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주식'을 잘하는 겁니까?..이것 보면 알 수 있다

조회수 2019. 7. 17. 18:15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주식 성과의 기준, 시장수익률이란?


주식 성과의 기준,
시장수익률이란?


'시장수익률'

기사에서도 등장하고

책에서도 등장하는

자주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다들

너무나 자연스럽게 사용만 하지

그 의미를 알려주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래서 한 번 정리해봤습니다.

시장수익률이 뭘까요?


시장수익률 = 지수


주식투자에는 '개별 종목'과

'종목들을 묶어놓은 지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현대차, POSCO, 한국전력,

S-oil, 셀트리온, 바이로메드 등은

'개별 기업'입니다.


그런가 하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들

전체를 묶어서 지수화한 것이

'코스피'인데요,


코스피는 대략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종목

'전체의 평균'입니다.


(참조-'코스피'가 솔직히 뭔지 모르겠습니다)

'주식시장 전체'를 나타내는 지수로는

코스피뿐만 아니라,


국내의 코스피 지수, 코스닥 지수

미국의 다우 지수, S&P500 지수

일본의 니케이 지수 등

다양한 지수들이 있습니다.


(참조-국가별 '시장대표지수' 알아보기)


이들 지수는 각 나라 주식시장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는데요,


통상적으로

이러한 지수들의 수익률 변화를 일컬어

'시장수익률'이라고 합니다.


시장수익률 = 평균수익률


코스피, 코스닥, 다우, 니케이 등

각종 지수들은 특정 시장의

'평균'적인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 역시

거래소에 상장된 종목들의 '평균'으로,


시장수익률이란 말은

특정 시장의 '평균' 수익률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7년에

코스피 지수가 30% 올랐다고 하면,


2017년의 시장수익률이

30%였던 것이고

2017년 종목들의 평균적인 수익률도

30%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시장수익률 = 성과 평가의 기준


시장수익률은

일종의 평균 수익률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성과 평가의 한 기준이 됩니다.


어떤 시험에서 70점을 맞았다고 할 때

그 점수만 가지고는

잘 본 것인지 못 본 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만약 평균 점수가 80점이라면

70점은 낮은 성적일 것이고

평균 점수가 40점이라면

70점은 높은 점수일 것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시장수익률은

연기금, 증권사와 같은 운용사는 물론

개인투자자들도 성과를 측정할 때

참고하는 지표가 되고 있습니다.

가령 기사에서는

이런 표현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A사의 a 펀드는

2017년 시장수익률을

30% 초과하는 수익률을 올렸다!"


이 말은 a 펀드가

코스피 지수가 오른 것보다도

30% 수익률을 더 얻었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코스피 지수가 30% 올랐다면

a 펀드의 수익률은 60%가 되겠죠.


반대로 이런 기사들도

종종 등장합니다.


"B사의 b 펀드는

2017년 15%의 수익률을 올렸지만

시장수익률(30%)에 비교하면

-15%인 성과를 얻었다.”


평균적으로 대부분의 종목들이

30% 오르고 있었는데 a 펀드는

겨우 15%의 수익률을 올렸다는 것이죠.


이런 경우

플러스는 플러스 수익이지만

잘했다고 하기에는 조금 난감할 것입니다.


평균 점수가 30%인데

그 펀드가 얻은 점수는

15%인 것이니까요.

이처럼 시장수익률은

평균의 수익률을 나타내며

성과 평가의 기준으로 작용합니다.


① 평균의 수익률

② 성과 평과의 기준

두 가지를 기억하시면,


시장수익률을 해석할 때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콘텐츠의 타임톡 서비스는
제공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