘디지털 회화’ 작업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이준희 건국대 현대미술학과 겸임교수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