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착각'에 빠진 여자는 인기가 많다?

조회수 2018. 11. 15. 19:05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스포주의***


얼마 전에 <아이 필 프리티>라는 
영화를 봤는데요. 
내용이 정말 기가 막히더라고요! 

평범한 외모, 뚱뚱한 몸매로 늘 고민이던 
여자 주인공이 어느 날 머리를 다치거든요. 

 근데 너무 심하게 다쳤는지
갑자기 자기가 너무 예뻐 보이게 된 거예요.

 
(영화 <아이 필 프리티>) 

착각에 빠진 주인공은이후 
전혀 다른 삶을 살게 돼요. 
유명 잡지 회사 리셉션 자리도 꿰차고
잘생긴 남자 모델과 데이트도 하죠. 

아무리 영화지만 말도 안 되지 않아요?ㅋㅋㅋ 

그런데 말이죠.... 
어떤 논문을 보다가 
진짜 말이 되겠다 싶더라고요!   


내꺼 좀 멋진 듯?


스탠퍼드 대학 커뮤니케이션 학부에서 
최.첨.단 실험을 진행한 적이 있어요. 

연구진은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VR기기를 쓰게 한 다음에 
각자 다른 캐릭터를 부여해줬어요.

 
 

그리고 참가자들 몸에 장치를 붙여서
참가자들이 움직이고 말하는 대로 
캐릭터도 똑같이 하게 했죠. 

참가자들은 가상세계에서 
다른 이성 캐릭터를 만나 대화를 하는데요.

 
 

매력적인 캐릭터일수록 
상대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고 
자신에 대해 더 얘기하는 경향이 있었대요.

 
 

내 캐릭터가 멋있다고 생각하면 
더 적극적으로 행동하게 되는 거예요.   


난 너무 예뻐!


참 신기한 게, 
연구진은 참가자끼리  캐릭터 외모에 대해
언급하지 말라고 했거든요. 
내 캐릭터가 멋있는지, 안 멋있는지는 
혼자 판단할 수밖에 없었죠. 

하지만 “난 멋져!” 라는 생각만으로도 
태도가 확 변하게 되었어요. 

누가 나한테 “너 예쁘다!” 해주는 것만큼 
내가 나한테 “나 예쁜데?” 하는 것도 
엄청나게 큰 효과가 있는 거예요. 

이렇게 스스로에 대해 자신감을 갖는 사람은 
상대에게도 좋은 인상을 심어줍니다. 
당연히 호감 얻기도 쉽겠죠. 
(참고: 결국 자신감이 핵심이다!)   

<아이 필 프리티>에서도 착각에 빠진 주인공이 
근자감 넘치는 말을 아무렇지 않게 해요.

  

남자 주인공도 처음엔 
“이 여자, 뭐지? 왜 이렇게 당당하지?” 하며 
코웃음을 치고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여자 주인공이 정말 예뻐 보이는 것 같고 
남자는 그녀에게 푹 빠져버리죠.


  

스스로 근사하다고 생각하고 
그걸 당당히 표현하는 게 
진정한 매력이었던 거예요.   


최고의 매력은...


대부분 남들이 날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해하고 신경 쓰는데요. 
사실 남들이 나를 어떻게 보는지보다 
‘내가 나를 어떻게 보는지’ 
나에게 더 많은 영향을 끼친답니다.

어떻게 보면 당연하죠. 
‘나’를 가장 많이 살펴보고
‘나’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건 
누구도 아닌 바로 ‘나 자신’이니까요.
 
 

 <아이 필 프리티>에는 분명 
과장이 심한 부분도 있어요. 

하지만 이번 연구를 보니
“에이, 영화니까~” 하고 
넘길 수 만은 없는 노릇입니다. 

정 못 믿겠으면 오늘부터 일주일 동안만 
거울을 보고 예쁘다, 멋지다, 되뇌어 보세요. 
어느 순간 정말 그렇게 변한 
여러분을 발견할 수 있을 걸요? 

P.S
영화 주인공처럼 멋진 이성과 데이트를 하게 된다면
<카톡으로 보는 속마음>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알아보세요!

인공지능 개발에 사용되는
최신 머신러닝 기술을 사용해
두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분석한답니다.

10초면 상대방의 속마음을 알 수 있어요!
지금 바로 해보세요. :)
참고문헌
* Yee, Nick, and Jeremy Bailenson. "The Proteus effect: The effect of transformed self-representation on behavior."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33.3 (2007): 271-290. APA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