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밥상

조회수 2018. 2. 12. 11:59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치열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함께하는 식사는 사치일 뿐이다

한국에서 ‘식구(食口)’라는 개념이 사라지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2014 국민 건강 통계’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 3417명 중 가족과 함께 아침을 먹는 사람은 44.7%로 절반이 채 안 됐다. 이는 2005년 조사 결과인 62.9%보다 18.2% 포인트 가량 줄어든 수치다.


가족과 함께 저녁을 먹는다고 대답한 사람도 64.9%로 3명 중 2명에 불과했다. 가족과 함께 저녁을 먹는 사람의 비율은 2005년 76.1%에서 2008년 68.6%, 2012년 65.7%로 계속해서 낮아지고 있다.


반면, ‘혼밥족(族)’은 늘고 있다. 지난해 SK텔레콤이 대학생 및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한 ‘혼밥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96.4%가 혼밥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혼밥을 경험하지 못한 이는 3.6%에 불과했다. 특히 일주일에 10회 이상 혼자 밥을 먹는다고 답한 사람은 3명 중 2명(66.8%)이었다.

 


1. 마트근무자의 밥상

출처: 이모씨
마트 근무자 이 모(26) 씨의 저녁 밥상. 이씨는 현재 하루에 12시간씩 일을 한다. 함께 저녁을 먹을 사람은 없다.

마트 근무자 이 모(26) 씨는 제육볶음과 오징어 젓갈, 콩자반으로 늦은 저녁을 먹는다. 이씨는 9시 30분부터 21시 30분까지 일한다. 식사시간에 편히 밥을 먹지도 못한다.


이씨는 방직공장에서도 두 달여 일했다. 6시에 출근해 15시에 퇴근했고, 주간 조일 때는 13시부터 23시까지 일했다. 30도가 넘는 뜨거운 공장에서 쉬는 시간 없이 일했고 주말도 출근했다.


몸이 버티지 못해 그만두고 두 번 만에 새 직장을 구했다. 직장 근처에서 집을 구하다 보니 친구와 연락이 뜸해졌다. 여자친구와도 헤어졌다. 이씨는 “일도, 사람도 쉬운 게 없다”면서 “힘들 때 서로 다독일 친구가 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2. 노량진 고시 준비생의 밥상

출처: 김이향
고시 뷔페 반찬은 10여 가지나 되지만, 홀로 놓인 접시는 초라하기 그지없다.

노량진 취업 준비생들은 고시 뷔페에서 홀로 끼니를 때우는 경우가 많다. 한 끼에 4천5백 원 수준이지만 한 달권을 끊으면 더 저렴하다. 이 모(27) 씨도 그중 하나다.


급하게 점심을 먹고 나온 그가 담배에 불을 붙였다. 이씨는 경찰공무원을 준비 중이다. 노량진에 온 지 넉 달밖에 되지 않았지만 매주 어울리던 친구들을 만날 겨를 없이 바쁘게 산다.


연애는 합격 이후로 미룬 지 오래다. 매일 마주치는 학원 수강생들과 인사를 나누거나 함께 스터디를 하는 일은 없다. 그는 저녁에도 같은 고시 뷔페에서 끼니를 때울 생각이다.


 

3. 자영업자의 밥상

출처: 박모씨
두 뼘 너비의 카운터에 싸 온 반찬 통을 펼치고 눈과 귀는 손님이 오는지 살피며 긴장 속에 식사한다.

박 모(61) 씨는 남편과 24시간 편의점을 운영한다. IMF 끝 무렵 남편이 명예퇴직을 당하고 알음알음으로 시작한 일이다. 인건비를 줄이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을 몰라 부부는 하루를 둘로 쪼개 반씩 근무를 한다. 교대시간 전후 두 시간 남짓이 박씨가 하루 중 애들 아빠를 만나는 유일한 시간이다.


오전 10시 반. 박씨는 늦은 아침과 이른 점심 사이의 첫 끼니를 먹는다. 다시 오후 3시 반. 남편이 오고 박씨는 빈집으로 돌아간다. 주말도 휴가도 없는 연중무휴의 도돌이표 하루는 12년째다.


박씨가 하루 중 가장 많이 하는 말은 “그거 두 개 사면, 하나 더 드려요”다. 서른 발자국만 가면 있는 이웃 편의점에 대해 그는 “얼굴도 몰라요”라며 웃었다.


 

4. 고3 수험생의 밥상

출처: 김이향
휴일이라 집에서 공부하다 잠시 나온 이군은 혼자 햄버거를 먹은 뒤 바로 집으로 돌아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모(19) 군은 대치동 패스트푸드점을 찾았다. 휴일이라 집에서 공부하다 잠시 머리를 식히기 위해 나왔다. 혼자 햄버거를 먹고 다시 돌아갈 생각이다. ‘수능이나 대입 준비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냐’는 질문에 “6월에 모의고사가 있어서 부담되지만 자신 있다”고 답했다.


한 살 많은 여자친구와 지난해 헤어졌다. 수시로 대학 입시를 준비하던 여자친구는 공부를 이유로 먼저 헤어지자고 말했다. 관계를 묻는 말에 “가족과의 사이도 친구와의 사이도 나쁠 건 없다”라며 별로 생각해 본 적 없는 듯 무심하게 답했다.

 


5. 직장인의 밥상

출처: 김영주
직장인 김씨는 카페에서 파이와 커피로 끼니를 해결했다.

서울 종로의 한 카페에서 만난 김 모(54) 씨는 영어 공부에 여념이 없었다. 막 학원에서 강의를 듣고 오는 길이었다. 단출한 파이 한 조각과 커피 한 잔이 그의 점심이었다.


김씨는 끼니를 때우면서 그날 배운 내용을 복습했다. 모 대기업에서 일하는 그는 점심시간을 이용해 영어학원에 다닌다. 정년을 바라보는 나이지만 꼭 필요한 영어를 놓을 순 없다.


추가 질문에 난감해하던 김씨는 “제가 영어 듣기를 해야 해서”라고 말하며 이어폰을 꽂았다.


 

혼자 식사를 하는 이유는 세대별로 달랐다. 최근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오유진 박사가 ‘1인 가구 증가 양상 및 혼자 식사의 영양’이라는 보고서에서 20~60대 직장인 4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대는 혼밥을 하는 이유로 ‘여유롭게 먹을 수 있어서’(24.2%)를 가장 많이 꼽았다.


반면, 30대 이상은 어쩔 수 없이 혼자 식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30대와 50대 이상은 ‘같이 먹을 사람을 찾기 어려워서’ 홀로 먹는다고 답한 비율(30대 38.7%, 50대 37.9%)이 가장 많았다. 40대는 ‘시간이 없어서’ 홀로 먹는 비율이 29.2%로 10명 중 3명꼴이었다.


한국인에게 식사는 단순히 배를 채우는 행위가 아닌 타인과 관계를 맺는 매개체다. 함께 밥 먹으며 소통함으로써 정신적인 유대감이 생기고 사랑의 감정이 싹트게 된다. 하지만 치열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누군가와 함께하는 식사는 사치일지도 모른다.


원문: 단비뉴스 / 필자: 김이향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