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이국종 교수를 '영웅'이라고 부르지 마세요

조회수 2017. 12. 1. 19:38 수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총에 맞아 생명이 위험했던 '북한 귀순 병사'가 죽음의 고비를 넘기고 안정을 되찾았습니다.
출처: 딴지일보

소장 7곳 파열, 장간막 6곳 파열 등 "총알이 헤집어 놓았다"던 북한군을 살려낸 것은 아주대 중증외상센터 이국종 교수입니다.

그가 북한군의 수술을 맡자 언론은 이국종 교수를 '영웅화'하는 기사로 넘쳐났습니다. 
출처: 한겨레

하지만 '영웅화'는 이국종 교수가 원하는 바가 아닙니다.


한 개인에 대한 영웅화는 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해 줄 수 없을 뿐더러 모든 문제를 영웅 한 사람에게 맡겨 버리는 결과를 낳습니다.


이 교수는 지난 9월 한겨레와의 심층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사진을 클릭하면 이국종 교수 인터뷰 기사로 페이지가 넘어갑니다.)

"생명을 살리네 어쩌네 하는 생각을 하고 있으면 오히려 이 일을 하루도 못 하죠."


"저 이거밖에 안 되는 사람이에요. 밖에서도 쓰레기, 안에서도 쓰레기. 다들 절 싫어해요.”

출처: 노컷뉴스

이 교수는 주말, 휴일없이 36시간을 연속으로 밤새워 일하고 잠깐 눈을 붙였다 다시 36시간을 일하는 생활을 몇 년 째 하고 있습니다.


그는 스트레스와 과로때문에 현재 망막혈관 폐쇄와 파열로 왼쪽 눈이 거의 실명된 상태입니다. 오른쪽 눈도 제대로 관리를 못 하면 발병 위험이 있습니다. 수면 부족은 증상을 악화시킨다지만 이 교수는 현장을 떠날 수가 없습니다. 모든 게 그에게 달려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권역외상센터의 중증외상환자 수가 개선방안' 최종보고서, 청년의사
외상전용 치료센터가 이국종 교수가 있는 아주대 병원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미 2012년 '이국종 법'으로 예산이 생기고 병원도 지정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입법이 상대적으로 졸속으로 이뤄졌습니다. 중증외상환자에 대한 의료 수가가 낮게 설정돼 환자를 받을수록 병원 입장에선 적자가 늘어납니다. 아주대 병원 같은 경우 중증외상 환자 1명을 받으면 251만원의 적자가 발생합니다. (표) 

의사 인력도 부족합니다. 중증외상외과는 업무강도가 세기로 유명합니다. 간호사들의 이직률도 40%대에 달합니다. 게다가 의대생들은 힘든 중증외상외과를 와도 성형외과, 피부과보다 현저히 적은 페이를 받습니다. 그들도 사람이기에 사명감만으로는 직업이 유지되기 힘든 면이 있겠죠. 
출처: 아주대학교의료원 웹진

따라서 지난 입법의 부족한 점을 촘촘히 보완해 실질적 도움이 되는 예산과 인력을 마련해야 합니다.


응급의학과도 워낙 고돼서 지원자 부족 현상을 겪었었지만 예산 확충 등의 개선이 이뤄지자 심각한 수준은 벗어난 선례가 있습니다.


이국종 교수 개인에 대한 고마움 표현, 의대생들의 특정 학과 쏠림 현상에 대한 질타도 어느 정도는 필요합니다만 그것이 본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습니다.

출처: 세바시
(사진을 클릭하면 이국종 교수 강연 동영상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이국종 교수도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쇼닥터'라는 다른 의사들의 빈정거림을 들어가면서도 방송에 나오고, 언론 인터뷰를 했던 것일 겁니다.


그러나 일부 언론들이 '이국종 교수 vs 김종대 의원' 구도로 싸움을 붙이며 문제의 본질이 공론화될 기회는 또다시 흘러갔습니다. 


김종대 의원의 발언이 이국종 교수 개인을 공격한다고 보기 어려울뿐더러 이국종 교수도 그렇게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밝혔는데도 일부 언론에겐 '둘의 싸움'이 '한국 의료 체계에 대한 문제 공론화'보다 중요했습니다.

출처: 비디오머그
(사진을 클릭하시면 22일 브리핑 동영상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이국종 교수는 지난 22일 '북한군 병사' 관련 브리핑을 하다 기자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한국에 있는 모든 병원들은 영미권에 있는 선진국 병원들보다 직원을 1/3정도 밖에 고용을 안 하고 있습니다.


이런 본질적인 문제에 대해서 진정성 있게 다뤄주시지 않고, 


'오늘 환자가 깨어났나요', '무슨 얘길 했나요' (만 물으시고)


앞에서 이 추운데 기다리시고. 그런 데에 에너지를 쓰시기 보다는,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사회가 바로갈 수 있게 도와주십시오."

출처: 청년의사

진짜 필요한 것은 이국종 교수에게 영웅의 짐을 지우는 게 아니라 그도 개인으로 살아갈 수 있게 짐을 덜어줄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그러기 위해 꾸준한 관심을 가지는 것일 겁니다.


제작/김서진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