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 본문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술이랑 가깝게 지내게 된 걸까?


썰리
본격적으로 음주문화가 확산된 건

썰리
조선시대부터라고 함!
유교문화라서 조선시대에는 오히려
절제하고 금주를 지향했을 거 같은데!
내가 알기로는 영조도 엄격하게
금주령을 시행했었고!
영조실록

썰리
응응 맞아! 그렇게 생각하기 쉬운데

썰리
실상은 그 반대였어

썰리
조선시대엔 성리학을 바탕으로 종묘 등

썰리
국가의례나 제사를 지내는걸

썰리
정말 중요하게 생각했잖아?

썰리
조선시대 의례, 제사 모습
응응 그렇지!

썰리
의례와 제사 때 꼭 필요했던 게 술이었대

썰리
불교영향이 강했던 고려시대엔

썰리
차를 즐겨 마시는 음다(飮茶) 문화였는데

썰리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성리학의 주례(酒醴)에 따라

썰리
음주 문화로 바뀌게 된 거지

썰리

그렇구나!
조선시대부터 음주문화라...
그럼 조선시대에 금주령을 내린 건
영조뿐인 건가?

조선 21대 왕 영조

썰리


썰리
그건 아니야 조선 초기에도 금주령이 있었음

썰리
하지만 굉장히 느슨했다고 해

썰리
법을 빠져나갈 허점도 많았다고 하고!
흠...


썰리
조선 첫 금주령은 태조 이성계가 시행했지만

썰리
왕실 행사나 제사 등 예외 조항이 많았고

썰리
이마저도 시행한 지 1주일 만에 해제됐거든

썰리

이성계는 무장출신이기도 하고
추운 지역 출신인 점을 고려하면
태조 본인도 술을 좋아했을 거 같음!
술이 당시에는 방한도구로 여겨졌다고
하더라고

썰리
ㅇㅇ 맞아

썰리
심지어 이성계는 '홍영통'이라는 대신이

썰리
만취해서 말에서 떨어져 사망하자

썰리
오른팔이었던 조준과 정도전한테

썰리
술 마시고 타고 가라고 가마 선물했다 함

썰리
거의 대리운전을 선물한 셈이네ㅎ

썰리
그렇지!

썰리
이후에 태종 이방원도 금주령을 시행했지만

썰리
예외 조항이 많았고 시행도 했다가 안 했다가를

썰리
반복하고 기간도 1-2년에 그쳤대
영조의 금주령도 시행 11년 만에 해제했는데..
금주령을 해제하자 한 사관이 막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한 글이 영조실록에 기록되어있다.
요즘 하도 음주운전으로 시끌시끌하니까
언제부터 음주문화가 정착했는지 궁금했음

썰리


썰리
저 사건 너무 안타까움..

썰리
같은 기간 올해에 음주운전 사고가

썰리
더 늘어났더라

썰리

영조처럼 완전 엄격한 금주령을 시행할 수도 없고....


썰리
그러게...!

썰리
금주까지는 아니더라도

썰리
음주운전 처벌에 대한 더욱 강력한

썰리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함!
동감이요


실시간 인기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Please try again in a mo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