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하트시그널' 초호화 스펙 행시 합격자가 택한 부처는?

조회수 2020. 9. 22. 16:4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민사고, 서울대 나온 행시 합격 훈남이 힘쎈 '기재부'대신 택한 부처는

초호화스펙 예비 사무관 이규빈, 기재부 대신 국조실

‘끗발’ 보다 워라벨 부처 택하는 행시생들 

행시 붙은 5급 사무관 업무 부담에 중도 퇴직자 5년새 10배 늘어 


2018년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하트시그널 시즌2’에 출연해 ‘직진연하남’으로 불리며 인기를 누렸던 행정고시 합격자 이규빈(27)씨가 이달 국무조정실에 배정됐다고 합니다.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했을 당시 민족사관고와 서울대 졸업, 행정고시 재경직 합격이란 초호화 스펙에 잘생긴 외모까지 더해지며 세간의 주목을 끌었죠. 이후 예능 ‘뇌섹시대 - 문제적 남자’에 출연해 ‘뇌섹남’의 면모를 과시했죠. 관가에선 이 ‘흠잡을 데 없는’ 예비 사무관이 어느 부처를 선택할지가 관심이었죠. 

 

하트시그널2에 출연한 이규빈씨 /TV화면캡쳐

◇힘 센 부처 선호? 그 끗발이 내 끗발도 아닌데…

 

그런데 40~50대 공무원들은 그의 국무조정실 행에 다소 의외라고들 합니다. 행시 재경직을 우수한 성적으로 합격한 이들은 대체로 기획재정부를 선택합니다. 금융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등도 인기 부처죠. 국무조정실은 부처 간 정책 조율, 규제 개혁 등의 업무를 하는 곳으로 재경직 합격자들이 많이 가는 곳은 아니라고 하네요.

이규빈씨 /인스타그램 캡쳐

기재부가 인기인 이유는 간단합니다 끗발 있기 때문이죠. 예산을 쥐고 흔드는 기재부의 과장 앞에서 다른 부처 국·실장도 굽신거린다고 할 정도죠. 권세가 있는 곳에 우수한 인재가 모이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최근들어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다고 하네요. 한 중앙부처 공무원은 이렇게 말합니다. “힘 센 부처 끗발 있지. 그런데 그 끗발이 내 끗발인가?” 그 끗발 덕분에 업무 강도는 살인적입니다. 자기계발? 그런 것 할 시간 없다고 하네요. 예전에 행시 재경직 수석은 볼 것도 없이 기재부를 갔다고 하는데, 2015년 이후만 놓고 보면 수석 합격자들이 선택한 곳은 금융위, 행정안전부, 공정위 등 다양합니다. 


정부 부처 대부분이 세종시에 있습니다. 서울에 있는 부처는 외교부·통일부·국방부·감사원·금융위원회 정도입니다. ‘지방’에 내려가기 싫어하는 이들은 서울에 잔류한 정부 부처를 선호합니다. 실제 외교부처럼 서울에 청사가 있는 부처에 인사 교류 자리가 나면 치열하다고 하네요. 아예 행정고시를 볼 때 지방직으로 시험을 보는 성적 우수자들도 있다고 합니다. 지방직을 우수한 성적으로 합격해 서울시청으로 발령을 받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워라벨’ 찾는 젊은 공직자들… 관료 위상 하락도 한 몫

 

젊은 공직자들이 워라벨(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기 좋은 일터를 선호해서도 있겠지만, 보다 근본적으론 중앙정부 공무원의 위상이 과거만 못한 것도 원인입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부처를 불문하고 국·실장까지만 올라가도 퇴직 후 보통 산하기관장 자리를 보장받았습니다. 하지만 이젠 안되죠. 힘든 부처에서 평생 고생을 해도 퇴직하면 실업자가 되는 것입니다. 한 중앙부처 과장급 공무원이 그럽니다. “요즘 후배들 중에 장·차관이 꿈인 사람 찾기 힘들다. 국제기구나 대학 교수로 가겠다는 후배는 많다.”


기업·로펌처럼 민간의 역할이 커지고 위상도 높아진 탓도 있습니다. 대기업 입원과 중앙부처 과장. 예전 같으면 당연히 공무원을 더 선호했겠지만, 이젠 아닌 것 같네요. 퇴직 후 로펌 처럼 괜찮은 직장으로 가기 쉬운 공정위, 국세청도 인기죠. 관세청은 업무 강도가 약해 워라벨에 용이해 인기라고 하네요. 실제 인사혁신처 자료를 보면 행정고시(외교관 후보자 선발시험 포함)로 임용 후 10년 이내 중도 퇴사자는 지난해 총 10명입니다. 5년 전인 2014년엔 1명, 2016년엔 3명, 2018년엔 5명이었습니다. 계속 늘어납니다.


그럼 젊은 공무원만 그런가요. 고참들도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핵심 보직보다는 자녀 교육을 위해 해외 파견 근무가 인기라고 합니다. 급여가 높은 대기업으로 옮기기 위해 아예 ‘정책부서’가 아닌 ‘지원부서’를 자원하는 간부도 많다고 합니다. 실제 기업과 연관된 업무를 하면 직무 연관성이 있는 기업에 3년간 취직을 금지한 공직자윤리규정 때문에 이직이 안될 수 있어서입니다. 


글 jobsN 김충령

jobarajob@naver.com

잡스엔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