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방송가 풍경, 집콕! 집콕! 집콕!

조회수 2020. 12. 10. 18:4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변화를 맞이한 미디어 업계를 둘러봤습니다

코로나19가

세상을 뒤덮은 2020년,

미디어 분야도

큰 변화를 겪어야 했는데요.


미디어 업계의

10가지 장면을 모아봤습니다.

#01
적응한 방송,
‘비대면 관객’ 의외의 ‘케미’

“원래 전국을 돌아다니는

대형 예능 프로그램을 기획했는데,

코로나19로 무산됐다”


한 종합편성채널

관계자의 말인데요.

코로나19는

방송가의 편성과

제작 전반을 뒤흔들었습니다.


코로나19 초기

‘김영철의 동네한바퀴’

‘스탠드업’ ‘MTV더쇼’

‘한끼줍쇼’ ‘더짠내투어’

‘어쩌다 가족’ 등이

제작 중단됐는데요.


최근 확진자가 발생한 TBS는

12월 첫 주 더룸과

해시태그를 결방했죠.

출처: 재택에서 가능한 아르바이트편을 기획한 '워크맨' 갈무리

코로나19가 장기화되자

방송사들은

다양한 변화를 시도했는데요.


직업을 체험하는

JTBC 웹예능 ‘워크맨’은

집에서 할 수 있는

아르바이트편을 선보였고,


야외 촬영을 중심으로 했던

tvN ‘유퀴즈 온 더 블럭’은

실내 토크쇼로 전환했죠.


 TV조선은 지난 4월

전화로 신청곡을 받는 음악 프로그램

‘사랑의 콜센타’를 기획해

호평을 받기도 했습니다.

출처: TV조선 '사랑의 콜센타' 화면 갈무리

관객과 호흡을 맞추는 프로그램은

‘사라진 관객’이 난제였는데요.


tvN ‘코미디 빅리그’는

출연 개그맨들이 방청석에 앉아

빈자리를 채웠는데요.


오히려 객석에 앉은 개그맨들이

웃음을 자아내려고

과도한 분장을 하는 게

하나의 재미로 자리매김했죠.


이어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코미디 빅리그’는

비대면 관객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출처: '코미디 빅리그' 비대면 방청객 화면 갈무리

#02
최대 수혜자 넷플릭스

‘집콕’이 이어지면서

OTT 시장의 상승세가

눈에 띄었는데요.


특히 고강도 거리 두기가

이어질수록

OTT 이용도 늘었습니다.


제일기획이

지난 4~8월 실시한

모바일 이용 시간 조사 (15~59세, 

수도권 거주 500명)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

평일 기준 모바일 이용량은

206분이었는데,

확산세가 거셌던 4월에는

316분으로 급증했죠.


8월 다시 측정해보니

294분으로 소폭 줄었습니다.

특히 넷플릭스는 

‘대세’를 굳혔는데요.


와이즈앱 조사에 따르면

넷플릭스 국내 유료 가입자는

336만명으로 추산됩니다.


많은 제작사들이

넷플릭스로부터 투자를 받아

‘오리지널 콘텐츠’를 만든 데다


‘승리호’ ‘콜’ 등 신작 영화가

개봉을 미루다

넷플릭스를 택해

오리지널 영화 콘텐츠까지

흡수하고 있죠.

출처: DAUM 영화

#03
TV 시청 늘었는데…
웃지 못하는 방송사

줄곧 감소세를 보이던

TV 시청량이

늘어나는 반전이 있었지만

방송사들은 넷플릭스와 달리

웃지 못하는 분위기인데요.


이혜미 제일기획 연구원은

‘광고계 동향’ 9·10월호 기고를 통해

방송 광고비가 늘지 않은 이유로

OTT 성장과 더불어


“소비자의 주목을

잡아 둘 콘텐츠가

여전히 부재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출처: gettyimagesbank

신문·잡지 시장은

더욱 위태로운데요.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신문·잡지사 84.2%가

코로나19로 인한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고

호소했는데요.


지역신문 위기 상황에서

광고는 줄고

지역 행사와 연계한

사업까지 차질을 빚는 등

지역신문 상황은 더욱 심각한데요.


이 가운데 구글이

저널리즘 긴급구제 펀드를 마련해

국내 지역 언론을 포함한

전 세계 군소 언론을 지원해

지역 언론에선 이를 반기기도 했죠.

#04
코로나19 우려에 일감까지 줄어…
스태프·보조출연자 ‘이중고’

방송이 중단되면서

외주·프리랜서 인력들이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최근 드라마, 예능 등의 제작이 

다시 활발해졌지만

지난달 22일 ‘달이 뜨는 강’을 포함해

10여편의 드라마가 제작이 중단돼

보조출연자들이

생활고를 겪고 있습니다.

오는 12월10일부터

예술인 고용보험이 시행되지만

출판 분야와 보도 부문 방송 작가가

적용 범위에서 빠진 문제도 있는데요.


전국언론노조는 8일 기자회견을 열고

“사각지대에 놓인 노동자들을

한 번이라도 들여다보았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습니다.

#05
코로나 때문에 ‘기자’
못 만나는 거 맞죠?

코로나19는

기자들의 취재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기자들은 비대면 중심 취재에

‘답답’함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기자들의 취재 대상인

기관과 기업은

비대면 기자간담회가

전면 도입됐는데요.


비대면 기자간담회의 질의응답은

기자가 채팅을 통해 질문을 남기면

하나씩 읽으며 답변하는 형식이었죠.

