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다시 잘 나가는 이유 5가지!

조회수 2019. 7. 17. 18:34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일본 경제는 순항중!
일본은 지금?
역대급 경제 순항 중!

지난 29일, '1월 월례 경제 보고'에서

일본 정부는 자신들이 유례없는

최장기 호황을 겪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수출과 설비투자도

완만히 증가세에 접어들었고,


도쿄 5개 중심구의

공실률이 2%를 밑도는 등.


부동산 경기 호조세와 함께

만성적인 디플레이션 국면을

벗어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요,


*디플레이션(Deflation)

: 자산 가치가 지속해서 하락하는 현상.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이

어떻게 경제 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출처: Twitter/AbeShinzo
일본의 제98대 내각총리대신 아베 신조
최상위 그룹에 속한
일본의 경제력


- 국민 총소득 약 5조 489억 달러.

(17, 통계청 KOSIS 기준)

- 경제 규모(명목 GDP) 5조 1,670억 달러.

(2018년, 세계 3위 IMF)

- 외환 보유고 1조 2,709억 달러 세계 2위.

(2018년 12월, 세계 2위 MOF)

- 인구 1억 2,649만 명.

(2018년, 세계 11위 일본 통계청)

- 1인당 명목 GDP 40,849 달러.

(2018년, IMF)


일본은

세계 2~3위권 경제 대국으로

한국에게는 다소 만만하게

취급받는 나라긴 하지만,


세계적인 규모로 따졌을 때는

손가락에 꼽히는 경제 선진국이자

아주 근소한 격차로

미국을 따라잡을 뻔했던

저력 있는 국가이기도 합니다.

1990년,

경제 호황의 정점에 있던 일본은

​미국 1인당 GDP의

81%까지 추격하기도 했습니다.


1995년, 일본 경제의 최정점에서

일본의 명목 GDP 총액은

5조 4,508억 달러로,


당시 미국의 GDP를(7조 6,640억 달러)

​71.12%까지 따라잡았습니다.


중국이 부상하기 전

미국의 유일무이했던 라이벌인,


소련의 최전성기 GDP가

미국의 50%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당시 일본의 경제력이

얼마나 막강했나를 짐작할만합니다.


소련보다 우리에게

더 익숙한 중국의 경우

2017년 통계자료 기준으로

미국 GDP를 60% 정도 따라잡았다고 하니,


당시 일본은 지금의 중국보다 더 높은

경제력을 갖고 있었던 것입니다.

출처: 위키피디아
일본이 항복문서에 서명하는 사진
패전국에서 경제 대국이 된
정치·경제적 요인

그러나 일본은

세계 2차 대전의 패전국입니다.


일본은 세계 2차 대전으로

300만 명에 이르는 인명피해가 있었고,

(당시 식민치하 조선인과 중국인 포함)


전쟁으로 국부의 1/4가량 소실되면서

공업사회는 농업사회로 바뀌어 버렸고

당시만 해도 일본은 도저히

재건될 수 없는 국가인 것처럼 보였습니다.


전쟁 피해를 입기 전 일본의 공업 생산력은

​세계적인 규모를 갖추고 있었는데요,


1936년 일본의 닛산, 도요타는

미국의 제너럴 모터스(GM)를 제치고

전 세계 자동차 생산량 1위에 이를 정도로

상당한 공업 생산성 수준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쟁 후

일본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던

미 군정은 일본이 산업 기반을 복구해서

다시 전쟁을 일으킬 것을 우려해,


재벌을 해체하고 강성노조를 육성하는 등

여러 경제적인 족쇄를 걸기도 했습니다.

​미군정 최고 사령관 맥아더와 히로히토 천황
일본 정부의 경제 재건 노력은 실패...

미 군정의 이런 정책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았기 때문에,


일본 정부는

독자적인 산업 육성을 도모했으며

많은 화폐를 시장에 공급하고

금리를 인하하는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금리가 낮아지고 화폐가 많아지면

당연히 시장에 돈이 많아지고

시장에 돈이 많아지면

화폐의 가치가 작아집니다.


*양적완화

: 돈을 시장에 공급하는 경제정책.


적절한 양적 완화는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

실물경제에서 양적 완화는 많은 경우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게 되는데요,


*인플레이션(Inflation)

: 화폐 가치가 지속해서 하락하는 현상.


당시 일본 정부가 시행했던

양적 완화 정책은 적절하지 못해서,


1948년 일본에선

물가가 200배가량 증가하는

초인플레이션이 초래되었고

일본의 경제는 파국으로 치닫게 됩니다.

