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중한 퇴직금, 얼마나 세금을 내야 하는지 궁금하시다면?

조회수 2020. 6. 17. 13:34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한 회사에서 N년 간의 근무를 마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당신의 손에는 ‘퇴직금’이 쥐어지게 될 텐데요. 퇴직금 덕분에 제2의 인생을 준비하거나 잠시 쉬더라도 마음의 안정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그런데 퇴직금에도 세금을 내야 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퇴직소득이란?

퇴직금은 근무지에서 1년 이상 계속 근무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퇴직급여입니다. 공적연금 관련법에 따라 받는 일시금 및 사용자 부담금을 기초로 하며, 퇴직을 원인으로 받는 ‘퇴직소득’이죠.

소득으로 보기 때문에 근로자는 이에 대한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퇴직소득의 소득세와 지방소득세가 과세되며, 퇴직금을 줄 때 그 소속 기관이나 사업자, 퇴직연금 사업자 등이 이를 원천징수합니다. 그래서 개인이 따로 신고할 필요는 없어요.

다만, 해당 과세기간에 이미 지급받은 퇴직 소득을 실제 퇴직 시 지급하는 퇴직소득과 합해 원천징수의무자가 퇴직소득세를 정산하지 않았을 경우 퇴직소득자가 그 다음해 5월 중에 퇴직소득 과세표준확정신고를 해야 합니다.

* 퇴직소득의 범위

1. 공적연금 관련법에 따라 받는 일시금
- 소득을 지급하는 자가 퇴직소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연해 지급하면서 지연지급에 대한 이자를 함께 지급하는 경우 해당이자 포함
2. 사용자 부담금을 기초로 현실적인 퇴직을 원인으로 지급받는 소득
3. ‘과학기술인공제회법’에 따라 지급받는 과학기술발전장려금
4. ‘건설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급받는 퇴직공제금
5. 종교관련 종사자가 현실적인 퇴직을 원인으로 종교단체로부터 지급받는 소득(2018. 1. 1부터 시행)
6. 소기업·소상공인 공제금(2016. 1. 1 이후 가입하는 분부터 적용)

퇴직소득 비과세 대상

퇴직소득 중 일정요건 소득의 경우 비과세 대상입니다.

퇴직소득 과세표준 및
산출세액 계산법

퇴직소득세는 과세표준과 근속연수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계산방법은 다음과 순서에 따라 산출됩니다.

① 퇴직소득 과세표준

환산급여 (퇴직소득금액-근속연수공제)÷근속연수×12 -환산급여공제

- 환산급여 = (퇴직소득금액 – 근속연수 공제) / 근속연수 X 12

- 퇴직소득금액 = 퇴직금여액 – 비과세 소득

② 퇴직소득 산출세액

(퇴직소득 과세표준×기본세율)÷12 × 근속연수

③ 경과조치

2016. 1. 1. 부터 2019. 12. 31. 기간 동안 퇴직한 사람은 2015. 12. 31. 이전 계산방법에 의한 산출세액과 2016. 1. 1. 이후 계산방법에  의한 산출세액에 아래에 따른 연도별 적용비율을 적용하여 산출세액을 계산합니다.

퇴직소득 산출세액 = (㉮×연도별 적용비율)+(㉯×연도별 적용비율)

국세청 홈택스에서 계산할 수 있어요!

너무너무 복잡하시죠? 국세청에는 이런 복잡한 계산을 하지 않아도 되는 방법이 다 있습니다. 만능 홈택스가 나올 시간이네요!

국세청 홈택스 누리집에서 퇴직소득 세액계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편리하게 퇴직소득세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 세금모의계산 > 퇴직소득 세액계산


제2의 인생을 위한 퇴직금! 정당한 노동의 결과인 만큼, 내 손에 쥐어진 금액이 맞는지 꼼꼼히 확인해봐야겠죠? 근로자가 한 번 더 계산하고 확인해 퇴직금 사용에 차질이 없길 바라겠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