뉴스통신사 소속의 한 기자는


“(답변을) 동문서답으로 한다.

오프라인이면 끊고

재질문하거나 정정할 수 있는데

재질문 자체가 불가하다.

전반적으로 받아쓰기 보도가

많아진 것 같다”고 했는데요.


경제지 소속의 한 기자는

“사건팀이 밖에 나가지 못하고 있어

취재에 한계를 느낀다.

현장에서 명함을 얻는 경우가 많은데,

연락처 얻기도 어려워졌다”고

토로했죠.

#06
슬기로운 집콕생활
#요리 #홈트

틱톡에서 올해 가장

주목 받은 해시태그는

바로 ‘#집콕생활’ 인데요.


틱톡이 12월7일 발표한

결산 자료에 따르면

해당 해시태그 영상 수만

15만개에 달했습니다.


이 가운데 ‘홈트’(홈트레이닝)와

‘요리’ 영상의 주목도가 컸는데요.


‘청담언니(chengdamunni)’의

소시지빵 만들기 영상은

조회수가 9800만회를 기록했죠.

출처: '백종원의 요리비책' 화면 갈무리

유튜브 대세도 ‘집콕’이었는데요.


2020년 한국 유튜브에서

구독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채널 2위는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요리 레시피를 전하는

‘백종원의 요리비책’이었습니다.


8위는 마트 신제품을 리뷰하고

요리를 선보이는 채널

‘승우아빠’가 차지했는데요.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운동법을 알려주는

‘Thankyou BUBU’는

10위에 올랐습니다.

#07
두유노 블랙핑크?
K팝 날개 달다

코로나19 국면에서

K팝 콘텐츠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SM엔터테인먼트가

네이버 브이라이브와

제휴를 맺고 제작한

비대면 유료 콘서트

‘Beyond LIVE’는

AR 등 기술을 접목한

비대면 콘서트의 새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는데요.


지난 6월

방탄소년단의 온라인콘서트에는

최대 동시 접속자가

75만6600여명에 달했습니다.

출처: 방탄소년단 온라인 콘서트를 다룬 KBS 뉴스9 갈무리

유튜브도

K팝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닐 모한 유튜브 최고제품 책임자는

지난 7월 국내 기자 간담회에서


“25개 K-POP그룹의 해외 시청량이

90% 이상을 차지한다.

업로드 후 24시간 이상

가장 높은 조회수를 기록한

영상 절반이 K팝 콘텐츠다.

기록적인 수치”라고 평가했죠,


블랙핑크의 ‘하우 유 라이크 댓

(How You Like That)’ 

유튜브 뮤직비디오는

영상 공개 첫날 조회수가

8630만회를 기록해

‘24시간 내 유튜브 동영상 최다 조회수’

세계 신기록을 갈아치웠죠.

#08
구속 사례까지 나온
선 넘은 허위정보

온라인 공간에선

코로나19 음모론과

허위정보가 급증했습니다.


보수 진영 일각에선

정부 비판을 위한

코로나19 허위정보를

유포하기도 했죠.


이만희 신천지 총회장과

문재인 대통령이 악수를 했다는

허위정보를 유포한

‘가로세로 연구소’ 진행자 강용석씨는

구속되기까지 했습니다.

#09
미디어 교육
‘백신’ 될 수 있을까

코로나19로 인한 폐해는

교육적 차원의 대응으로도

이어졌습니다.


정부는 지난 8월27일

‘코로나19 이후 시대 핵심과제’

정책의 일환으로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을 발표했는데요.


이는 범부처 차원에서 이뤄진

첫 미디어 교육 정책이었죠.

종합계획은

△온·오프라인

미디어교육 인프라 확대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제작 역량 강화

△미디어 정보 판별 역량 강화

△배려·참여의 디지털 등으로

나뉩니다.

#10
LG, 선수 헬멧 광고 문구
영어로 바꾼 이유는?

지난 7월

미국의 토크쇼 ‘코난쇼’에서

이색 풍경이 펼쳐졌는데요.


진행자 코난 오브라이언이

코미디언 앤디 릭터와

비대면으로 대화를 나눴는데,

소재가 한국 프로야구 선수의

음주운전 문제였다.


둘은 “두산 베어스”를 환호하며

유창하게 응원가를 부르기도 했는데요.


생소한 한국 프로야구(KBO)를

익숙한 듯 말하며

웃음을 유발하는 내용이었죠.

미국 메이저리그(MLB)

개막이 연기되면서

킬러 콘텐츠를 잃은 ESPN은

KBO와 계약을 맺고

한국 프로야구를 중계했는데요.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미국에선 금기시된

‘빠던’(배트 던지기)이

‘신기한 광경’처럼 여겨졌고,


경기장 내에 있는

피자 광고 모델인 김준현은

‘피자 가이’로 불렸다.


노스캐롤라이나 지역에선

지역의 약자와 이름이 같은

NC다이노스를 응원하기도 했습니다.

‘내수’ 스포츠가

해외 시청자를 확보하면서

LG전자는 LG트윈스 선수들의

헬멧과 모자에

부착하는 광고 문구를

‘LG 올레드 TV’에서

‘LG OLED TV’로

바꾸기도 했습니다.

출처: 미디어오늘
이미지를 누르면 해당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출처: 미디어오늘
이미지를 누르면 해당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출처: 미디어오늘
이미지를 누르면 해당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