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모독인가? 누드화의 혁명인가?

조회수 2021. 1. 28. 14:30 수정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프란시스코 고야의 '옷 벗은 마하' 본 적 있으세요? 박인권 문화칼럼니스트는 "‘옷 벗은 마하’가 처음 공개되자 스페인 사회는 발칵 뒤집혔다"고 표현했어요. 서양미술에서 여성의 누드는 흔한 그림이라고 하는데, 왜 ‘옷 벗은 마하’가 주목받았는지 박인권 문화칼럼니스트와 함께 알아볼까요?


출처: wikipedia commons, public domain
▶프란시스코 데 고야, ‘옷 벗은 마하’, 캔버스에 유화, 98×191cm, 1775~1800, 프라도미술관 소장



프란시스코 고야(1746~1828년)는 18세기 스페인 근대회화에서 등불과 같은 존재였어요.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4세(1748~1819년)의 궁정화가로 활동한 고야는 유화뿐 아니라 80여 점의 동판화로 구성된 유명한 판화집 ‘카프리초스(스페인어로 변덕이란 뜻)’로 대표되는 판화가로도 이름을 떨쳤으며 미술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역사기록화의 주인공이기도 해요.


그러나 화가로서 고야의 위상을 굳힌 단 한 점의 그림을 꼽으라면 단연 ‘옷 벗은 마하’에요. 고야의 그림 중 역대급이라는데 이견이 없는 이 작품은 1795년에 그리기 시작해 1800년에 완성됐죠. 특히 작업기간이 콜레라 후유증으로 청각 상실의 고통을 겪던 때와 겹친다는 점에서 고야의 투혼이 놀라워요.


‘옷 벗은 마하’가 처음 공개되자 스페인 사회는 발칵 뒤집혔어요. 제목처럼 그림은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알몸의 여성이 두 손으로 머리를 받친 채 침대에 드러누워 우리를 정면으로 응시하고 있는 모습인데요. 마치 나의 알몸을 마음껏 감상이라도 하라는 듯 가슴에서 배꼽 아래 은밀한 부위를 거쳐 발가락 끝까지 부끄러움 없이 내보이는 자세가 발칙하죠. 우리를 보고 있는 그녀의 눈빛이 너무나 당당해 오히려 보는 이를 당황케 합니다.



시대를 앞서간 진정한 개혁주의자



서양미술에서 여성의 누드는 흔한 그림이에요. 그러나 종전의 누드화는 신화나 종교 속에 등장하는 여신의 자태를 신비롭고 이상적인 모습으로 묘사한 반면, 고야가 그린 ‘옷 벗은 마하’ 속 여성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실제 인물이라는 점에서 엄청난 파문을 불러일으켰어요. 당시 누드 그림 속 주인공을 현실 속의 일반인으로 설정한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던 금기 중의 금기. 게다가 스페인은 윤리적인 잣대가 엄격한 정통 가톨릭 국가라 고야의 그림은 기성세대들에게 반(反)사회적인 지탄의 대상으로 맹렬한 비난에 휩싸일 수밖에 없었죠.


2세기를 훌쩍 거스른 아득한 옛날, 철옹성 같던 누드화의 전통 규범을 깨고 전설 속 이상화된 인물이 아닌, 실제 사람이 전면에 등장하는 새 시대의 팡파르를 고고하게 울린 고야야말로 시대를 앞서간 진정한 개혁주의자가 아닐까요.

고야는 스페인 동북부 지역의 시골 마을 푸엔데토도스 출신입니다. 하늘이 내린 예술적 재능이 남달랐던 그는 14세 때 미술 도제수업을 받으며 화가의 길에 발을 내디뎠어요. 20대 중후반 궁전 장식용 태피스트리(여러 가지 색실로 그림을 짜 넣은 직물)와 성당 제단화 작업에 참여하며 실력을 인정받았죠. 이때의 인연으로 왕실 초상화를 그리는 행운을 거머쥐며 승승장구한 끝에 프랑스 대혁명이 일어난 1789년 마침내 왕실 궁정화가로 임명됐어요. 고야의 왕실 초상화 중 가장 유명한 것이 ‘카를로스 4세의 가족’(1800~1801년)입니다.


