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바깥이 두려운 사람들 : 광장공포증의 진짜 이유

조회수 2018. 9. 18. 17:3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광장공포증이 무서운 이유는?


남들이 두려운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내가 중심이고 싶은 사람들


바깥이 두려운 사람들 : 광장공포증의 진짜 이유

다양한 정신질환 중 특별한 이유 없이 극심한 불안을 보이는 공황장애가 있다.  이 질환이 두려운 진짜 이유 중 하나는 다른 정신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인데 전문가 말에 따르면 공황장애를 가진 사람의 30~50%는 광장공포증이 올 수 있다.



광장공포증은 공황현상이 왔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없거나 피할 수 없을 까봐 쇼핑이나 운전, 교통수단 이용, 장거리 여행 등을 피하는 경우다. 심한 경우 집 바깥에 한 발짝도 나가지 못해 집에서만 지내 사회적 활동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는 광장공포증에 걸린 사람은 남들의 시선을 두려워하는 것 같지만 실은 그와는 반대로 모두에게 주목 받고 세계의 중심에 서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말한다. 

집에 틀어박혀서 밖으로 한 발자국도 나오지 않는 이들은 가족 모두 자신을 배려하고 물심양면으로 봉사해주는 가족과 반려동물 사이에 있을 때 가장 편안함을 느낀다.

반면 모르는 사람으로 가득한 바깥 세계에서는 아무도 자신을 주목해주지 않는다. 그게 겁이 나고 두려운 것이다. 광장공포증에 걸린 사람은 실은 모두에게 주목 받고 세계의 중심에 서기를 바라는 것이다.

그들은 얼핏 보면 가정에 소속감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어딘가에 소속되고 싶다는 욕구와 세계의 중심에 있고 싶다는 욕구는 별개의 것이다.

어릴 때 응석을 부리며 부모에게 무엇이든 받으며 자란 아이는 커서 타인에게 받는 것을 당연시하게 되고 타인이 자신에게 무엇을 해주는지에만 관심을 갖는 어른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자신이 바라는 것을 다른 사람이 해주면 기분이 좋아지지만 한 번이라도 그렇지 않은 현실에 직면하면 기분 나빠 하고 때로는 공격적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광장공포증이 아니더라도 이런 성향을 주변에서 심심찮게 발견할 수 있다. 즉, 어린 시절 응석받이로 키워졌거나 상벌 교육의 영향을 많이 받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러한 ‘인정 욕구’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인정 욕구가 커질수록 ‘내가 당신에게 이런 일을 해줬으니 당신도 내게 뭔가를 해줘야 한다’는 생각도 함께 커질 수 있다.



즉, 삶을 ‘기브 앤드 테이크(give and take)’의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는 것인데 무엇보다 무서운 건 나를 세계의 중심에 두고 내가 주는 만큼 받아야 하는 쪽으로 삶의 방향이 기우는 것이다.


끊임없이 인정받고 싶고 인정받기 위해 행동하는 사람 결국 인정이 아니면 누구 앞에도 나서지못하게 되는 삶  

자신의 기대가 아닌 다른 사람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삶을 살게 된다.


그렇다면 방법은?


바깥에 타인이 아닌 나 스스로에 만족하는 삶을 위해서는 주고 받는 삶보다 삶에 익숙해지는 게 필요하다.


필요한 태도 하나. 타인이 내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는 존재가 아님을 깨닫자

물론 나 역시 다른 사람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는 존재가 아니다. 남들이 안 좋게 볼까 봐 두려워서 그들의 기대를 만족시키려는 사람은 자기 인생이 아니라 다른 사람 인생을 사는 것이다.



내 인생을 위해서는 반드시 타인과 마찰을 빚기 마련이다.


나를 싫어하는 사람도 생긴다. 하지만 내 인생을 살기로 결심하면 타인에게 인정받으려는 욕구가 사라질 것이다. 결국 타인의 인정이 아니더라도 만족스러운 인생을 살 수 있다. 

태도 둘. 과제를 분리하는 것이다.

어떤 일의 최종 결말이 누구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최종적으로 그 책임을 누가 져야 하는가를 생각해보면 그 일이 누구의 과제인 지 알 수 있다. 

아이 공부 문제로 고민하는 부모를 생각해보자. 공부는 분명 공부가 아닌 아이의 과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모가 조바심이 나고 불안해 어쩔 줄 몰라 한다. 아이는 내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대상도 내가 주는 만큼 돌려 받아야 하는 존재도 아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