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호킹을 꿈꾼다, 장애 극복하고 인권운동가 꿈꾸는 서혜영 소장

조회수 2018. 3. 31. 16:30 수정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서혜영(35) 씨는 올해 명지대 사회복지학과에 입학했습니다. 동생 서보민(27) 씨까지 같은 학과에 합격했으니 겹경사입니다. 적지 않은 나이에 학업을 시작하는 이들 자매는 온몸의 근육이 위축돼 굳어가는 척수성 근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SMA) 환자입니다. 감정 표현 등 신체의 기본 기능은 유지되지만, 근육이 점점 약해져 자발호흡이 어려워지고 평생 인공호흡기에 의존해야만 생명을 이어갈 수 있어 루게릭병과 유사합니다. 자신의 몸 하나도 건사하기 힘든 상황에 다른 장애인을 돕기 위해 나선 서혜영 씨를 만나보았습니다.



‘장애는 불편함일 뿐’ 꿈 포기하지 않아
“한국의 호킹들, 우리 함께 응원해요”

함께가자장애인자립생활센터 서혜영 소장 ⓒC영상미디어

서혜영 씨는 호흡기 근육마저 약해지면서 정상적인 호흡조차 힘들 때도 있지만, 오랫동안 키워온 학업의 열망을 꺾을 수는 없었습니다. 그는 “장애는 불편함일 뿐”이라며 꿈을 포기하지 않았고, “장애인 자립 활동을 돕는 기관을 운영하면서 더 많은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교육을 받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해 대학 진학을 결심했다”고 했습니다.


지난 2월 28일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각종 신경근육계 희귀질환 때문에 호흡근육이 약화돼 숨 쉬는 것조차 힘들어했던 이들이 대학에 입학하거나 졸업한 것을 축하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세 살 때부터 근육이 마르는 병인 근위축증을 앓고 있는 이종명(19) 군, 생후 15개월 때 척수성 근위축증 판정을 받은 곽희진(23) 씨 등 총 15명입니다.


‘한국의 호킹들, 축하합니다’라는 이름의 이날 행사는 서 씨 자매처럼 사지마비와 호흡장애를 극복하고 대학교 입학 및 졸업을 맞은 신경근육질환 환자들을 축하하기 위해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마련했습니다. 행사명은 근육이 마비되는 루게릭병을 진단받고도 세계적인 물리학자가 된 스티븐 호킹 박사의 이름에서 따왔습니다.


호흡재활센터를 운영하는 강남세브란스병원은 2012년부터 올해까지 일곱 번째 행사를 열고 있습니다. 희귀 난치성인 근육병, 루게릭병, 척수성 근위축증 등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이 힘겹게 학업을 마무리한 것을 격려하고, 새로운 시작을 응원하기 위해 장학금을 지급하는 자리였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서 씨 자매처럼 대학교에 입학하는 학생 7명과 졸업생 4명 등 11명이 참석했습니다.


한국교통대학교 디자인학부에 입학 예정인 김어진(20) 군은 교통수단에 관심이 많아 철도 기관사가 꿈이었지만 근육병을 앓고 있는 신체적 한계 때문에 디자인 쪽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서 씨 자매, 김 군 같은 척수성 근위축증을 앓고 있지만 재활치료를 통해 연세대 컴퓨터공학과를 무사히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신형진 씨도 후배들을 격려하기 위해 방문했습니다.

돌 무렵, 두 딸에게 모두 찾아온 희귀질환

치열한 경쟁률 뚫고 명지대 사회복지과 입학

서혜영 자매에게 병마가 찾아온 건 돌 무렵이었습니다. 걸음마가 늦어 찾은 병원에서 1만 명 중 한 명이 걸린다는 희귀질환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30분도 채 앉아 있지 못하는 몸이고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는 건 손가락뿐이었지만 자매는 검정고시로 꿈을 이어갔습니다.


1남 2녀 가운데 두 딸이 희귀질환으로 고통을 받자 부모 마음은 갈가리 찢어졌지만 부모님은 장애인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습니다. 법조인을 꿈꾸던 아버지 서종순(61) 씨는 딸의 간호를 위해 경찰직 공무원을 사직하고 어머니 오승자(59) 씨와 함께 맞벌이를 위해 집 근처에 부동산중개업소를 차렸습니다. 두 딸에게 위급한 상황이 생길 경우, 즉시 오토바이로 달려오기 위한 고육지책이었습니다.