마하(maja)는 스페인어로 ‘옷 잘 입는 멋쟁이 여성’이라 뜻합니다. 서양미술사에서 신화 속 여신이 아닌, 현실에 존재하는 실제 사람을 모델로 그린 최초의 등신대(사람의 크기와 같은 크기) 여성 누드화에요. 여성 누드 그림의 금기를 단숨에 무너뜨리고 미술사를 새롭게 쓴 고야는 어떻게 이 그림을 그리게 됐을까요?


이 그림은 당시 카를로스 4세 국왕의 최측근으로 스페인 총리이자 세도가였던 마누엘 데 고도이(1767~1851년)의 주문으로 그려졌다는 게 정설이에요. 문제는 그림 속 실제 모델이 누구인가에 초점이 맞춰진 거죠. 결론부터 말하면 모델의 신원은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여전히 논쟁거리로 남아 있어요. 확실한 것은 모델이 현실 세계에서 볼 수 있는 진짜 사람이라는 사실입니다.



그림 속 실제 모델을 둘러싼 논쟁

출처: wikipedia commons, public domain
▶첫 번째 작품 고야, ‘Duchess of Alba or The White Duchess’, 캔버스에 유화, 194×130cm, 1795, 스페인 마드리드 Liria Palace 소장
▶두 번째 작품 고야, ‘Mourning Portrait of the Duchess of Alba’, 캔버스에 유화, 210×149cm, 1797, 뉴욕 Hispanic Society of America 소장



미술사적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이 그림의 모델 후보로는 스페인의 명문 귀족 가문인 알바 가문의 알바 공작부인이 꼽혀요. 그런데 그림을 주문한 고도이 총리와 알바 가문이 정치적인 앙숙 관계라는 점에서 쉽게 수긍하기 힘들죠. 그런데도 알바 공작부인이 유력한 후보로 오르내리는 이유는 그녀가 고야와 애인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에요.


그 근거로는 고야가 그린 두 점의 알바 공작부인의 전신(全身) 초상화를 들 수 있어요. 1795년 그린 첫 번째 작품(Duchess of Alba or The White Duchess)인데요요. 이 작품에서 공작부인이 오른손 집게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곳을 따라가면 이런 글귀가 보여요. “알바 공작부인에게, 프란시스코 고야가.” 2년 후인 1797년 그림(Mourning Portrait of the Duchess of Alba)은 더욱 노골적이에요. 공작부인이 오른손 중지에 끼고 있는 반지에 ‘알바’ 이름이 새겨져 있고, 검지에 낀 반지에는 ‘고야’라는 이름이 선명하게 각인돼 있어요.


그뿐만 아니라 공작부인의 오른손 집게손가락 아래 땅바닥에 ‘오직 고야뿐’이라는 일편단심의 애틋한 마음을 드러낸 글자가 쓰여 있어요. ‘옷 벗은 마하’ 속 여성의 얼굴이 공작부인 초상화와 닮았다는 세간의 입방아를 도저히 참을 수 없었던지, 알바 가문의 후손들은 공작부인의 알리바이를 입증하기 위해 희대의 해프닝이 연출됐어요. 공작부인의 무덤을 파헤쳐 유골과 유전자 감식작업을 단행해 얼굴 모습의 복원을 꾀한 건데요. 이 또한 과학적인 결론에는 도달하지 못했으니 ‘옷 벗은 마하’의 유명세만 더욱 높아졌어요. 1940년대 중반에 실제로 벌어진 일이었습니다.


지금이 1800년이라고 가정하고 이 그림을 다시 볼까요? 외설적인가, 신성모독인가, 누드화의 혁명일까요? 참고로 고야는 동일 인물에 동일 포즈로 옷 입은 것만 다른 ‘옷 입은 마하’(1800~1807년)도 그렸는데, 두 작품은 나란히 스페인 프라도미술관에 소장 중입니다.


ⓒ 박인권 문화칼럼니스트

공감 누리집 원문 기사 보기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