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일과 삶이 공존하는 공간, 작업실이 있는 마당 집

조회수 2021. 2. 1. 10:15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작업실 주택
요즘 설계되는 집들은 단순히 거주만을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다채로운 활용을 모토로 삼고 있다. 작업실이나 공방, 갤러리, 민박 등 일반적인 주거의 목적을 넘어서, 일과 삶이 공존하는 공간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만큼 현대 사회의 다양한 욕구가 주거에 반영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주거 공간과 다른 목적의 공간들은 어떻게 결합해야 할까. 이는 도심, 근교, 자연 등 주택을 짓는 지역에 따라 공간의 구성 방식을 달리해 해결할 수 있다.

진행&구성 이수민 기자

홍만식(리슈건축 대표), 홍예지(건축 전문 작가)

사진 김재윤(창원 다믄집, 파주 수수재), 김용순(통영 지그재그 하우스)

참고자료 『마당 있는 집을 지었습니다』 포북

홍만식 건축가에게 들었다
취미실 설계 노하우 6

1_ 주거와 일터의 공존을 꾀하라 

최근 지어지는 단독주택들은 휴식과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멀티 공간을 두는 경우가 많다. 단순히 휴식처에 국한된 것이 아닌, 일터라는 생산 활동 범위와 어우러지는 것이다. 이에 주거 영역과 작업 영역을 구분해 배치하면 작업실 겸 보금자리 기능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2_ 경사진 지형을 활용하라

독특한 지형은 설계 시 더 이상 불필요한 요소가 아니다. 각 영역을 층으로 구분할 수 있어 오히려 좋은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한 예로, 경사진 지형에 펜션과 주택을 동시에 설계할 경우, 층별로 수영장, 객실, 주택 등의 공간을 대지의 레벨 차에 따라 배치해 각각 특별한 공간으로 완성할 수 있다.

3_ 마당으로 영역을 구분하라 

주거와 작업 공간을 자연스럽게 구분 짓기 위해서는 마당을 적극 활용해보자. 가운데 마당을 중심으로 외부 출입구와 가까운 곳에 작업실, 안쪽으로 주거 공간을 배치해 사생활을 보호한다.

4_ 지역별 특성에 따른 공간으로 구성하라 

대지의 면적이 좁은 도심 지역은 지하나 다락을 활용해 작업 공간을 설계하는 편이 좋다. 반면 도심 지역에 비해 면적이 넓은 근교나 자연 지역은 건물의 구분을 통해 주거와 작업 공간을 나눌 수 있다. 이어 작업 공간을 외부인의 접대 공간으로 확장한다면, 주거 공간을 보다 프라이빗하게 즐길 수 있다.

5_ 작업 공간 종류에 따라 계획적으로 반영하라 

작업 공간은 건축주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공방, 미술 작업실, 음악 작업실, 농가형 펜션, 갤러리 등 프로그램에 따라 각 실의 기능은 다르게 고려된다. 음악실의 경우에는 방음, 갤러리는 전시의 채광 방식, 목공방은 방진 시설, 민박은 동선 분리 등 각각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처럼 각기 다른 고려 사항을 계획적으로 반영하면 공간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6_ 작업 공간의 다목적 활용도를 고려하라 

주거와 공존하는 일터로서의 작업 공간은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추후 작업 공간이 필요 없을 때 다른 목적으로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작업 공간의 경우에는 주택이 아니라, 근린생활로 구분해 놓으면 추후 임대해줄 수 있다. 또한 면적이 협소한 주택인 경우, 작업 공간으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주거 기능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끔 계획하면 생활의 만족도도 높아지게 된다. 

도시 위의 오아시스
창원 다믄집

HOUSING PLAN

위치 경남 창원시 의창구

가족구성 성장기 남매를 둔 부부 내외

건축규모 지하 1층, 지상 2층

건축구성 지하 1층-취미실/1층-거실, 주방, 다용도실, 손님방, 욕실1, 갤러리/2층-안방+드레스 룸+ 욕실2, 자녀 방1+다락, 자녀 방2+다락, 욕실3 

대지면적 336.00㎡(101.64평)

건축면적 160.74㎡(48.62평)

연면적 지하층 48.59㎡(14.69평)

          지상층 241.99㎡(73.20평)

공간 구성 특징

-아내의 작업실은 길에 면한 개방된 공간을 통해 공유된다. -안쪽 안마당을 중심으로 가족들만의 프라이빗한 주택으로 완성했다. 

