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빚더미, 재계 "나 떨고 있니.."

조회수 2020. 4. 6. 15:39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코로나19 여파 속에 올 한해 만기도래되는 국내 기업들의 회사채 규모가 50조원에 달하며 산업 전반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진=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금융시장이 얼어붙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의 회사채 만기가 다가와 가뜩이나 어려운 경영상의 고통을 가중시킬 것이란 지적입니다.

한국예탁결제원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현재 국내 240여개 기업의 회사채 발행 규모는 총 204조원입니다.

이 중 올해 만기 도래되는 회사채는 170여개 업체에서 50조8700억여원에 달합니다.

중소기업은 물론 대기업들도 줄줄이 회사채 만기 폭탄을 안고 있는 상황입니다.

SK, 롯데, 신세계, CJ 줄줄이… 자금확보 고민

당장 4월이 심각합니다.

이달 회사채 만기 도래액은 6조549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1991년 이후 4월 기준 만기금액 중 가장 큰 규모로, 월간 기준으로도 올 한해 전체의 13%에 달합니다.

“3월 결산 실적과 주주총회로 인해 미뤘던 회사채 발행을 4월에 쏟아내는 경향이 있다. 하필 코로나19 사태가 절정일 시기에 맞물려 버렸다”

- 재계 관계자

대기업조차 빚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입니다.

통상 기업은 회사채 만기가 다가오면 신규 회사채를 발행해 갚는 차환방식을 쓴다. 하지만 현 상황에선 자금조달이 쉽지 않습니다.

예탁원과 증권가에 따르면 4월 회사채 만기도래 규모가 큰 기업은 SK그룹과 롯데그룹으로, 각각 6000억여원, 5000억여원을 상환해야 합니다.

이어 신세계와 CJ의 계열사들도 각각 2000억여원씩의 회사채가 4월 중 만기됩니다.

유통기업의 회사채 만기도 상당합니다.

롯데 계열의 경우 롯데칠성음료와 호텔롯데의 회사채 만기 규모가 각각 2200억원, 1200억원 등입니다.

신세계에선 신세계센트럴시티가 900억원을, CJ 계열 중엔 CJ대한통운이 1200억원의 회사채 만기 상환을 각각 앞두고 있습니다.

기업별로는 1000억원 초과 기업이 25곳이며 2000억원 이상 기업도 8곳이나 됩니다.

가장 많은 미상환 잔액 보유기업은 GS(지주)로 3000억원을 상환해야 합니다.

이어 SK네트웍스 2800억원,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금융지주가 각 2500억원씩입니다.

코로나19에 큰 타격을 받은 대한항공은 2400억원의 회사채를 갚아야 합니다.

주류시장 침체를 겪고 있는 하이트진로는 1430억원의 회사채가 만기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1000억원을 넘는 회사채 보유 기업으론 LG CNS(2100억원) 포스코에너지(1200억원) 등이 있습니다.

신용등급별로 살펴보면 가장 우려되는 A등급 이하 비우량 회사채 만기를 앞둔 기업들도 상당수 포함돼 있습니다.

대한항공의 경우 BBB+ 등급이고 하이트진로와 풍산(1000억원)이 A등급, SK건설(560억원)이 A-등급입니다.

기업들은 만기 부담이 더해지는 만큼 자금확보 등 대응책 마련에 총력을 가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마트가 스타필드를 지으려던 서울 마곡동 부지를 팔고 SK네트웍스가 직영 주유소를 매각한 이유도 결국 현금 확보 차원이죠.

4월 회사채 만기도래액 1000억 초과기업.©예탁결제원 참고

정부, 4조원 회사채·CP 사들인다… 비우량기업 지원은 ‘걱정’

정부는 4월 시작과 동시에 ‘회사채시장 안정화 프로그램’을 가동했습니다.

코로나19 사태로 회사채 차환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 지원에 나선다는 것입니다.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은 중견·대기업들의 회사채·CP(기업어음) 등 차환을 매입해 자금경색을 완화할 방침입니다.

산업은행은 1조9000억원 규모의 회사채 인수 프로그램을 4월부터 가동했습니다.

신용등급 A 이상이거나 코로나19 영향으로 등급이 하락한 기업이 대상이죠.

산업은행은 기업은행과 함께 2조원 규모의 기업어음(CP) 매입도 이달부터 시작합니다.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한 1조7000억원 규모의 ‘P-CBO’(유동화회사보증)도 접수를 시작했습니다.

한도는 중소기업 200억원, 중견기업 350억원 등입니다.

1000억원 한도의 대기업을 위한 P-CBO 접수도 시작됐습니다.

P-CBO는 신용보증기금이 기업 회사채를 보증해 신용등급을 높여준 뒤 이를 시장에서 판매하는 것으로 신용도가 낮아 회사채 자체 발행이 어려운 기업을 지원하는 제도인데요.

총 20조원 규모로 조성되는 채권시장안정펀드도 운영에 들어갑니다.

증권가에선 정부의 이 같은 정책지원을 놓고 ‘일부 부담 해소’라는 기대감을 내비치면서도 다른 한편으론 ‘비우량기업 지원 부족’이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지원 확대 필요성에 대한 주장도 있죠.

“채권안정펀드로 우량등급의 회사채는 충분할 것으로 보이지만 BBB등급과 BB등급을 비롯한 A등급 이하 기업들의 지원이 다소 부족해 확대가 필요하다”

- 김은기 삼성증권 수석연구원

기업들의 신용위험이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코로나19 우려가 지속되면 투자심리가 회복되지 않아 채안펀드(채권시장안정펀드) 등의 한도는 계속 증가돼야 한다”

- 이경록 미래에셋대우 수석연구원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