시험 역시 녹록지 않았습니다. 서 씨는 논술시험 때 A4사이즈 용지 한 장을 한 시간을 걸려 간신히 채울 수 있었습니다. 미리 써간 자기소개서를 논술 문제지 뒤편에 옮겨 적는 것도 잊지 않았습니다. 서 씨는 “글씨를 예쁘게 못 써서 부끄러웠다”면서 “사회복지 업무를 전문적으로 배우지는 않았지만, 신념을 갖고 일해야 하는 직업이라고 적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면접 보는 날, 서혜영 씨와 같은 조의 수험생들은 사회복지 경력이 빵빵한 단체장들이었습니다. 사회복지사 경력으로 특별전형에 지원할 수 있는 마지막 입시여서 경쟁률은 더 치열했습니다. 면접관들은 서 씨가 척수성 근위축증 환자라는 사실에 놀라워했습니다. 이력서에 ‘함께가자장애인자립생활센터’(이하 함께가자도봉IL센터) 소장이라고 적혀 있는 것을 확인하고, 유령단체가 아닌지, 실질적으로 운영을 하고 있는지를 꼬치꼬치 캐물었다고 합니다.


서 씨는 “함께가자도봉IL센터는 희귀 난치병 환자의 자립 지원을 위한 국내 최초의 단체라고 설명하고 활동 상황을 자세하게 브리핑해드렸다”며 “면접관 교수님들이 놀라는 표정을 지으시더니 다른 수험생에게는 질문조차 하지 않고 내게 질문들을 하셨다”고 했습니다. 서 씨 자매는 함께가자도봉IL센터 운영을 위해 언니는 주간 과정, 동생 보민 씨는 야간 과정에 합격했습니다. 두 딸의 합격 소식에 아버지 서종순 씨는 “도저히 믿어지지 않는다”며 눈물을 쏟았다고 합니다.

정부와 소통 위해 사회복지학 공부
중증장애인들을 돌보는 노하우 중요

현재 서혜영 씨는 ‘함께가자도봉IL센터’에서 동생 보민 씨와 7명의 직원과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언니 혜영 씨는 소장, 동생 보민 씨는 기획실장으로 4년째 일하고 있습니다.


서혜영 씨는 “일반 장애인들과 달리 희귀난치성장애인들은 인공호흡기를 달고 살기 때문에 장애인복지관에서조차 부담스럽게 생각한다”며 “‘함께가자도봉IL센터’는 저처럼 호흡기를 쓰고 활동하는 중증장애인들을 돌보는 노하우를 갖고 있다”고 했습니다.


서 씨는 “신경근육질환 환자들은 소수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미비하다”며 “정부와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 위해 사회복지학 공부를 택한 것”이라고 말하며, “정부의 복지정책에 올바른 정책 제안을 하려면 정확한 용어를 사용해 소통하는 능력이 필요하다”면서 “우리와 같은 단체가 많이 생겨나야 한다”고 했습니다.


‘함께가자도봉IL센터’ 누리집(https://dobongcil.modoo.at/)에 들어가 동생 서보민 씨가 제작했다는 2016년 송년회 동영상을 보면, 중증장애인 인턴 모집과 교육, 직원 역량 강화, 지역사회 연계 활동, 정책 개선 활동 등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집니다.


서 씨는 “‘함께가자도봉IL센터’는 도봉구로부터 2600만 원의 보조금을 받아 운영한다”며 “3월 8일까지 서울시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기 위해 대학 신입생 기분을 낼 여유도 없다”고 했습니다. 서울시가 26개 사회복지센터 가운데 2곳을 선정해 연간 1억 원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로, 서 씨는 이 프로젝트가 ‘함께가자도봉IL센터’ 제2의 도약을 위한 종잣돈이 될 것이라고 확신했습니다.


캠퍼스를 누비고 봄바람이 불면 엠티도 가고 싶다는 서혜영 씨. 서 씨는 자신과 같은 희귀난치병 환자를 돕는 복지 전문가를 꿈꿉니다. 서 씨는 “2000명인 넘는 희귀난치성장애인은 고개를 못 가눌 정도로 중증장애인”이라며 “여의도 이룸센터 화장실에 중증장애인용 간이침대를 설치한 것처럼, 참신한 정책 제안으로 우리 사회를 중증장애인과 정상인이 공존하는 곳으로 만들고 싶다”고 했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