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시대의 예술작품

조회수 2020. 6. 16. 13: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우리는 '인스타그램'으로 우리의 스타일을 드러낸다.

젊은 세대의 보편적인 비주얼 감각은 인스타그램 감성으로 대변된다. 인스타그램 감성을 구성하는 요소는 아래와 같다.


  1. 빈티지한 색감의 필터
  2. 2차원 평면 구도
  3. 인물을 작게 하고 배경 여백 강조
  4. 1:1 비율의 정뱡형 구도
  5. 무심함


어느새 인스타그램 감성은 좋은 비주얼이라는 등식이 되었다. 인스타그램 감성의 이미지는 리얼리티보다 판타지를 자극한다. 


빈티지 필터는 2020년의 풍경을 6, 70년대의 감성으로 변주시킨다. 리얼한 풍경에 필터를 씌우고 다소 작위적인 이미지로 변환시킨다는 것은 인스타그램이 얼마나 판타지를 베이스로 하는 SNS인지 잘 알 수 있게 한다.


게다가 그 이미지의 피사체는 똑같은 라면이라도 양은냄비 라면이 아니라, 정갈한 그릇에 김치 한쪽이 담긴 라면이어야 한다는 맥락도 잊어서는 안 된다. 어느새 인스타그램은 개인의 취향을 드러내는 공간이 되었다.

인스타그램 감성으로 대변되는 밀레니얼의 비주얼 감각

18세기에 등장한 로코코 미술은 귀족과 부르주아의 취향을 드러내는 수단이었다. 사물의 윤곽을 뚜렷하게 그리기보다 흐릿하게 하여 사실성보다는 몽환적인 감각을 강화했다. 권위와 위엄을 보여주기보다 귀족들의 아기자기한 취향과 과시적인 향락, 화려함을 강조했다.


2020년, 오늘날 대중은 18세기 귀족 못지않은 라이프를 즐긴다. 세계를 여행하고 미술관에서 작품을 감상하고 고급 음식을 먹으며 18세기 대중이라면 꿈꾸지 못할 생활을 한다. 귀족들이 로코코 미술로 자신의 취향을 표현했다면, 오늘날 우리는 인스타그램으로 스타일을 드러낸다.

인스타그램 예술은 일종의 포스트 로코코라고 할 수 있을까?

물론 취향의 카테고리에서 로코코와 인스타그램에는 차이가 있다. 로코코가 눈에 보이는 과시적인 향락을 표현했다면, 인스타그램은 자신이 세상을 바라보는 라이프스타일을 과시한다. 


다시 말해, 고급 레스토랑에서 스테이크를 먹지 않고 집에서 김치찌개를 먹어도 좋다. 하지만 고춧가루 덕지덕지 붙어 있는 뚝배기에서가 아니라, 깔끔하고 정갈한 그릇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을 먹는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떻게 먹느냐가 인스타그램에서는 더 중요하다.

인스타그램에서는 무엇을 먹는지보다 어떻게 먹는지가 더 중요하다

올리비아 비(Olivia bee)의 사진은 드라마틱한 혹은 역사적인 스토리가 담긴 사진이 아니다.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일상의 풍경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을 어떻게 바라보고 찍었는지 작가의 감성만이 순수하게 드러난다.


올리비아 비는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친구들의 모습을 가감 없이 순간 포착한다. 피사체는 더할 나위 없이 자유롭고 가식 없다. 예쁜 척, 멋진 척 포즈를 잡지도 않는다. 그 모습이 다채로운 빛을 사용한 테크닉으로 다소 낭만적으로 묘사되었다. 이 사진에는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의미보다, 일상의 기록으로서 작가의 순수한 감각만을 전달한다.

올리비아 비의 The Brink of Devotion

사실주의 풍경화에서 우리는 작가의 특별한 의미를 발견하기 어렵다. 그 풍경화는 그저 사실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을 뿐이다. 그림에서 사진으로 매체가 변화하면서 사실주의 그림은 사진에게 자리를 내주었다. 사진은 사실을 묘사한다.


하지만 요즘 젊은 세대에게 사진은 순수하게 리얼리티를 살려야만 한다고 말한다면 뭐라고 답할까? 그들에게 카메라는 사실을 기록하고 묘사하는 도구라기보다, 자신의 감성과 감각에 들어맞는 이미지를 리터칭하고 재가공하는 데 필요한 장난감이다. 마치 인상주의 화가들이 객관적인 사실보다 자신이 대상을 바라보는 감각을 묘사했던 것처럼.


요시노리 미즈타니를 보면 강가의 날파리가 마치 눈송이처럼 보인다. 객관적으로는 여전히 날파리지만, 빛을 이용하여 눈송이처럼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젊은 세대들은 그렇게 표현되는 쪽을 더 좋아할 것이다. 날파리라는 현실보다.

요시노리 미즈타니의 Yusurika 005

김강희 작가의 <street errands>는 <Yurika 005>처럼 일상의 풍경을 기반으로 하지만, 조금 더 리터칭의 강도가 높다. 기존에는 사진을 보정하고 색감을 조절하는 도구로 포토샵을 사용했다면 이 작품에서는 합성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이 작품의 묘한 지점은 이질적인 두 개의 일상을 하나의 풍경 안에 합성했다는 점이다. 그래픽으로 새롭게 그린 합성이 아니라, 사실적인 두 개의 일상 풍경을 하나의 풍경에 녹여냈다는 점은 초현실주의 작품을 연상하게 한다. 르네 마그리트의 디지털 버전이라고나 할까?

김강희 작가의 street errands

기존 예술 작품의 기능이 메시지와 철학이었다면, 인스타그램 시대의 작품은 적극적으로 트렌드와 스타일을 수용하는 쪽으로 기운다. 이 작품들은 관람자에게 메시지를 주려고 하지 않는다. 그저 감각들을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현대예술에서 중요한 기능인 작가의 관념과 철학보다 인스타그램 감성의 트렌디한 감각이 전면에 있다.


요즘 20대들에게 중요한 소비 트렌드가 그렇다. 예술이 아니라 스타일을 소비한다. 과거에는 작가의 생각과 철학이 전시를 감상하게 하는 중요한 사용가치였다면, 이제는 감각적인 스타일이 사용가치가 된 것이다.


인스타그램의 작품은 이렇게 변화한 20대들의 코드를 역이용한다. 과거 예술의 기능이었던 비판적 메시지와 철학이 아닌 스타일의 기능화를 수용한 것이다. 누구에게는 허무맹랑한 가상의 이미지일지 몰라도, 그들에게는 그것이 바로 사용가치다. 


예쁜 쓰레기라는 말은 예쁘기는 하지만 사용가치가 없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예쁜 쓰레기의 사용가치는 그것이 쓸모가 없다는 점에 있다. 예쁘기만 하고 사용 가치가 없다는 것이 그것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가치다. 기능을 소비하는 게 아니라 그저 스타일만을 소비해야지만 자신의 취향을 두드러지게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인스타그램에서는 그것이 통용된다. 의미 없는 텅 빈 기호지만 기호 그 자체가 예쁘다면 사랑할 수 있다. 마치, 헐리우드 배우 토마스 맥도넬이 한글이 예쁘게 생겼다는 이유만으로 뜻도 모른 채 트위터에 업로드하는 것처럼.

뜻도 모르고 단지 한글이 예뻐서 트워터에 업로드한 배우 토마스 맥도넬

출처: 고로케의 브런치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