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와 풍광이 훌륭한 영주 괴헌고택

조회수 2020. 8. 17. 07: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고택을 찾아서

경상북도 영주 괴헌고택槐軒古궀(중요민속자료 제262호/경북 영주시 이산면 두월리 877번지)은 두월산 끝자락 경사진 대지에 내성천을 앞에 두고 서남서향으로 배치됐다. 문화재청 자료에 의하면 현 주인 7대조인 괴헌槐軒 김영金榮이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집으로서 광무 8년(1904년)에 김영의 손자인 김복연이 일부 고쳤다고 한다. 외풍을 막아주고 낙엽 등이 모인다 하여 잘 산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 삼태기형 명형국지名形局地 한가운데 지은 집이다.

최성호

사진 전원주택라이프 편집부

집은 1972년 수해로 앞에 있던 정자인 월은정月隱亭(정면 3칸 측면 2칸)과 행랑채가 완전 붕괴돼 최근 행랑채를 복원했다(월은정 현판은 현재 사랑채 앞에 달려있다). 'ㄷ'자형 안채와 뒤집힌 'ㄴ'자형 사랑채가 이어진 형태로 경상북도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ㅁ'자형 폐쇄구조와는 다른 모습이다.

대문에서 정면을 본 모습으로 사란채 오른편으로 난 작은 문 뒤에 사당이 놓였다.
마을 도로와 인접한 괴헌 고택은 내성천을 앞에 두고 서남향으로 배치됐다.
사랑채 옆문을 통해 본 사당은 동쪽 언덕 위에 위치한다.
사랑채와 안채가 안마당을 공유하고 있어 안채를 보호하기 위해 벽장벽을 뒀다.
익공구조가 특이한 사랑채

새로 복원한 행랑채 바로 앞이 사랑채다. 사랑채가 중문이 있는 안행랑채와 붙어 있어 평면상으로는 둘이 한몸을 이루지만 실제로는 이벌대 정도 높이에 누마루처럼 높게 지어진 사랑채(지붕도 팔작지붕이다)로 말미암아 별동 건물처럼 느껴진다. 사랑채는 전면 3칸 측면 4칸 반 규모다.


사랑채는 김영에 의해 1904년에 중수된 것이라고 한다. 흔치 않은 직절익공집인데 아마 중수할 당시가 구한말이어서 사회적으로 기강이 와해된 때라, 일반 사가에서 지을 수 없었던 익공집이 가능하지 않았나 싶다. 사랑채 익공구조가 일반 익공집과 많이 다르다. 일반 익공집은 주두 바로 위에 보가 얹혀지고 그 위에 도리가 올라탄다. 따라서 보는 보아지가 받게 된다. 


그러나 괴헌고택 사랑채는 보를 주두에 얹힌 것이 아니라 별도 설치된 장혀 위에 놓았다. 그렇다 보니 보 위에 도리가 얹혀지는 것이 아니라 도리와 보가 같은 위치에서 만나고 오히려 도리에 보가 타는 것과 같은 형식이 된 것이다. 구조상 특별한 장점이 있는 것도 아닌데 왜 이런 구조를 선택했는지 궁금하다. 어쨌든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구조임에 틀림없다.


사랑채 전면은 좌측으로부터 두 칸이 방이고 우측 모서리 한 칸이 대청이다. 대청은 전면 한 칸 측면 두 칸 규모로 대가 대청으로는 소박하다. 그 뒤로 방이 두 칸 붙었다. 사랑채 앞으로는 반 칸 규모 퇴칸을 뒀는데 계자난간으로 멋을 내 누마루 같은 분위기가 난다. 한편 퇴칸은 기둥 밖으로 반의반 칸 정도 돌출시켜 일반적인 퇴칸보다 넓게 한 것이 특징. 이렇게 퇴칸을 넓게 했기에 대청을 두 칸으로 만든 것이 아닐까 한다.


사랑채 중앙 칸인 어칸에는 월은정이라는 현판이, 우측에는 관수헌觀水軒, 좌측에는 어약해중천魚躍海中天이라는 편액이 붙어 있다. 월은정은 앞서 말한 정자의 것이고 관수헌은 사랑채 당호다. 이런 당호를 붙인 것은 아마도 집 앞 내성천을 바라다볼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관수헌은 산과 물이 잘 어우러진 주변 경관에 딱 어울리는 멋진 이름이다.

두 칸 방과 대청으로 구성된 사랑채는 도리와 보가 같은 위치에서 만나는 특이한 익공구조를 지녔다.
정면 3칸 측면 칸 반인 사당은 단순하게 보이지 않도록 양대문과 편개문을 사용해 입면의 변화를 줬다.
수해로 붕괴됐던 행랑채를 최근에 복원했다.
안행랑채에서 안채로 연결된 문으로 괴헌 고택 현판이 붙어있다.
사랑채와 안채 연결 문제를 풀어준 벽장벽

사랑채를 제외한 안채는 'ㄷ'자형에서 건넌방 쪽이 앞으로 두 칸 돌출된 형태다. 돌출된 두 칸에는 창고를 놓았다. 안채는 민도리집으로 전면 5칸 측면 2칸인 삼평주 오량집이다. 또 부엌, 안방 두 칸, 대청 두 칸, 건넌방 한 칸으로 구성된 전퇴집이다.


