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청소년은 왜 코딩을 배워야 할까? 코딩 선배들이 전하는 코딩의 비밀들

조회수 2019. 7. 31. 11:59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코딩을 통해 새로운 기회 얻어라", 성황리에 마친 NYPC 2019
코딩 의무 교육 시대가 시작됐다. 중학교는 작년부터 34시간, 초등학교는 올해부터 5, 6학년을 대상으로 '코딩'을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초중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는 코딩은 단순히 코딩 자체만 가르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 넥슨이 4년째 코딩 대회인 NYPC(Nexon Youth Programming Challenge)를 통해 아직은 초중고등학교 학생인 예비 프로그래머들에게 코딩 알리기에 나서고 있다.  넥슨은 단순히 대회 개최에 그치지 않고, 코딩 선배들을 초청해 대규모 토크 콘서트도 함께 열며 코딩에 대한 '방향'도 제시하고 있다.  오늘(30일) DDP 알림1관에서 열린 NYPC 2019 토크 콘서트에는 김동건 넥슨 데브캣스튜디오 프로듀서, 김형진 에누마 게임 디자이너, 남세동 보이저엑스 대표, 오상훈 럭스로보 대표가 참석해 멘토링 형식의 강연을 자신만의 경험으로 채웠다. NYPC 2019 토크 콘서트는 객석을 가득 채운 관객들의 박수와 뜨거운 반응 속에서 4시간 가까이 진행했다.

NYPC 2019 토크 콘서트 인사말에 나선 이정헌 넥슨코리아 대표이사는 NYPC라는 프로그램을 게임 회사인 넥슨이 왜 하는지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다며, "게임을 만들고 서비스하는 넥슨이 가장 잘하는 것으로 사회에 도움이 되고 싶어 시작했다"라고 답했다. 그리고 NYPC라는 기회를 통해 전문가 영역처럼 보이는 코딩을 조금 더 가깝게 느낄 수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 관련 기사

- 청소년은 왜 코딩을 배워야 할까? 코딩 선배들이 전하는 코딩의 비밀들 (현재 기사) 

- 관객들을 당황하게 한 '국영수 사랑'? NYPC 2019 토크 콘서트 질의응답 


 

# "코딩을 통해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다"

 

첫 번째 연사인 김형진 에누마 게임 디자이너는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했지만 코딩에 자신이 없었다. 하지만 그는 게임을 꼭 만들고 싶었고, 프로그래머가 아니더라도 필요한 분야들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렇게 선택한 직업이 게임 디자이너였다.

 

 

김형진 게임 디자이너는 첫 직장이었던 엔씨소프트 경험을 통해 게임 디자인 역시 프로그래밍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배웠다고 말했다. 컴퓨터공학과 출신인 그는 <리니지>의 소스 코드를 읽으며 아이템이 어떻게 드롭되고, 몬스터가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이해하며 즐거움을 느꼈다. 또 코드를 바탕으로 이해했기 때문에 협업하는 프로그래머 동료들과 더 쉽게 소통 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현재 교육 게임 전문 회사 에누마에 몸을 담고 있는 김형진 게임 디자이너는 게임의 가능성을 좀 더 넓혀서 봐야 한다고 말했다. 드라마, 영화 등 다른 매체가 주지 못하는 게임만이 주는 재미는 결국 '학습'으로부터 온다며, '게이미피케이션'을 소개했다.


일부 사람들은 지루한 일을 하면 보상을 주는 행위를 게이미피케이션이라고 생각하지만 이것은 '외적 동기'로 게임의 본질과는 거리가 멀다. 게이미피케이션은 단순히 보상 자체에서 끝나면 안 된다. 오랫동안 붙잡고 있던 수학 문제가 원리가 이해되면서 갑자기 해결될 때 생기는 찰나의 즐거움과 같은 '내적 동기'가 분명하게 있어야 한다. 김형진 게임 디자이너는 유저에게서 내적 동기를 끌어내는 일이 쉽지는 않지만, 유저들이 게임을 하면서 직관적으로 원리를 이해하는 학습이 되는 것이 진정한 게이미피케이션이라고 밝혔다.

 

 

올해 <킷킷스쿨>을 통해 에누마는 엑스프라이즈(XPrize)를 수상했다. 아프리카 동쪽에 위치한 탄자니아에는 학교도 선생님도 없지만, 학생들은 많다. 에누마는 이런 학생들을 위해 게임을 해법으로 선택했다. 특히 탄자니아 학생들에게 아무런 강요도 못 하고 진도 체크도 불가능한 상황에서 게임이야말로 최고의 학습 도구였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킷킷스쿨> 제작 과정에서는 많은 문제가 생겼다. 발생한 문제들 중, 김형진 게임 디자이너는 오른손잡이는 오른쪽 버튼부터 눌러서 생기는 문제와 탄자니아 아이들은 사자를 본 적이 없다는 문제를 소개했다. 두 문제 모두 현재 탄자니아 학생들이 문화적 ·기술적 배경지식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발생했다. 

