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십은 강요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조회수 2019. 11. 22. 17:11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남는 것은 자신의 삶이라는 브랜드이다.
오너가 아닌데 오너십을 가질 수 있겠는가?
라는 이야기를 종종 들어왔다. 오너십이라는 게 ‘회사의 주인처럼 생각하라’는 뜻으로 많이 쓰이는 것이 문제다. 물론 기업의 오너처럼 생각하면 성공할 것이다. 통찰, 발상, 연상의 능력이 얼마나 늘어나겠는가. 그러나 실제로 아빠가 아닌데 아빠처럼 생각하긴 쉽지 않다. 더욱이 강요하는 것도 무리다.

우리 회사에서는 오너십을 강조하지 않는다. 당연히 오너십 타령에 대한 반론도 들어본 적이 별로 없다. 그런데 한번은 어떤 외부인이 일 이야기를 하다가 대뜸 ‘자기 같은 직장인은 오너십 있을 수가 없다고 생각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뭔가 기이하다 생각이 들었는데 최근에야 어느 지점이 괴상한지 이해가 됐다.


사실 사람을 볼 때 자신이 다니는 회사에 얼마나 오너십을 가졌는진 크게 궁금하지 않다. 그러한 오너십이 어떤 의미인지조차 잘 모르겠다. 트레이더로 살던 당시에도 내가 속한 회사를 향한 애정은 그냥 개인적 애정 수준이었다. 다만 내 포지션과 결과에 사활을 걸었을 뿐이다.


내 일에, 내 파이에, 내 목표와의 접합점에, 내 칼로리에, 내 성공에 집중했다. 자기 삶의 오너인지가 훨씬 중요하다. 내 삶에 대표이사가, 경영진이 따로 있진 않은지. 아니면 내가 내 삶을 오롯이 대변하는지. 내가 최종 의사결정자이고 모든 것을 책임질 각오가 있는지, 그래서 어디까지 도전하는지, 이런 것들이 중요하다.


부동산 중개인이, 인테리어 업자가, 외주 개발자가, 자신이 ‘주인’이 아니므로 일에 오너십이 없다고 하면 이상한 문장이 되지 않을까? 자신이 100% 주인이어야만 일의 주인인 것은 아니다. 100% 지분 보유라는 게 얼마나 모호한 이야기인가, 이건희나 이재용도 100% 오너가 아니다. 자신의 지분만큼, 혹은 자신에게 일이 중요한 만큼만 오너십이 있으면 된다. 전셋집에 산다고 내 집도 아닌데 왜 청소를 하느냐? 그래도 생활은 나의 몫이니까 집을 가꾸지 않겠는가.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