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고증에서 자유로울지 의문인 영화

조회수 2019. 7. 15. 18:08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By. 뉴스에이드 김경주

[시사 직후]

출처: '나랏말싸미' 포스터
오늘의 [시사 직후], 오는 24일 개봉 예정인 영화 '나랏말싸미'다. 

'나랏말싸미'는 세종의 한글 창제 과정을 영화화한 작품. 여름 성수기 시장, 한국 영화의 첫 스타트를 끊는 영화인 만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 관심을 입증하듯, 15일 서울 코엑스 메가박스에서 열린 언론시사회가 끝나자 영화에 대한 동료 기자들의 질문이 쏟아졌다.

그 질문들에 차근차근 답해볼까. 
출처: '나랏말싸미' 스틸컷

Q. 송강호 표 세종은 '사도'의 영조와 많이 다르던가요?

수많은 영화에 출연했지만 송강호의 사극은 그리 많지 않다. '관상' 그리고 '사도' 정도?


덕분에 '사도' 속 영조 송강호를 기억하는 이들이 많을 거다.


그런 그가 이번 '나랏말싸미'에서는 세종을 연기하게 됐으니, 차별점을 궁금해할 수밖에.

출처: '나랏말싸미' 스틸컷

결론부터 말하자면, 사실 그리 크게 다르진 않다. '사도'에서의 모습이 좀 더 늙었다는 거?


그것 빼고는 '사도'와 '나랏말싸미' 모두 곤룡포 입은 송강호의 모습이다.


뿐만 아니라 '사도'에서 아들과의 갈등으로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였다면, 이번 역시 한글 창제 과정에서 오는 고뇌를 다루고 있다.


즉, 결이 비슷한 캐릭터인 것이다.

출처: '나랏말싸미' 스틸컷

그렇다고는 하나, 어디 송강호가 어설프게 연기했을까.


연기력만큼은 탁월하다. 한글 창제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는 모습과 함께, 각종 병에 걸려 쇠약해져 가는 모습을 제대로 표현해냈다.


'저러다 송강호가 진짜 쓰러지는 거 아닐까' 싶은 생각 절로 들 정도다.

Q. '너무 진지해서 탈'이라는 소문이 돌았는데, 어땠나요? 지루하지는 않던가요?

출처: '나랏말싸미' 스틸컷
영화는 소재에 충실하다. 처음부터 끝까지 말 그대로 '한글 창제 과정' 밖에 나오질 않는다. 

결과물인 한글이야, 쉬운 원리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다지만 그걸 만들어내기까지는 무수히 많은 공부와 연구가 필요하지 않았겠는가. 

그러니 '진지하다'는 소문이 돌 수밖에. 
출처: '나랏말싸미' 스틸컷
하지만 우려만큼의 진지함, 그리고 지루함은 없었다. 

그 일등공신은 단연 한글 창제에 힘을 보태는 스님 캐릭터들!

세종과 신미(박해일)는 한없이 진지하지만 그들을 돕는 학조 스님(탕준상), 학열 스님(임성재) 등이 재미를 더했다. 
출처: '나랏말싸미' 스틸컷

특히 이 스님! 뛰어난 암기력을 자랑하는 학조 스님으로 웃음은 물론이거니와 색다른 매력까지 발산해 주목할 만하다.

Q.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랑 같은가요? 재해석되거나 살 붙인 게 많은지?

세종의 한글 창제에 대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은 1. 세종이 주도했다, 2.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했다, 이 정도일 텐데.


하지만 '나랏말싸미'는 아예 다른 시각으로 한글 창제를 바라본다.


여러 가지 설 중에 하나인, 신미 스님의 한글 창제 참여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출처: '나랏말싸미' 스틸컷

그렇다 보니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실과 사뭇 다른 내용이 많다.


특히 훈민정음 반포에 적극적이었다고 알려진 집현전 학자 정인지에 대한 내용이 눈길을 끄는데.


'나랏말싸미'에서 정인지는 문자를 만들고자 하는 세종의 뜻에 반대하는 인물로 등장한다.

출처: '나랏말싸미' 스틸컷

영화는 처음부터 '재해석'을 강조하긴 하지만 이런 점들이 고증 논란에서 얼마나 자유로울지는 의문이다.

Q. 故전미선의 유작인데, 어땠나요?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故전미선의 유작이 바로 '나랏말싸미'다.

출처: '나랏말싸미' 스틸컷

故전미선은 극 중 세종의 한글 창제를 돕는 소헌왕후 역을 맡았다.


소헌왕후는 제약이 많은 궁궐 안에서도 남편인 세종을 돕는 여장부로 등장하는데.


유작이라는 점이 아쉬울 만큼 소헌왕후 캐릭터를 완벽하게 그려냈다.

출처: '나랏말싸미' 스틸컷

중전답게 기품 있으면서도 밀어붙여야 할 땐 남편 세종보다 더 강단 있는 모습을 소화해냈다.


故전미선을 사랑한 이들이라면 '나랏말싸미'의 열연을 통해 조금이나마 그 아쉬움을 달래시길.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콘텐츠의 타임톡 서비스는
제공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