 

그래서 에누마는 <킷킷스쿨>에는 탄자니아 사람들이 나오고, 탄자니아 억양으로 언어와 수학 개념을 소개했다. 또 한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사과가 아닌 탄자니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망고와 같은 단어로 게임을 꾸몄다.

 

 

김형진 게임 디자이너는 수상을 통해 게임을 통해서 교육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신하게 됐으며, 나의 노력이 다른 사람을 도와줄 수 있음을 알게 됐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는 강연을 마무리하며 "컴퓨터에 있는 많은 기능을 통해 다른 사람을 도와줄 수 있다. 이런 뿌듯함을 모두가 느낄 수 있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 "열정이 결과가 되는 순간, 꿈은 이루어진다"

 

오상훈 럭스로보 대표는 어린 시절부터 로봇을 배우고 싶어 무작정 로봇 전문 박사를 찾아가 배움을 청했다. 어린 시절부터 로봇만 바라본 그가 받은 상은 현재 180개가 넘는다. 오상훈 대표는 국제로봇포럼 기술 위원을 하며 왜 로봇과 코딩이 학생들에게 어려운지 알게 됐다고 한다. 그는 좋은 엔지니어들이 교육 콘텐츠 개발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판단했고, 창업하게 됐다.

 

 

직접 사람들을 모아 팀을 꾸린 오상훈 대표는 어렵사리 투자를 받고 제품을 완성했다. 코딩교육이 가장 잘 이뤄지고 있는 영국을 첫 번째 판매처로 정하고 코딩 교육 관련 기업 30곳에 연락했다. 처음에는 2곳만이 만나주겠다고 했지만, 오상훈 대표는 무작정 영국으로 가서 회신이 없는 회사에 "연락이 없어 만나준다고 이해했다"라며 찾아갔다. 회사 5곳이 더 만나겠다는 회신을 줬다. 그는 끝까지 회신이 없던 회사들도 찾아가 만나 달라고 부탁했으며, 추가로 회사 16곳과 미팅을 더 진행할 수 있었다. 도전과 함께 럭스로보 사업은 시작했다.

 

 

전 세계 코딩 교육 시장을 이끄는 럭스로보는 자신들의 제품을 통해 학생들이 코딩을 왜 배우는지 알게 되는 것이 목표다. 오상훈 대표는 이런 목표 아래에서 꼭 어려운 코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코딩을 할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논리를 알게 되는 스마트 코딩 블록 등을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오상훈 대표는 "진심이 열정이 되고, 열정이 결과가 되는 순간, 우리의 꿈은 이뤄진다"라며 발표를 마쳤다.

 

 

# "현재의 삶이 미래의 밑천이 될 수 있다"

 

'마비노기의 아버지' 김동건 넥슨 데브캣 스튜디오 프로듀서는 중고등학생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며 강연을 시작했다. 그는 돌아가고 싶은 이유로 그 시절 자체가 게임을 만드는 재료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동건 프로듀서는 최근 출시되는 게임들은 지금 개발자들의 20년 전 청소년 무렵 경험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게임이기에 그렇지 않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20년 뒤의 게임은 다를 것이라 설명했다.

 

 

<마비노기>부터 다양한 게임을 개발한 김동건 프로듀서는 게임 개발 후에 왜 이런 게임을 만들었을까라는 고민과 반성을 시작하면 항상 대답은 "어릴 때 경험"이라고 말했다. 그는 알게 모르게 자신의 과거가 게임에 많이 반영됐고, 개발이 막히면 청소년기의 스스로에게서 답을 찾고는 했다며 <마비노기>를 예시로 들었다.

 

 

먼저 <마비노기>라는 제목 자체가 <더 바드 테일>이라는 게임에서 따왔다. 게임의 형태는 다르지만, 청소년기에 접했던 게임의 제목이 낭만적이라 오랫동안 뇌리에 남아있었다. 

 

<마비노기>의 상징이기도 한 캠프파이어 역시 김동건 프로듀서의 경험에서 출발했다. 김동건 프로듀서의 아버지는 얼굴이 기억나지 않을 정도로 어린 시절에 돌아가셨다. 하지만 아버지와 함께 참여한 캠프에서 즐긴 캠프파이어가 아직도 선명했고, 이런 경험을 나누고 싶었던 그는 <마비노기>에 캠프파이어를 담았다. 또 새아버지까지 돌아가시며 아버지를 두 번 잃은 김동건 프로듀서는 <마비노기>에 '죽음'이라는 단어를 넣지 않았다. 


