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 본문


썰리
SF영화 '스타트렉' 본 적 있어??

썰리
스타트렉 최신 시리즈 비욘드 포스터
엄청 유명한 영화잖아
그치만 본적은 없어


썰리
ㅋㅋㅋㅋㅋㅋㅋㅋ

썰리
나중에 시간 날 때 한 번 봐봐!

썰리
영화 얘기를 꺼낸 이유는 이번에

썰리
스타트렉 작가 조 메노스키가

썰리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기를

썰리
역사 판타지 소설로 썼다는

썰리
소식을 전해주고 싶어서였어~!

썰리
<킹세종 더 그레이트> 한글판. 지난 9일 한글날에 맞춰 한글판과 영문판으로 출간되었다.[사진 핏북]
엇!?? 정말?!?
스타트렉 작가가 한국 역사 소설을!??
작가 조 메노스키[사진 사람엔터테인먼트]

썰리
응응!

썰리
너무 신기하지!

썰리
메노스키는 "문자는 수 세기에 걸쳐 진화해왔는데

썰리
이런 것을 창조했다고 말할 수 있는

썰리
유일한 사람이 세종대왕"이라며

썰리
소설을 쓴 이유를 밝히더라구!

썰리


세종대왕과 한글 창제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역사적 사실이지ㅎㅎ
미국인인 메노스키가 어떻게 하다가
한국과 세종대왕에 관심을 가지게 된 걸까?

썰리
한국에 관심을 갖게 된 건 20년 전부터래

썰리
중앙일보 기사
세종대왕에 대한 놀라움이
정말 소설 집필에 직접적인 원인이 됐나보다..!
자료 조사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 같은데
어떻게 조사했대???


썰리
한글 창제에 관한 영문 자료 조사에만

썰리
몇 년간 매달렸고

썰리
미국 컬럼비아대 한국학 명예교수

썰리
개리 레드야드의 저술 '1446년 한국어 개혁'이

썰리
많이 도움됐다더라고~

썰리

개리 레드야드 교수. 미국 컬럼비아대 한국학 명예교수[출처-위키백과]
ㅇㅎ~~
단순히 역사 고증 소설이 아니라
판타지 소설이던데
작가의 상상력이 가미된 부분들이
많이 등장하겠네??

썰리
ㅇㅇ, 맞아!

썰리
그간 세종대왕을 다룬 국내 영화나 드라마가

썰리
역사 고증 문제로 논란이 됐었잖아

썰리
극 중 소품 서랍에 한자 문화인 조선에선 사용되지 않았던 아라비아 숫자 14가 적힌 장면이 '옥에 티'로 지적됐다. [사진 SBS]
영화 '나랏말싸미'도
역사 왜곡 논란에 휩싸였었고!

썰리
응응, 메노스키 작가도

썰리
그 부분에 있어서 조심스러웠어

썰리
본래 작가가 판타지 장르 작가라는 것을

썰리
염두에 두고 읽는다면

썰리
보다 재밌게 즐길 수 있을 듯!

썰리
중앙일보 기사


썰리
네스토리우스교(아시아에 전파된 기독교 한 종파)

썰리
사제가 나오는 장면이라던가

썰리
일본인 소년이 한글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일화 등

썰리
상상력으로 창작된 부분들이 있거든~
그렇구나!
미국인이 쓴 한국 역사 판타지 소설이라..!
외국인까지 매료시킨 세종대왕의 위대함을
한 번 더 느낄 수 있었어!

썰리

실시간 인기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Please try again in a mo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