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삼대가 함께 사는 용인 전원주택

조회수 2020. 8. 11. 07: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삼대가 함께 사는 단독주택① 부지가 넓다면 단층주택 추천

대가족이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어떤 집을 지어야 할까. 


전문가들은 자녀 부부 세대와 부모 세대 각각의 사생활을 보호하면서도 함께하는 공간 설계가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이를 위해서는 오랜 경험과 실력 있는 건축 전문가의 도움이 필수다. 본지에서는 개성과 프라이버시, 가족애 등 3대 가구 거주지의 필수요소를 살린 주택 4곳을 선정해 이번 호에 소개한다. 대가족을 위한 주택은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춰 구성했다.


만약 넓은 대지가 있다면 굳이 2, 3층 주택을 지을 필요는 없다.


계단이 없는 단층주택은 노약한 세대원의 원활한 이동과 가족 간 더 많은 소통을 끌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다면, 3대를 위한 단층주택에는 어떠한 요소가 담겨야 할까? (주)푸름에이앤디가 경기도 용인에 지은 주택 사례를 통해 대가족용 단층주택의 특징을 살펴보자.

HOUSE NOTE  

DATA

위치 경기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사암로

건축구조 목구조

대지면적 1,201.94㎡(364.22평)

건축면적 327.58㎡(99.26평)

연면적 317.71㎡(96.27평)

주택 259.85㎡(78.74평)

차고 57.86㎡(17.53평)

다락 60.3㎡(18.27평)

건폐율 27.25%

용적률 21.62%

건축비용 약 6억 2천만 원(3.3㎡당 627만 원)

설계 및 시공

(주)푸름인건축사사무소

02-549-6610 www.purumin.com

식당공간과 툇마루 - 큰 유리창 너머로 넓은 집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다. 거실이 오른쪽 끝에 위치해 있다 보니 주방과 식당이 자연스레 집의 중심이 됐다.
서재 - 무심코 지날 수 있는 복도를 서재로 활용했다. 부채꼴 구조다보니 수납공간이 부족할 수도 있어 복도와 공용 공간을 적극 활용했다.
복도(별채에서 거실) - 단층주택만이 표현할 수 있는 확장감이 복도에서 구현된다. 길게 이어지는 복도를 따라 방, 거실, 식당이 연결되는데 다소 길다고 느껴질 수 있는 동선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평지로 구현해 이동이 편하다.
서재 계단 - 서재로 이어지는 계단이다. 넓게만 펼쳐져 다소 지루할 수 있는 공간에 리듬감을 준다.
부부 침실 - 집의 중심격인 식당을 지나 서재를 거쳐야 나타나는 부부침실. 숨겨져 있는 구조 덕에 사생활을 보호받는다. 부부침실 옆에는 욕실을 배치해 편리성을 추구했다.
거실 - 음악 감상을 좋아하는 건축주가 주로 머무는 거실은 남향에 배치해 채광을 확보했다.문을 열면 거실 앞에 놓인 데크로 드나들 수 있어 편리함과 확장성까지 갖췄다.
Q & A

은퇴 후 용인시 처인구 전원주택지 부지를 사들인 건축주는 설계와 시공을 맡은 (주)푸름인건축사사무소 강한성 소장에게 두 가지를 요구했다. 나이 드신 어머니를 위해 계단이 없는 단층으로 설계할 것과 가족이 저마다 취미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만들 것.


강 소장은 각 구성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각 실을 넓게 분산해 배치했다. 그리고 가족이 한 데 모이는 거실과 주방 등의 공용 공간을 계획하고 복도를 중심으로 여러 방을 배치했다. 남북으로 긴 형태의 주택 모습은 이렇게 탄생했다.


Q. 공간 구성은 어떻게 했나

강한성 소장(이하 강)_외부 공간을 어떻게 담아낼지를 가장 크게 고민했다. 펼쳐지듯 대지 틈새로 사적 영역이 나름의 독립성을 갖추도록 구성했고, 마당과 텃밭 등의 외부공간이 내부 사적 영역과 결합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실제로 할머니 방이 외부 텃밭과 연계되고, 가족 공용 생활공간인 거실과 식당을 중첩된 창을 통해 볼 수 있는 장소에 위치시켰다. 수납공간은 복도 등에 설치했다.


Q. 설계 콘셉트는

강_분할된 외부와 조응하는 공간 구분 짓기, 그리고 열린 복도에 의한 내부 공간 잇기다. 3세대가 각자 독립된 공간과 공용 공간의 균형으로 모두 편안한 주택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그 틈새로 자연이 들어오게 해 아날로그적 감성을 일깨워주는 것이 계획의 목표였다. 특히 이러한 아날로그적 감성은 식당 공간에서 극대화되는데, 건축주도 이 집의 중심 공간은 거실이 아니라 식당이라고 평하기도 했다.


Q. 동선이 길어졌는데

강_내부 동선의 효율성이나 편리성 측면보다는 각 공간의 개별성에 초점 맞췄다. 그래서 넓은 부지에 맞춰 평면적으로 구성하다 보니 동선이 길어졌다. 하지만 동선이 길면 좋지 않다는 선입견을 뒤집었다. 집의 중심 격인 주방으로 가족이 오가며 역동성을 살리면서 각 방의 독립성을 살렸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긴 동선을 즐긴다고 생각하는 발상의 전환이 이뤄진 셈이다.


Q. 단층주택을 위한 부지는 얼마나 필요하나

강_기본적으로 적정 규모 이상의 대지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지역 건폐율이 50% 혹은 60%인 점을 감안하고 50평 정도의 주택을 짓는다면 100평 이상의 대지가 필요하다.

잠깐!
3대가 함께 사는 세대를 위한 가이드라인

집짓기는 사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과정이다. 그래서 많은 건축주들은 어떻게 집을 구상해야 할지 몰라 이리저리 해메며 ‘멘붕’에 빠지기 일쑤다. 가뜩이나 이러할진대 대가족이 함께 살 집을 짓는다면? 멘붕에 멘붕은 당연수순일 거다. 만약 ‘이렇게 만들어보세요’라는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조금은 낫지 않을까.<3대 가족형 복층아파트의 계획 기준에 관한 연구>에서 그 해답의 실마리를 찾아봤다. 해당 연구는 복층형 아파트 관련한 것이지만, 주택 설계에서 활용할 만한 팁들이 여럿 있는 만큼 주목해보자.  

-세대 간 진입 복도에는 노약자를 위한 벤치 등의 편의 시설 설치.

-침실 및 거실은 채광, 환기 등을 고려해 남향으로 직접 외기에 면하게 설치.

-노인 방 전면에 남향 발코니로 통하는 큰 창문을 설치해 한식 구조의 툇마루로 통하는 장지문의 효과를 꾀함.

-부엌 및 식당은 가사 작업의 상호 연관성 및 환기, 배관 시설을 고려해 북측에 배치하며 거실과도 근접시켜 공용의 공간 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

-다용도실은 용도 변화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해 입주자의 편의성을 도모.

-거실 창호는 3단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고 외부 투시성을 살림. 노인 침실이 있는 층의 거실은 전통 한옥의 대청마루 개념을 도입.

-노인 방의 창호는 좌식 생활 선호 경향을 고려해 장지문과 툇마루 기능을 살리도록 높이를 바닥으로부터 450mm로 함.


출처 : <3대 가족형 복층아파트의 계획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김형언, 2014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