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K' 붙으면 대박.. 세계가 눈독 들이는 '신한류'

조회수 2018. 10. 15. 16:17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한류 투자방정식’이 다시 쓰이고 있습니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기업들이 한류 콘텐츠에 투자하는 

이른바 ‘기업발 한류바람’이 거세진 겁니다.




국내 콘텐츠에 투자하거나 

유명 아이돌 소속사와 협업하는 등 

국내외 자본이 잇달아 

한류 콘텐츠에 집중하는 모양새입니다.




외국기업은 국내 콘텐츠에 투자해 

국내시장 진출을 꾀하는 동시에 

한류를 역수출하는 효과를 노리고,

국내기업은 한류콘텐츠를 통해 

글로벌시장 공략에 나서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미국기업 넷플릭스의 ‘미스터 선샤인’ 투자가

 대표적인 사례죠.




넷플릭스는 영화 ‘옥자’부터 

유재석을 앞세워 만든 예능프로그램

‘범인은 바로 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국내 콘텐츠에 투자했습니다. 




스케일부터 어마어마한데요.





옥자에는 국내 영화로는 최대규모인

 600억원이 투입됐고 

‘범인은 바로 너!’에는 

스태프만 200명 넘게 투입됐습니다.




한국은 미디어콘텐츠시장의 동아시아 관문이자 한류의 태생지로서 상당한 경쟁력을 지녔다.

반면 콘텐츠 제작사들의 재정규모가 영세하고 콘텐츠 생산원가 또한 매우 낮아 넷플릭스에 이보다 더 좋은 투자처는 없다.

-투자전문사 관계자

중국자본은 이미 

국내 한류콘텐츠산업 전방위에 포진했습니다. 




최근 5년간 중국의 한국기업 대상 인수합병(M&A)은

 100건을 훌쩍 넘어설 정도죠.




인기 드라마 ‘올인’과 ‘주몽’, ‘하이킥 시리즈’ 등을 제작한

 엔터테인먼트 초록뱀미디어의 최대주주는 

250억원을 투자한 중국 DMG그룹입니다.



국내 ‘빅3’ 대형기획사 YG엔터테인먼트의 3대 주주는

 중국 대표 인터넷기업인 텐센트고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알리바바는 

SM엔터테인먼트에 355억원(지분 4%)을 투자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하반기엔 중국자본의 투자가 더 활발해질 전망입니다. 




엔터테인먼트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그동안 사드 등의 악재로 냉각됐던 

한중 분위기가 풀리면서 

중국자본이 다시 국내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드라마, 영화와 같은 한류콘텐츠를 중심으로 

중국자본의 쇼핑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네요!




국내기업도 질세라 

한류콘텐츠 사냥에 나서고 있습니다. 

특히 IT기업에서 적극적인데요.




게임업체인 엔씨소프트는 최근 

영화 특수효과 업체인 포스크리에이티브파티

 220억원을 투자해 1대 주주에 올랐습니다.




SK텔레콤·카카오·넷마블도 

영화·드라마·음악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넷마블은 방탄소년단(BTS)의 캐릭터를 활용한 게임

 ‘BTS월드’를 연내 출시할 예정이고요.




카카오톡을 운영하는 카카오는 

자회사카카오엠을 통해 

국내 중견 연예기획사 세곳을 

한꺼번에 인수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해당 기획사에는 배우 이병헌·고수·유지태·김태리 등

 한류스타가 대거 포진했습니다.  




SK텔레콤SM엔터테인먼트와 손잡고

 엑소·레드벨벳 등 유명 가수가 등장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 중입니다. 




SK텔레콤은 AI를 비롯해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 미디어 기술, 

휴대용 오디오 등 음악기기(아이리버), 

광고(SK플래닛) 등에 대한 풍부한 역량을 보유했고요.




또 SM엔터는 스타의 지식재산권, 

한류 콘텐츠 제작, 

팬들의 강한 로열티 등 유무형자산을 보유해 

시너지가 기대됩니다!





다양한 플랫폼을 보유한 국내 IT기업들은 

한류콘텐츠기업과 손잡고 

글로벌시장 진출을 꿈꿉니다. 




국내 아이돌의 한류콘텐츠를 활용해

 해외에서 인지도를 높이려는 전략입니다. 




한류콘텐츠와 지적재산권(IP)을 보유한

 엔터테인먼트 입장에서는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플랫폼에 

자사의 콘텐츠를 내보낼 수 있는 이점이 있죠.




한류스타를 활용한 콘텐츠가 IT기업이 가진 플랫폼과 만나면 소비자는 거부감 없이 한류를 받아들이고 자연스레 그 기업에 대한 이미지도 좋아질 수 있다.

해외진출이 용이하다는 점을 넘어 엔터와 IT기업의 시너지는 앞으로 더 확장될 것.

-IT기업 관계자

한류콘텐츠의 부가가치 창출도 기대해볼 만합니다. 




인기가 많은 아이돌 멤버 목소리로 대화하는 AI스피커나

 아이돌 얼굴이나 로고가 들어간 이어폰, 헤드셋 등

 IT기기 제작도 가능하고요.




ICT와 콘텐츠를 결합한 

새로운 글로벌 서비스 출시도 가능하죠.




한류 드라마나 영화가 해외에서 인기를 끌면

패션상품이나 관광 등 

파생산업에서 사업 기회를 엿볼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 콘텐츠 판매, 

홀로그램 공연 등이 예상됩니다.




앞으로 한류콘텐츠의 융합이 더 빨라질 겁니다.

또 많은 기업이 한류콘텐츠에서 2차, 3차 파생되는 다양한 사업 기회를 포착하겠죠.

-엔터기업 한 관계자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