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미아방지부터 휴가철 해상안전까지.. 미래형 도시 어디까지 왔나

조회수 2017. 12. 26. 08:18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첨단 IT기술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첨단도시를 일컫는 ‘스마트시티’가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습니다. 스마트시티의 현주소와 전망, KT에스테이트에서 알아봤습니다.
인구 집중으로 현재의 도시는 몸살 중

현재 세계 인구의 절반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60억 인구가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전세계적으로 도시 거주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인프라 부족, 교통혼잡, 범죄 등과 같은 도시 문제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더욱이 에너지 소비 증대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는 심각한 수준에 도달해 있고요.


이에 각국 정부와 지자체들은 도시 거주민들의 안전하고 높은 생활수준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도시 계획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스마트시티란?

스마트시티(Smart City)란 언제 어디서나 정보통신기술(ICT)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첨단 도시를 말합니다. 즉 교통, 환경, 주거, 시설 등 일상생활에서 대두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ICT기술과 친환경 에너지를 도입해 시민들이 쾌적하고 편리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것이죠.

일례로 이미 통신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사고 및 교통체증 구간 우회도로 안내에서부터 주택 골목길을 스스로 밝히는 스마트가로등, 스쿨존 내에서 차량 감속을 유도하는 스쿨존 보행안전서비스, 해상안전 드론을 이용해 바닷가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빨리 확인, 대처하거나 스마트팔찌를 이용해 치매환자나 어린 아이의 동선을 확인하는 시스템 등이 그것이죠.


그런 의미에서 단순히 ‘스마트(Smart)’와 ‘도시(City)’의 개념 결합을 뛰어넘어 도시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시를 스마트하게 만드는 것이 스마트시티의 본질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스마트 시티 발전 전략

그렇다면 한국의 스마트시티 발전 전략은 무엇일까요? 한국은 경쟁력 있는 ICT기술을 바탕으로 국가 차원의 新성장 산업 육성을 위해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2006년 정보통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U-City 구축 활성화 기본계획’을 도입해 미래형 첨단 도시건설을 위한 세부 과제를 수립했고요.


2008년 국토교통부는 ‘유비쿼터스 도시 건설 등에 대한 법률 제정’을 통해 U-City사업을 본격화했습니다.


이후 2015년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글로벌 실증단지 조성사업’, 2016년에는 국토교통부의 ‘특화형 실증단지 조성계획’ 등을 통해 기술 개발과 통합플랫폼 구축,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발굴, 해외시장 진출 등의 정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스마트시티 ‘서울’ 전세계 도시 중 21위

지난 11월 도시 데이터 분석업체인 스웨덴 이지파크 그룹이 발표한 ‘2017 스마트시티 지수’에 따르면, 서울이 10점 만점에 평균 7.13점으로 2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 지수는 △교통 △지속가능성 △행정 △혁신경제 △디지털화 △생활수준 △전문가 평가 등을 기준으로 도출했는데요. 특히 서울이 높은 평가를 받는 항목은 스마트폰 보급률, 와이파이 구축, 인터넷 속도 등 디지털화 부문이었습니다. 경쟁력 있는 ICT를 기반으로 스마트시티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이 통했다 볼 수 있죠.


하지만 아쉽게도 지속가능성(클린에너지, 환경보호, 도시계획 등) 평가 항목에선 하위권에 머물렀습니다. 서울 외에 대전이 평균 5.48점으로 63위를 기록, 100위 안에 한국 도시 2곳이 포함됐습니다.

중국의 스마트시티 발전 전략

다른 나라는 어떨까요? 중국은 급격한 도시 인구 증가에 따른 인프라 부족과 도시간 발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스마트시티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2013년부터 중앙정부에서 직접 관리하고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국무원 산하 주택도시농촌건설부는 320개 스마트 시티 조성 계획을 발표하였고, 2014년에는 광대역 통신망 보급, 정보화 및 인프라시설의 스마트화 등을 목표로 ‘신형도시화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이에 2020년까지 스마트시티 사업에 총 5000억 위안, 우리나라 돈으로 약 85조를 투입할 계획입니다. 한편, ‘2017년 스마트지수’에서 중국 베이징(4.31점)은 81위, 상하이는 85위(4.12점)를 차지했습니다.

일본의 스마트시티 발전 전략

일본은 재해 복구 및 재난 예방, 에너지 효율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시티 구축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재해 지역 복구와 예방을 위한 방안으로 스마트시티 구축을 본격화했으며, 성공모델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사업의 목표가 수립되어 있습니다. 2011년 경제산업성이 효율적 에너지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 ‘스마트 커뮤니티 사업’, 2012년 재해 방지 도시 개발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목표로 ‘ICT 스마트 타운’ 등의 정책을 도입해 관련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노력 덕분인가요? ‘2017 스마트시티 지수’에서 일본 도쿄(7.59점)가 6위를 차지해 싱가포르와 함께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톱10’ 안에 들었고요. 오사카가 52위를 기록하며 100위 안에 들었습니다.

스마트시티가 곧 국가 경쟁력!

각 국마다 처해진 다양한 이슈로 인해 스마트시티의 목표 및 전략이 조금씩 다른데요. 분명한 것은 스마트시티가 많을수록 국가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란 점입니다. 정부도 이에 대비하기 위해 지난달 발표한 ‘4차산업혁명 대응 계획’에서 오는 2020년까지 국내에 스마트시티를 80개로 늘린다고 했고요.


디지털화라는 하드웨어는 갖춰졌으니 지속가능성, 생활수준 등의 소프트웨어 부분을 보완한다면 서울을 비롯한 한국의 주요 도시들이 세계 수준의 스마트시티가 되지 않을까 하는 바램을 가져봅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