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 본문

아ㅋㅋㅋㅋㅋ
배달음식 주문하려고 리뷰 보는데
웃긴 거 짱 많아.


썰리
ㅇㅈㅋㅋㅋㅋ

썰리
나도 영화 볼 때나 뭐 살 때

썰리
리뷰 보는 재미가 있더라ㅋㅋㅋ
ㅇㅇ 근데 가끔 평점 테러가
많이 보일 때가 있어ㅠㅠ
영화도 그렇고 서비스업도 그렇구.
'82년생 김지영' 포스터(왼쪽)와 네이버 영화 사이트 네티즌 평점 캡처. [82년생 김지영, 네이버]

썰리
명확한 이유가 있는 낮은 평점이 아니라

썰리
악의적인 평점 테러나 허위 리뷰 때문에

썰리
폐업하는 자영업자들도 꽤 있다더라~

썰리

유튜브 간장게장 식당 생각나네ㅠ
평점이나 리뷰는 원래 소비자를
돕기 위한 역할 아니야...?

썰리
맞아. 그런 순기능만 잘 작용해도

썰리
소비자도 정보를 얻어서 좋고,

썰리
업주 입장에서는 지적을 개선하면서

썰리
더 나아질 수 있는데 말이지.
평점이 좋으면 추가 비용 없이
영업 매출도 올릴 수 있구!

썰리
ㅇㅇ!! 문제는 평점이 단순히

썰리
평가 기능을 넘어 소비자의 권력으로

썰리
여겨지는 거임.

썰리

평점을 빌미로 추가 서비스를 요구하고,
보복성 리뷰를 남기는 사례도 많이 봄ㅠㅠ
그런 걸 법적으로 대응 못 하나ㅠ

썰리
할 수는 있지~

썰리
근데 이미지가 중요하다 보니

썰리
대응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래.

썰리
[중앙일보 일부 캡처]
그렇구만ㅠㅠ
평점으로 자영업자들뿐만 아니라,
모바일 플랫폼 기반 노동자들도 고생하는 것 같던데...
[중앙일보 일부 캡처]

썰리
ㅇㅇ그러니깐 좋은 리뷰를 대신 달아주는

썰리
마케팅 업체가 잘 되는 게 아닐까?

썰리
물론 이런 가짜 리뷰도 문제지만ㅠ
흠...허위 리뷰나 악의적인 평점을
해결할 방법은 없는 걸까?

[중앙일보]

썰리
포털사이트와 주요 플랫폼 앱 운영사들은

썰리
그런 걸 걸러내는 시스템 마련을 위해

썰리
노력하고 있대.
오호!!!

썰리
다만, 이미 노출된 평점 리뷰는

썰리
방송통신법상 저작물이라 삭제는 힘들대.
그렇구나...
지금 평점 시스템은 거의 일방적이지?


썰리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그렇지~

썰리
[중앙일보]
에어비앤비는 호스트와 게스트가
상호 평점을 남길 수 있잖아!
호스트만 보도록 비밀 리뷰도 쓸 수 있구.
난 그거 좀 괜찮던데~
[에어비앤비 뉴스룸]

썰리
전문가도 그런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가

썰리
동등한 위치에서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이

썰리
조성돼야 한다고 했어!

썰리
ㅇㅈㅇㅈ~
그렇게라도 별 하나에 죽고 사는
사회가 바뀌었으면 좋겠다!


썰리
그러게ㅎㅎ

썰리
우리도 일부 리뷰만 보고

썰리
단정짓지 않도록 하자!
ㅇㅇ!!! 아..배고파..
난 배달음식 주문하러 간다! ㅃㅇ~

실시간 인기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Please try again in a mo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