-1층에는 가족이 공유하는 주방과 거실, 손님방을 두고 2층은 침실 위주의 공간으로 구성해 효율성을 높였다. 

-2층에 위치한 방들은 테라스 마당과 연계해 확장된다.

다믄집은 지인들에게 ‘갤러리가 있는 집’이자 놀 유, 쉴 휴라는 글자를 따 ‘유휴채’라고도 불린다. 미술을 전공한 아내는 갤러리를 겸한 개인 작업실을, 의사인 남편은 개인 공간인 취미실을 원했고, 자녀와의 소통도 중시했기에 아이들과 함께할 수 있는 마당은 필수 요소 중 하나였다.

이에 전체적인 설계는 한옥 배치 프로그램을 변용해 가로수 길 쪽에서 다물어진 ‘ㄷ’자형 배치로 매스를 계획했다. 내부 중정을 중심으로 길에 면한 부분은 갤러리와 취미실, 나머지 ‘ㄱ’자 매스에는 2개 층의 주거 공간을 꾸몄다. 덕분에 내부 중정은 길에서 분리된 가족들만의 프라이빗한 마당이 됐다. 한편 대지의 중심에 만들어진 1층 마당은 각 실과 관계를 맺는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한다. 

01 소통과 프라이버시가 적절한 조화를 이루는 다믄집.
02 길에 면해 있는 테라스 마당과 갤러리 전경.
03 거실에서 바라보이는 안마당 전경으로, 우측으로는 갤러리가 위치한다.
04 건축주 가족이 프라이빗하게 이용할 수 있는 안마당.
05 따스한 분위기가 느껴지는 주방과 안마당.
06 지하에 위치한 남편 취미실.

목공방과 주거 공간의 콜라보
파주 수수재

HOUSING PLAN

위치 경기 파주시 하지석동

가족구성 목공방을 운영하는 아내와 촬영 감독인 남편

건축규모 지상 2층

건축구성 1층-작업실, 창고

          2층-거실, 주방·식당, 손님방, 다용도실, 욕실,

        안방

대지면적 859.00㎡(259.85평)

건축면적 337.37㎡(102.05평)

연면적 406.91㎡(123.09평)

공간 구성 특징

-마당을 중심으로 길에 면한 매스는 목공방을, 뒤쪽으로는 2층에 주택을 배치했다.

-2층에 위치한 주택은 프라이빗하게 이용할 수 있는 별도 마당을 구성해 조망을 확보했다.

-목공방은 마당과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이벤트가 가능하다.

-마당은 주변의 자연을 담아내는 또 다른 장소가 된다.

-건물의 옹벽들은 연결되어 흐르듯 지형과 어우러지며 경계가 모호한 ‘하나’가 된다. 

도심 근교에서 목공방을 운영하는 부부의 마당집이다. 도심지에 비해 넓은 면적 덕분에 인위적인 느낌보다는, 자연 요소를 살리는 방향으로 설계를 집중한 것이 특징이다. 마당 역시 지형을 그대로 살려 특별함을 더했다. 작업실과 창고 사이 비워진 공간에 생긴 마당이 그 예다. 덕분에 기존의 경사 지형이 마당에 레벨을 만들며 목공방과 연계된 외부 공간으로 자리하게 됐고, 이는 동서 양쪽의 자연 풍경을 자연스럽게 담아내는 결과를 가져왔다. 

01 파주 수수재 전경.
02 사이마당에서 보이는 목공동.
03 도로에서 바라본 파주 수수재.
04 목공동 내부 공간으로, 마당과 바로 이어지도록 설계해 활용성을 높였다.
05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창고나 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널찍한 다락.
06 주택과 목공동 사이마당 공간.

