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연금계좌 있다면? 과다공제 체크![세. 줄 연말정산]

조회수 2021. 2. 26. 16:06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그동안 부양가족 중복공제, 중소기업 취업자 감면 등 다양한 부당공제에 대해 다뤘는데요. 오늘은 연금계좌 과다공제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현재 연금계좌 납입액의 일정 비율을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해주고 있지요? 이 또한 자칫 ‘부당공제’가 될 수 있으니, 다시 한 번 짚어보겠습니다.


연금계좌 세액공제는
총급여액에 따라 달라져요

연금계좌는 크게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을 말하는데요. 연금저축계좌, 퇴직연금계좌, 개인형 퇴직연금, 과학기술인공제회법에 따른 퇴직연금에 납입한 금액 공제까지 포함됩니다.

연금계좌 세액공제 한도는 총급여액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총급여액이 1억 2,000만 원 이하라면 연금계좌 400만 원, 퇴직연금계좌 300만 원까지, 총급여액이 1억 2,000만 원을 초과한다면 연금계좌 300만 원, 퇴직연금 계좌 400만 원을 납입하면 최대로 공제를 받을 수 있답니다. 공제율은 총급여액이 5,500만 원 이하자는 15%, 초과자는 12%입니다.

또한 노후대비가 필요한 50세 이상자로 해당 과세기간 금융소득금액 합계액 2,000만 원 이하자는 연금계좌 납입한도가 3년간 한시적으로 상향 조정 되었는데요. 총급여소득 1억 2,000만 원 이하는 4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공제 한도가 넓어졌습니다.

*총급여액 1.2억 원(종합소득금액 1억 원) 초과자 또는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현행 공제한도 유지

-(적용시기) ’20.1.1. 이후 납입하는 분부터 적용

부당공제 이럴 때 발생합니다!

최대한 공제를 많이 받아 알뜰히 세금을 줄이려는 분들은 저축과 공제 혜택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연금계좌를 만들어 절세 팁으로 활용하고 있는데요. 저축 계좌를 착각해 과다 공제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부당공제가 많이 일어나는 사례를 살펴볼까요?

첫 번째는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을 착각해 잘못 기재하고 과다공제를 받은 경우입니다. 개인연금저축은 개인연금저축 소득공제로, 연금저축은 연금계좌세액공제로 각각 적용받을 수 있는데요.

개인연금저축은 납입금액의 40%를 공제하며 72만 원이 한도입니다. 하지만 연금저축은 납입금액의 100%를 공제하며 400만 원이 한도죠. 연금저축 공제를 위해 개인연금저축 자료를 제출하면 자칫 부당공제가 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배우자나 부양가족 명의의 연금저축 납입액입니다. 근로자 본인이 납입한 것만 공제받을 수 있고, 기본공제대상자가 납입한 연금저축 납입액은 공제 대상이 아니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세 번째는 연금저축 중도 해지 시 공제입니다. 만약 해지했다면 당해연도에 불입한 금액이 있다고 해도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신고 시 연금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7월에 해지했다고 하더라도 1~6월 간 불입한 금액을 공제받을 수는 없죠.


많은 분이 연말정산을 위해 혹은 노후를 위해 연금계좌를 개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제가 되는 부분이 아닌데 신청을 했거나, 공제율을 헷갈려 기입하지 않았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현명한 절세 방법이라는 생각에 시작한 연금계좌가 되려 부당공제 가산금으로 돌아오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