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촌 몽당주택

조회수 2018. 7. 25. 09:14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종로 협소주택】

한 건축주에게 주택 설계를 의뢰받은 두 명의 건축가는 이내 깊은 고민에 빠졌다. ‘34.53㎡(10.44평) 규모의 협소한 대지에 과연 주택을 지을 수 있느냐’는 것이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도 ‘건축주가 살지 못하면 어떡하지?’라는 걱정이 앞섰다.


주택의 규모는 26.4㎡(8.0평) 남짓한 자신의 스튜디오에 딱 맞을 정도로 작았다. “실제 주택 크기의 테이핑 작업을 통해 ‘이런 작은 집에 정말 사람이 살 수 있을까’ 의문이 들었죠. ‘몽당夢堂주택’이 탄생하기까지 수많은 설계 모델이 필요했어요. 규모가 워낙 협소한 데다 종로구 서촌은 건축 규제가 까다로워 자재 선택도 한정됐죠. 우리뿐만 아니라 건축주의 노력도 대단했어요. 번역 일을 하는 건축주 또한 20권이 넘는 건축 잡지와 일본 책을 직접 번역해 우리에게 건네줄 정도로 열성적으로 임했죠.”


정리 전원주택라이프 편집부

자료 제공 AnL스튜디오 010-4903-1775 www.anlstudio.com 

치열한 고민과 노력 끝에 주로 일본 사례로만 등장하던 협소주택이 서울시 종로구 누하동에 모습을 드러냈다. “나이가 들수록 비워내는 연습을 해야 한다. 우리나라에는 협소주택이 없기에 다른 사람에게도 이런 집에서 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는 건축주의 의견을 반영한 49.12㎡(14.85평) 몽당주택을 완성한 것이다.

1층 주방/식당과 2층 안방 사이의 공간. 양쪽에서 손을 뻗으면 서로의 손이 닿을 정도로 가깝다. 실제 아이들이 얼굴을 들락거리며 놀기 좋아하는 공간이다.
대략 길이 6m, 폭 5.5m 정도의 33.0㎡(10.0평) 남짓한 비좁은 땅에 지어진 몽당주택은 외부의 시선 차단을 위해 정면에 입구를 두지 않았다.
2층 공간. 벽면을 활용해 수납장을 만들었다.

서울시 종로구 서촌, 누하동에 위치한 ‘몽당夢堂주택’ 대지는 대략 길이 6m, 폭 5.5m 정도의 33.0㎡(10.0평) 남짓한 비좁은 땅이다. 건축 한계선과 일조권 보장을 위한 사선 제한의 법 규정을 고려해 대지에 구축 가능한 최대 부피의 건축물을 단독주택 용도로 디자인했다. 그로 인해 1층 바닥 면적은 가로 약 4m에 세로 5.5m, 2층과 3층은 가로 길이가 2.5m로 줄어들었다. 

사선 창을 통해 디자인에 포인트를 줬다.
'몽당주택'은 원형 계단의 선을 살리기 위해 별도의 난간을 설치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공간적 제약으로 수직으로 쌓은 3개의 방(1층 거실/주방, 2층 침실, 3층 욕실/서재) 개념으로 제안했고, 더불어 정원(1층), 1층과 2층으로 동시에 열려 있는 수납공간, 테라스, 비정형 창 그리고 하늘을 향한 천창을 통해 모든 공간을 시각, 청각으로 연결했다. 또한, 폭이 작고 긴 창으로 보이는 한옥 지붕과 인왕산의 풍경, 건물 내 어디서든 인지 가능한 원형 계단과 빛을 유입하는 사선 창이 시선을 한 곳에 머물지 않게 해 공간을 넓고 크게 인지하도록 했다.


특히 1층과 2층 사이에 위치한 수납공간은 1층 천장과 2층 바닥을 연결해 공간의 재미와 함께 시각, 청각, 후각을 공유하도록 디자인했다. 인왕산을 바라보며 사색을 즐기고 싶은 건축주의 열망을 담아 3층엔 큰 창과 욕조, 옥상으로 올라가는 천창을 배치했다.

욕실에서 바라본 3층 모습

외관은 묵직하고 단단한 바위산의 한 조각을 따온 것처럼 대지를 둘러싼 풍경에 자연스럽게 융화되도록 디자인했다. 몽당이란 이름은 단순히 몽당연필같이 작은 것도 연상할 수 있지만, 건축주가 꿈꾼 집, 혹은 집을 꿈꾼 것에 대한 의미며 단순히 기능적인 편리함과 크기가 연상하는 부의 가치만을 중요시하는 현시대의 주거 형태에 새로운 꿈을 불어넣고 싶었던 건축가의 바람이기도 하다.

3층에서 옥상으로 올라가는 계단. 인왕산을 바라보며 사색을 즐기고 싶은 건축주의 소망을 담아 천장을 배치했다.
옥상 모습. 옥상에서 빨래를 널고, 책을 읽고 싶어한 건축주의 로망을 실현한 공간이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