바다의 노을을 담은 마당
통영 지그재그 하우스

HOUSING PLAN

위치 경남 통영시 산양읍

가족구성 체육 선생인 남편과 음악학원을 하는 아내,

 주말에 오는 딸

건축규모 지상 4층

건축구성 1층-카페, 주차장/2층-파티 룸, 수영장

3층-객실 4개소/4층-객실 1개소 및 건축주 주택(거실, 주방, 다용도실, 욕실, 안방, 드레스룸)+다락 

대지면적 1652.00㎡(499.73평)

건축면적 573.80㎡(173.57평)

연면적 541.12㎡(163.68평)

공간 구성 특징

-경사진 지형을 통해 펜션과 건축주 주택 영역을 구분했다.

-지형을 그대로 살리는 지그재그 형태로, 테라스와 사이마당들이 형성돼 있다.

-층마다 바다 풍경이 일상의 삶과 함께 조망된다.

-1층은 카페와 주차장, 2층은 파티룸과 수영장, 3층은 객실, 4층은 객실과 건축주 주택으로 구성해 층별로 공간을 구분했다. 

건축주는 은퇴를 앞둔 체육 선생님으로, 일을 그만둔 뒤에도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는 장소를 만들고 싶어 했다. 수익 창출의 목적을 넘어 사람들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하고 싶었던 것이다.

이곳의 1층은 주차 시설과 카페, 2층은 파티 룸과 풀장, 3층은 객실, 4층은 건축주가 거주하는 단독주택으로 꾸몄다. 각각의 건물이 여러 목적으로 나뉘었기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했다. 공통적 키포인트인 ‘다양한 외부 공간’이 바로 그것이다. 모든 공간에서 바다를 감상할 수 있으면서도, 각기 다른 풍경도 볼 수 있게끔 설계를 구성했다. 

01 지그재그 모양 외관의 각 층에 테라스를 구성했다.
02 오르내리는 동선을 통해 풍부한 풍경을 선사하고 있다.
03 마당을 사이에 두고 손님공간과 주택을 분리한 것이 특징이다.
04 주변 풍경과 조화를 이루는 층별 테라스 공간.
05 2층 테라스 전경으로, 풀장과 카페가 연계돼 있다.

근린생활시설과 주택,
마당의 3중주 양평 필경재

HOUSING PLAN

위치 경기 양평군 서종면

가족구성 사업을 하는 남편과 주부인 아내

건축규모 지상 1층

건축구성 근린생활시설, 주택(거실, 주방, 다용도실,

 드레스룸, 욕실, 안방)

대지면적 단독주택 856.00㎡(258.94평)

 근린생활시설 797.00㎡(241.09평)

건축면적 단독주택 168.86㎡(51.08평)

 근린생활시설 152.69㎡(46.19평)

연면적 단독주택 168.86㎡(51.08평)

 근린생활시설 189.52㎡(57.33평) 

공간 구성 특징

-주거와 근린생활 영역을 마당을 통해 분리 및 연계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각 실과 마당이 짝을 이루는 방식으로, 마당을 통해 풍부한 공간을 완성했다.

-전시마당, 부엌 마당, 안마당, 사랑마당 등 여러 마당이 프로그램화되고 있다.

-이곳의 집은 시각적 오브제가 아닌, 주변 환경과 관계를 조직하는 삶의 장치가 된다.

전시 및 커뮤니티를 위한 근린생활시설과 힐링을 위한 단독주택이 공존하는 곳이다. 층으로 나눠 공간을 구분 짓기보다는, 넓은 부지의 장점을 활용해 단층으로 각각 근린생활시설과 주거공간의 영역을 나눈 것이 특징이다. 특히 전시마당, 사랑마당, 안마당 등 다양한 마당을 통해 공간별로 용도와 성격을 달리하고 있다.  

01 근린생활시설과 단독주택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외관.
02 전시를 위한 근린생활시설 내부.
03 주거동의 가운데 위치한 중정마당.
04 주택동의 안마당으로, 주변 풍경과 어우러지는 모습이다.
05 거실 정면.
06 안방에서 바라본 뷰.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