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타보고 싶네" 테니스 라켓이 배배 꼬인 듯한 건축물

조회수 2018. 2. 6. 10:30 수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국형걸의 건축레시피] ⑥ 기하학 곡선으로 만든 공간의 마술 '다이나믹 릴렉세이션'

건축은 고대 기하학에서 시작됐다. 기본적으로 건축물은 무너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계산된 구조를 갖춰야 하고, 거대한 스케일을 효율적으로 시공하기 위한 수학적 정확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 수학적 기준이 미적으로 완벽한 비율이어야 한다는 점에서도 건축과 기하학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다. 피라미드, 파르테논 신전 등의 고대 건축물에서부터 현대의 첨단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된 기본적 기하학 원리는 크게 다르지 않다. 

출처: HG-Architecture
파르테논 신전(좌), 시드니오페라하우스.

‘다이나믹 릴렉세이션’은 ‘트레포일 낫(trefoil knot)’이라는 3차원 기하학에서 영감을 얻은 조형물이다. ‘삼각함수로 정의되는 기하학적 곡선이 현실 속 물리적인 공간이 된다면 어떨까?’, ‘ 단순히 아름다운 조형물을 넘어서 사람이 들어가고 올라탈 수 있는 쉼터가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 끝에 탄생한 작품이다. 

출처: HG-Architecture
순수 기하학적 공간의 구체화 과정(좌)과 디지털 제작 솔루션.

이 구조물은 2015년 올림픽공원 소마미술관의 ‘야외프로젝트 S’ 라는 공모 당선작이다. 전체 9.5m, 높이 3.2m의 이 거대한 스틸 구조물은 수학과 기하학에 의해 설계됐다. 정삼각형 단면을 가진 7개 타입, 21개 모듈로 구성된 이 구조물은 디지털 제작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출처: 신경섭
올림픽공원 소마미술관 앞마당에 설치됐던 다이나믹 릴렉세이션.

올림픽공원의 역동성을 나타내는 다이나믹 릴렉세이션은 낯설면서도 친숙하다. 만화나 영화에서 본 듯 한 느낌과 현실에서 마주친 적 없는 새로운 느낌을 동시에 준다. 소마미술관 앞마당 언덕에 설치된 이 조형물은 마치 테니스 라켓이 꼬인 것과 같은 독특한 모습 덕분에 올림픽공원의 아이콘이 됐다.

출처: 신경섭
3차원 기하학을 활용해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

다이나믹 릴렉세이션은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3가닥의 파이프가 교차하며 엮인 이 구조물은 디딤돌 역할을 하는 세 지점을 통해 지면에 고정돼 있다. 모듈 자체가 3차원 트위스트 방식으로 제작됐다. 전세계 최초로 강관(내부가 빈 봉 형태의 철강 제품)을 기하학에 적용한 디자인이다. 이러한 기하학적 형태는 스케일에 따라 작은 조형물뿐 아니라, 건축물에까지 적용될 수 있는 무한한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출처: 신경섭
스틸 구조체와 그물면의 조합으로 내부와 외부가 하나가 된다

강관 파이프를 따라 펼쳐진 그물 면은 하부에는 그늘을, 상부에는 사람들이 올라탈 수 있는 해먹 역할을 한다. 내부 공간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내외부가 서로 뒤바뀌는 공간으로 안팎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바닥과 벽, 천장이 하나로 이어지는 3차원 공간이다. 이는 단순히 관람용이 아닌 체험 가능한 조형물로 사람들에게 올라타보고 싶은 호기심을 자아낸다.

출처: 신경섭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역동적인 구조체.

구조물을 가까이서 바라보면 마치 살아듯한 힘을 느낄 수 있다. 마치 생물의 근육처럼 튀어나온 강관은 곡선을 따라 흐르며 역동성을 내뿜고, 지면에 고정되기보다는 잠시 안착한 듯한 모습이다. 이 곡선면은 주변 공원의 녹지 풍경을 새롭게 프레임화하고 곧 자연의 일부가 된다.

출처: 신경섭
아이들의 놀이터가 된 다이나믹 릴렉세이션.

다이나믹 릴렉세이션은 많은 사람이 올라탈 수 있도록 전문가의 구조 검토를 받은 안전한 구조물이다. 전시 기간동안 호기심 많은 아이들에게는 놀이터, 어른들에게는 신기한 관람 대상이었다. 놀이기구이면서 조형물, 조형물이면서 놀이기구이인 공간이었던 셈이다. 그러나 놀이터 시설물로 개발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몇 개월간 전시하고 안전 문제 때문에 철거됐다.

출처: 김정현
인피니트 엘리먼트(Infinite Element).

이후 다이나믹 릴렉세이션은 2016년 광주 비엔날레 폴리 전시에서 재탄생했다. 구조물의 기하학적 뼈대는 재활용됐고, 3차원 면은 미디어 아트를 만나 새로운 작품으로 거듭 났다. 이렇게 탄생한 작품이 바로 ‘인피니트 엘리먼츠(Infinite Elements)’로 과거, 현재, 미래로 무한 반복되는 시간 속의 거대 생명체를 표현했다. 


무한궤도 형태의 역동적인 구조체 안에서 반짝이는 LED 선들은 마치 DNA 속 나선구조처럼 변화무쌍한 하나의 생명체가 됐다. 인피니트 엘리먼츠는 2016년에 광주 비엔날레 광장에 전시된 이후 지금까지도 밤마다 주변을 밝히고 있다.


이처럼 기하학은 낯설고 특이한 형태를 실제로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하학을 활용해 탄생한 새로운 구조물들은 예술 작품으로도 사랑받고, 국제 특허로도 등록되는 등 지적 재산이자 디자인 발명품이다. 재생산과 맞춤형 개발을 통해 상품성을 지닌 건축 디자인으로서의 잠재력도 발휘하고 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