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는 연 2억6000만원, 나머지는 52만원 밖에 못 번다는 직업

조회수 2020. 9. 25. 17:47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100명 중 99명은 1년에 52만원.. 다단계 상위 1%는 얼마나 버나

공정거래위원회가 2018년 기준 130개 다단계판매업자의 매출액·판매원 수·후원 수당 지급현황 등 주요 정보를 조사해 7월19일 공개했다. 2018년 영업 실적이 있고 2019년 5월까지 영업 중이었던 업체가 조사 대상이었다.


2018년 다단계판매업체 130곳의 매출액 합계는 5조2208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상위 10곳 매출이 69%(3조6187억원)였다. 매출 상위 10대 업체는 한국암웨이·애터미·뉴스킨코리아·유니시티코리아·한국허벌라이프·시크릿다이렉트코리아·유사나헬스사이언스코리아·시너지월드와이드코리아·지쿱·아프로존이다. 이들이 취급하는 품목은 대부분 건강식품·화장품·통신상품·생활용품·의료기기였다.

JTBC Entertainment 유튜브 캡처

다단계판매업체 130곳에서 활동하는 판매원은 중복 등록 포함 903만명이었다. 이 중 거래 실적을 바탕으로 지급하는 후원 수당을 받은 판매원은 156만명에 불과했다. 쉽게 말해 전체 판매원 6분의 1만 다단계로 돈을 벌었다. 2018년 130개 업체에서 판매원에 지급한 후원 수당은 1조7817억원. 다단계 상위 1% 판매원은 얼마나 버는지 알아봤다.


◇상위 1%에 수당 55% 돌아가···99%는 한 달 4만원


후원 수당은 다단계 판매원의 유일한 수입원이다. 방문판매법에서 정한 후원 수당 지급 명목은 크게 네 가지다. 판매원 자신의 거래실적·수당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판매원의 거래실적·조직관리 및 교육 훈련 실적·기타 판매 활동 장려 및 보상이다. 후원 수당을 많이 챙기는 판매원들은 네 가지 명목의 후원 수당을 모두 챙긴다. 자연히 수당도 올라간다. 반면 물건을 자신이 쓰려고 판매원으로 가입했거나 실적이 저조한 이들은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수당을 받는다.


2018년에는 상위 1% 미만 판매원 1만5593명에게 전체 후원 수당의 55%인 9806억원이 돌아갔다. 이들이 받은 평균 수당은 6288만원이었다. 수당으로 연 1억원 이상 챙긴 판매원도 2039명 있었다. 하지만 비중은 전체 판매원의 0.13%에 불과했다. 구간별로는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을 번 판매원이 2803명(0.18%), 3000만원 이상 5000만원 미만은 4914명(0.31%), 2000만원 이상 3000만원 미만은 5838명(0.37%)이었다.

출처: 조선DB
불법 다단계 업체가 판매원들에게 직급별로 나눠준 순금 넥타이 핀과 반지.

매출 상위 10대 업체의 상위 1% 판매원 수당은 제각각이었다. 매출이 6번째로 높은 시크릿다이렉트코리아 상위 1% 판매원은 210명. 1인당 수당은 2억5926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2위는 매출이 8번째로 높은 시너지월드와이드코리였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1억3782만원이다. 다음은 유사나헬스사이언스코리아(1억2709만원)·뉴스킨코리아(1억1698만원)·한국허벌라이프(1억1425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매출 1위 한국암웨이는 상위 1% 판매원 수가 5267명, 평균 수당은 5331만원이다.


상위 1%를 뺀 나머지 99% 판매원 155만명은 연평균 52만원밖에 못 받았다. 한 달에 4만3000원만 챙긴 것이다. 1원 이상 50만원 미만을 챙긴 판매원도 131만9156명(84.19%)에 달했다. 한국암웨이 판매원 52만6740명의 1인당 수당은 80만5400원으로 가장 낮았다. 반면 시크릿다이렉트코리아 판매원 2만1050명 수당은 평균 412만4000원으로 1위였다. 공정위는 “자가소비를 목적으로 가입한 판매원들도 많아 수당 배분이 극명하게 갈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큰돈 손에 쥘 수 있다” 취준생 유혹하는 불법 업체도


상위 1% 판매원의 수입을 미끼로 다단계 가입을 유도하는 불법 업체도 있다. 이들은 돈 한푼이 아쉬운 취업 준비생이나 사회 초년생을 유혹해 돈을 뜯어낸다. 적은 시간이나 돈을 투자해 큰돈을 벌 수 있다고 속이는 것이다. 예를 들어 투자금을 받아놓고 잠적하는 업체가 있다. 또 판매원이 소화할 수 없을 만큼 많은 물건을 사도록 강요하고 재고를 그대로 떠안게 하는 곳도 있다.


경찰이 불법 다단계와 유사 수신 혐의로 적발한 건수는 2015년 1731건에서 2017년 3540건으로 2년 만에 2배 이상 늘었다. 유사 수신은 출자한 돈 전액이나 그 이상을 나중에 줄 것을 약속하고 미리 돈을 걷는 것을 말한다. 2018년 다단계공제조합이 접수한 불법 다단계 신고 77건 중 피해자가 대학생인 경우는 14건(18.2%)이었다. 2017년 3건(3.8%)보다 4배 이상 늘었다.

MBN News 유튜브 캡처

공정거래위원회는 “불법 다단계 업체에 피해를 보지 않으려면 자신이 거래하는 다단계판매업자가 정식 등록한 업체인지, 어느 공제조합에 가입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단계판매업자의 상세 정보는 공정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산·부채·당기순이익 등 주요 재무정보뿐만 아니라 반품·환불 요청 건수와 금액 등을 볼 수 있다.


방문판매법에선 후원 수당 지급 한도를 업체 매출액의 35%로 제한하고 있다. 요행을 바라고 다단계에 뛰어드는 사람이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공정위 홈페이지에서는 업체가 법 위반으로 제재를 받은 적이 있는지도 확인이 가능하다. 공정위는 “판매원으로 활동하기 전 업체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면 부당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금전적 이익을 미끼로 판매원 가입이나 물품 구매를 강요하는 업체가 있으면 즉시 공정위, 경찰, 공제조합 등에 신고해야 한다”고 했다.


김경자 가톨릭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순진한 학생을 유인하려는 불법 다단계 사업자들의 수법이 날로 교묘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단계 피해 예방 교육이나 신고 방법 등을 널리 알리면 피해가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글 jobsN 송영조
jobarajob@naver.com
잡스엔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