안채에 가내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제일 높은 신인 성주신을 모시는 성주단지가 놓였다. 이제는 옛날 집에 가도 성주단지를 거의 볼 수 없는데 이는 집에 사람이 살지 않거나 미신이라 생각해 모두 치워버렸기 때문이다. 안주인 말로는 이 집은 한 번도 비운 적이 없다고 했는데 이 때문에 성주단지가 남아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안채 안방 앞 퇴칸에는 다른 곳과 달리 고미반자가 설치돼 있다. 일반적으로 안채 전퇴는 대부분 연등천장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이렇게 고미반자를 설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집안 구석구석을 알뜰하게 쓰려는 노력으로 이렇게 고미반자까지 놓은 것이다. 이로 인해 만들어진 고물 출입구는 쉽게 위장할 수 있어 일제나 해방 후 격변기에 비밀 피신처로 활용됐다. 그리고 안채 안방 뒤쪽으로 돌출 된 2칸은 찬방으로 쓰였던 곳으로 집주인 말로는 80년 전쯤 달아낸 것이라고 한다.


이 집에서 눈여겨볼 부분 중 하나는 사랑채와 안채 연결 방식이다. 사랑채와 안채는 안채 마당을 공유하고 있어 사랑채에서 안채가 쉽게 들여다보이는 구조다. 고택은 벽장 공간 일부를 활용해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 안채로 출입하는 문에 벽장벽을 연장해 설치함으로써 문을 열더라도 안채가 직접 들여다보이지 않도록 한 것이다. 사랑채에서 안채 출입구는 두 곳인데 큰 사랑채와 작은 사랑채 각각에 같은 모양의 벽장벽을 뒀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칸 반 규모로 동쪽 언덕 위에 배치했다. 맞배지붕으로 전면에 퇴칸을 둔 직절익공집이다. 전체적인 느낌으로 볼 때 사랑채를 중수한 시점에 다시 지어진 것이 아닌가 한다. 그렇지만 익공은 사랑채와 달리 보아지가 보를 받는 일반적인 모양새다. 원기둥을 사용해 격을 달리했으며 작은 집이지만 단순하게 보이지 않도록 중앙 어칸 문은 양개문으로 하고 좌 · 우측 협칸 문은 편개문으로 달아 입면의 변화를 준 것이 돋보인다.

'ㄷ'자형에서 건너방 쪽이 앞으로 두칸 돌출된 안채로 민도리집, 삼평주 오량집이다.
정부 4대 강 사업으로 괴헌 고택을 포함해 지역 13개 지정문화재가 수몰 위기에 놓였다.
정부 4대 강 사업으로 이건 유감

정부 4대 강 사업으로 괴헌 고택은 수몰위기에 몰려 이건移建하여 복원하는 사업이 현재 진행되고 있다. 이곳을 포함해 주변 13개 지정문화재가 같은 이유로 옮겨간다. 정책을 결정하는 사람에게 문화재라는 것이 하찮은 것일 수 있으나 문화재를 함부로 옮겨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문제다.


집은 불상 등과 같은 유물과 다르다. 집은 제 위치에 있을 때 가치를 갖는다. 특히 우리나라는 풍수와 주변 풍광을 고려해 집을 짓기에 원래 장소에 있어야만 본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이 집도 풍수형국을 따져 집을 앉혔다. 풍수형국은 그 집이 원래 위치한 곳에서만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다른 곳으로 이건한다면 어떻게 풍수형국을 따질 수 있겠는가. 


그리고 풍광도 집의 일부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우리나라 집에서는 풍광이 특히 중요하다. 일예로 병산서원 핵심은 누각인 만대루다. 만대루 자체는 건축적 관점에서 볼 때 수준 높은 건축물이라 할 수 없으나 만대루에서 바라보는 낙동강과 병풍처럼 둘러쳐 있는 병산은 병산서원을 다른 곳과 비교할 수 없는 최고의 건축물로 만들고 있다.


괴헌고택과 같은 살림집도 마찬가지다. 제자리에 있어야 참 맛을 알 수 있다. 괴헌고택 사랑채와 사당이 제공하는 풍광이 매우 수려하다는 것은 처음 이 집을 지은 사람이 집터를 잡을 때 이를 고려했음을 분명하게 확인시켜준다. 그러나 집을 이건하면 앞으로는 결코 이와 같은 풍광을 느낄 수 없을 것이다.


무엇을 보고 생활하는가에 따라 집에 사는 사람의 인격이 결정된다. 만일 풍광을 없애버린다면 집은 죽은 집이 된다. 박제된 동물이 동물이 아닌 것처럼 전시된 집도 집이 아니다. 사람이 살지 않고 풍광도 잃어버린 집에서 과연 우리는 어떤 가치를 찾을 수 있을 것인가.


이런 사태를 볼 때마다 우리나라 위정자들이 언제쯤 문화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지 걱정스럽다. 문화에 대한 단견이 문화재 홀대를 가져온다.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쉽게 이런 결정을 내리지 못했을 것이다. 하긴 문화재지표조사조차 몇 개월 만에 뚝딱 해치우는 사람에게서 무엇을 기대할 것인가.

배치도

글쓴이 최성호

1955년 8월에 나서, 연세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했습니다. 1982년에서 1998년까지 ㈜정림건축에 근무했으며, 1998년부터 산솔도시건축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주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한옥으로 다시 읽는 집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