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속 '불안 세포' 빛을 비추면 조절 가능

조회수 2020. 11. 17. 19:46 수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By 이웃집과학자
"우리가 현재의 모습이 아닌 다른 모습일 수도 있다는 느낌, 우리가 동등하다고 여기는 사람들이 우리보다 나은 모습을 보일 때 받는 느낌, 이것이야말로 불안의 원천이다"

-알랭 드 보통 <불안> 中

인간은 살면서 늘 불안감을 안고 살아갑니다. 불안 장애는 이유 없이 불안을 느끼거나 불안의 정도가 지나친 정신 장애를 가리킵니다.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성인 5명 당 1명 꼴로 불안 장애를 겪습니다.


출처: pixabay
불안감..

그런데 < Neuron >에 게재된 한 연구에 따르면 연구자들이 뇌에 있는 해마에서 '불안 세포'를 발견했다고 합니다. 이 불안 세포는 불안한 행동을 조절합니다. 인위적으로 빛을 통해 통제할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과학자들이 정말 불안의 원천을 발견하기라도 한 걸까요? 

출처: Hen Lab/Columbia University
불안 세포(Anxiety cells)

이번 연구에 참여했던 캘리포니아대학교의 신경과학자 Mazen Kheirbe은 "우리는 불안감을 느끼는 감정적인 정보가 뇌 안에서 어떻게 암호화 되는지 알고 싶었다"고 전했습니다. 연구팀은 칼슘 이미징(calcium imaging) 기술을 사용해 실험용 쥐의 뇌에 축소된 현미경을 삽입했습니다. 해마 속 세포 활동을 기록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참고로 칼슘 이미징이란 격리된 세포나 조직에서 칼슘(Ca2+)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고안된 기술인데요. 칼슘은 세포 내 중요한 이차 신호전달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술은 칼슘 농도를 이미징함으로써 자극에 대한 세포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칼슘 이미징을 이용하면 살아있는 동물의 세포 내 칼슘을 광학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데요. 수백 개의 뉴런과 신경 아교 세포의 신경회로에서 칼슘 신호 전달과 관련된 연구를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출처: pixabay
칼슘은 세포 내 중요한 이차 신호전달 물질.

실험에서 쥐는 미로 속에 갇혀 길을 찾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 미로는 특수하게 제작됐습니다. 연구팀은 미로의 일부 경로를 개방된 공간과 높은 플랫폼으로 이어지게 만들었는데요. 쥐는 이러한 환경에 노출될 경우 포식자에게 취약해지기 때문에 불안감이 유발된다고 합니다.


출처: pixabay
미로 속으로~

미로 속의 벽이 더 이상 쥐에게 안전하지 않게 됐을 때, 연구원들은 쥐의 뇌 속에서 'ventral CA1(vCA1)'이라 불리는 해마의 일부 세포가 발화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쥐가 불안하게 행동할수록, 뉴런 활동은 활발해졌습니다. 컬럼비아대학교의 선임연구원인 Rene Hen은 "우리는 이 세포를 불안 세포라 불렀다"며 "동물들이 본능적으로 무서운 곳에 있을 때만 이곳이 활성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vCA1 세포가 바로 불안 세포라는 건데요.


이 세포의 활성화는 감정을 통제하는 호르몬을 조절하는 뇌 영역인 '시상하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왜냐하면 이 과정은 사람에게서도 동일한 과정으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연구진은 불안함을 발생시키는 뉴런이 실험용 쥐 뿐만 아니라 우리 인간에게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연구에 참여했던 컬럼비아대학의 바젤로스 의과 대학 Jessica Jimenez은 "우리가 해마에서 이 세포를 발견함으로써 전에 없던 치료법을 찾을 수 있는 새로운 영역을 열었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pixabay
빛을 비추니 불안감이 사라졌다!

과학자들이 이 불안세포를 어떻게 잠재울지 알고 있었는데요. 연구팀은 광유전학 기술(optogenetics)을 이용해 vCA1 즉, 불안 세포에 빛을 비췄습니다. 그러자 이 세포는 잠잠해졌고, 미로 안에 갇혀있던 쥐는 즉각적으로 불안한 모습에서 벗어났습니다. 심지어 이전과 다르게 자신감 있게 움직이는 관측됐는데요.


물론, 이 제어 스위치는 한 가지 방법으로만 작동하는 것은 아닙니다. 연구진은 빛의 설정을 변경해 이 불안 세포의 활동을 향상시켜 미로 속 실험용 쥐를 더욱 덜덜 떨게 만들 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연구팀은 뇌 안에 불안과 관련된 영역이 단지 vCA1 하나일 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연구진은 이 세포가 불안과 관련된 정보에 대해 배울 수 있는 확장된 회로의 한 부분일 뿐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연구팀은 향후 쥐에게 적용했던 동일한 제어 스위치가 인간의 불안감도 잠재울 수 있을지 연구할 예정입니다. 우리의 뇌와 쥐의 뇌는 유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에게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거라는 예측이 나옵니다.

##참고자료##

  • Jimenez, Jessica C., et al. "Anxiety cells in a hippocampal-hypothalamic circuit." Neuron 97.3 (2018): 670-683.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