 

이처럼 김동건 프로듀서에게 게임을 만드는 재료는 바로 청소년 시기의 삶 자체였다. 자신뿐만이 아닌 많은 게임 개발자들이 청소년 시절 체험을 재현한다며, 그 이유는 청소년 시절이 인생에서 가장 반복하고 싶고 그리운 추억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게임이야말로 그런 경험을 가장 잘 전달하는 매체이며, 게임을 한다는 것은 결국 공감이 바탕인 행동이다.

 

그는 게임 제작에 중요한 것으로 '상호작용'과 '스토리텔링'을 꼽았다. 우리의 삶과 체험을 스토리라고 한다면, 이것을 게임을 통해 유저에게 전달하는 방식이 바로 상호작용이다. 상호작용을 통해 영화나 소설처럼 정해진 틀대로 가는 것이 아닌, 유저가 유저에게 주어진 선택을 하고 선택에 따라 게임 속 세계가 변화한다. 


김동건 프로듀서는 이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바로 '코딩'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코딩에 스토리를 더하는 게 바로 게임이라고 덧붙였다. "코딩으로 현재의 삶을 표현하길 바란다. 그리고 자신의 삶을 통해 게임을 만들었으면 하는 게 저의 제안이다"라며 이야기를 마쳤다. 

 

 

 

# "딥러닝, 기존의 프로그래밍과 새로운 경험 제공할 것" 

 

남세동 보이저엑스 대표는 어린 시절 우연히 본 컴퓨터가 '신비했다'. 어느새 시간이 흘러, 그는 코딩을 건물로 치면 20층이 넘는 공사를 진행한 '코딩 베테랑'이 됐다. 베테랑이 된 남세동 대표에게는 고층 건물들과 같은 코딩은 멋지고 대단하다는 생각은 들었지만 더는 '신비'한 존재가 아니었다. 

 

 

이때 '인공지능(AI)'이 등장했다. 인공지능은 기존의 프로그래밍이 하지 못하는 영역까지 해결했다. 남세동 대표는 인공지능의 등장을 "가만히 있던 거대한 건물들이 갑자기 날아다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렇게 그는 딥러닝을 시작했고 창업도 했다.

 

과거의 프로그래밍 방법으로는 '고양이를 인식하는 프로그램' 개발은 불가능의 영역이었다. 2살 정도의 어린아이도 고양이인지 알 수 있지만, 프로그램이 인식하기 위해서는 수십만 개가 넘는 조건이 필요했다. 이런 문제를 딥러닝이 해결했다.

 

 

딥러닝은 심층 신경망을 이용한 머신러닝(기계학습)이다. 남세동 대표는 어려워 보이는 개념이지만, 사실 별것 아니라며 관객들에게 딥러닝의 개념을 소개했다. 컴퓨터는 0과 1만 이해할 수 있다. 컴퓨터가 판단하는 과정은 결국 '적당한' 숫자를 곱하고 더해 컴퓨터가 판단할 수 있는 숫자가 나오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고양이 인식 과정에서는 결과값으로 고양이라면 숫자 0이 나오고, 아니라면 숫자 1이 나오는 셈이다. 그리고 적당한 숫자를 '판단하는 과정(알고리즘)'을 찾는 과정이 바로 딥러닝이다. 

 

남세동 대표는 만유인력(중력)을 발견한 뉴턴을 "숫자에 푹 빠져있던 사람"이라고 소개했다. 숫자에 푹 빠져있던 뉴턴은 복잡한 숫자 속에서 패턴을 찾아 만유인력과 미분을 발견했다. 딥러닝은 바로 이런 숫자 패턴을 잘 찾는다. 이세돌 프로를 이긴 알파고 역시 바둑이라는 스포츠에서 '바둑만의 패턴'을 수학적으로 잘 찾은 것이다. 

 

 

더 나아가 자연 속에도 패턴이 가득하다. 남세동 대표는 과학 자체가 패턴을 배우는 것이며, 국어에도 문법처럼 패턴이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패턴을 안다는 것이 바로 '학습'이다. 그리고 딥러닝은 이런 패턴을 사람보다 더 발견한다. 남세동 대표는 프로그래밍을 지금 시작했다면 코딩이 아직 신비하겠지만, 어느 날 그 신비함이 사라진다면 딥러닝을 도전하길 주문했다. 그리고 "딥러닝은 지금까지 우리가 못했던 것을 만든다"라고 덧붙였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