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욜로'의 맞수 '파이어족'들이 생각하는 은퇴자금은?

조회수 2021. 4. 7. 18:00 수정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매일경제가 매콤달콤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지금에 충실하자, 내일은 없다

VS.

꾹 참고 돈 벌어 이 바닥 뜬다


2030 MZ세대

현재 소비를 즐기기보다,

충분한 자산을 형성한 뒤

조기 은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이들이 말하는

적정 은퇴시기는 51세

목표자산은 13억 7000만 원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얼마나 저축하고 모아야

가능할까요?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흥청망청 오늘을 살기보다,
부지런히 재테크해서
하루빨리 은퇴하겠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의

'조기 은퇴에 대한 인식 및

자산관리 방법'

설문조사에 따르면,


만 25세~39세 2536명 中

자신이 욜로족이라고

답한 이는 32.6%

파이어족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67.4%이었습니다.

출처: MBC 무한도전


* 욜로족 <You Only Live Once> :

현재의 행복을 중시하고

소비하는 태도를 말합니다.


* 파이어족 <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 :

이른 나이에 경제적으로 독립하고

조기 은퇴를 실현하여 본인이 원하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을 뜻하죠.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파이어족은

생활자금·목표자산을 설정할 때

'25 법칙'을 씁니다.


부동산이나 주식 투자로

연평균 5~6% 수익을

꾸준히 낸다는 가정 하에

물가 상승률을 고려해


매년 '4% 정도만' 생활비로 쓴다

계산을 뜻하죠.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만약 1년 간 생활비 4000만원을 쓰면
4000만*25=10억을
모아야 합니다.

2030 파이어족이 원하는

목표 은퇴자산 13억 7000만 원을

역산해 보면...


연 생활비 5480만 원

월 457만 원을 생활비로 쓸 수 있다

결과가 나옵니다.


국민연금공단이 발표한

적정 노후생활비(월 268만 원)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죠.

출처: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이러한 조기 은퇴를 위해

월급의 50% 이상을

저축·투자하는 사람은

총 65.8%에 달했습니다.


소득 대비 저축·투자 비중이

70% 이상인 사람도

무려 29.4%나 되었죠.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이들의 주요 투자수단은 바로 주식!


응답자들 대부분이

주식(92.8%), 저축(63.9%),

부동산(43.2%), 펀드(38.5%),

가상화폐(19.3%) 등


자산형성을 위해

특정 종류에 치우치지 않는 

전방위 투자에 나서고 있습니다. 

얼마나 오랫동안 모아야
은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까요?

출처: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월급의 절반을

매월 저축·투자하는 가정 아래,

연 수익률 8%를

약 20년 간 꾸준히 낸다면!

목표 자산을 이루게 됩니다.


투자 수익률이 높을수록

시간은 짧아집니다.

연 수익률 16%라면

그 기간은 6년 단축된

13.9년이 되죠.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100세시대연구소는

"20대부터

은퇴를 위한 투자를 시작했다면

조기 은퇴 가능성이

더 높아지지만,


만약 은퇴준비기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투자 부담이 높아지므로

계획을 재검토하는 것이 좋다"

조언하기도 했습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은퇴 이후에도
여행·취미 생활 등
자신만의 삶을 즐기는
100세 시대 새로운 경향이
반영된 걸까요?

은퇴, 자식 독립 후에도
여유로운
인생 후반부를 꿈꾸며
당장은 쪼들려도
꾸준한저축과 투자를 선택한
MZ세대.

그들은
오늘도 치열하게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습니다.

이 콘텐츠는 매일경제의 기사

[매부리] 51세 은퇴가 꿈…

월급 절반을 20년간 투자합니다

참고하여 제작했습니다.


[이선희 기자 / 권순영 인턴기자]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