출처: 짐바브웨 은행
초인플레이션을 겪던 짐바브웨에서 발행한 100조 달러
한국전쟁의 특수와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

그러던 중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는데요,


이에 일본은 극적인

​전쟁 특수를 누리게 됩니다.


리쿄대학 경제학부

​곽양춘 교수에 의해 제시된

6.25 전쟁 특수의 첫해 규모

물자와 서비스 규모를 합쳐

약 16억 1,873만 달러라고 합니다.


이 금액은 당시

일본 총 GDP의 3%에 달하는

의미있는 금액입니다.​


3%라고 하면

​별 것 아니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삼성이 국내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약 3% 정도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결코 무시할 수 있는 수치가 아닙니다.


1950~55년까지 일본이

6.25 전쟁 특수로 벌어들인 돈은

최소 36억 달러 정도라는 것이 정설입니다.


이런 자료를 보면 일본이

한국전쟁의 수혜로 

전후 복구를 해냈다는 게

결코 과언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한국 전쟁이 끝나고

전 세계에 냉전 체제에 접어들었을 땐,


​동북아 지역의 공산화를 우려한

미국이 전폭적으로 

일본 경제를 지원하면서

일본은 본격적인 성장의 궤도에 오르죠.

출처: 대한민국 국방부
일본의 경제성장에 관한
사회·문화적 요인

학원 보내주고, 과외만 시켜준다고

성적이 오르는 것이 아니듯,


일본이 내재적으로 갖고 있던

문화적인 요인들 역시

일본을 경제 대국으로 이끄는데

큰 공헌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① 일본의 장인정신?


흔히 일본에는 우수한 중소기업과

장인정신에 기반을 둔

고품질 제품이 많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인식이 생겨난 지는

얼마 되지 않았는데요,

196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made in japan싼 맛에 쓰는

조악한 공산품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전통적인 가내수공업으로

아무리 장인정신을 발휘한다고 해봤자

현대식 경영학 이론에 토대를 둔

생산관리, 품질관리를 앞설 순 없었고,


장인들의 주먹구구식 생산방식

제품 간의 품질 편차를 ​크게 만들고

납기를 어기는 등.


오히려 ​경영적인 부분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문제점을 인식한 정부는

기업을 육성시키기 위해

자국 상품을 소진하도록 유도했고

산업계는 정부의 시책에 따랐는데요,


그 결과 매뉴얼과 시스템이 확립되어

소수의 장인들이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장인들의 노하우가 집약된 양질의

상품들이 공장에서 나오게 되었습니다.

② 네마와시 문화


중국에는 '꽌시(인맥 중시)'와

중화사상이 있고

한국에는 정과 유교 문화가 있듯,


일본에는 '네마와시'와

'메이와쿠'라는 문화가 있습니다.


네마와시

특정 안건에 대해 가급적

많은 사람의 의견을 신중하게 듣고,


치밀한 여론 조성 작업을

마친 뒤에 채택하는

사회적 의사결정 방식입니다.


그래서 일본의 기업 구성원들은

아무리 사소한 의사결정이라도

재량권을 행사하거나,


자율적인 의사결정에 맡기기보단

만장일치를 추구하고 될 수 있는 한

집단의 결정을 기다리는 편입니다.


네마와시는 집단지성을 활용한

의사결정 방식의 일환이자

개개인들이 대립을 피하고,


전체의 조화를 추구하는

일본적 문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③ 메이와쿠 문화


메이와쿠는 일본 문화의 특색으로

사람들에게 민폐를 끼치는 것을

극도로 혐오하는 문화를 말합니다.


타인에게 민폐를 끼치지 말자는 개념은

여느 공동체에서나 있기 마련이지만,


​메이와쿠는

다소 독특한 양상을 보이는 일본식 문화로

단순히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려

상호 갈등의 불씨가 될 만한

행동을 금기시하는 것으로까지

확대된 개념입니다.


일부 학자들은

메이와쿠 문화가 탄생한 이유를

역사적인 접근으로 설명합니다.

과거 일본은 무사 계급 중심의 사회

개인의 감정적 격동이

무력행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컸습니다.


특히나 중앙집권이 발달하지 않아

담당 행정부의 치안이 미비했기 때문에,


낮은 계급이 높은 계급에

밉보였다간 죽음을 불사해야 했고

같은 계급끼리도 사소한 말다툼이 번져

칼을 빼 들고 싸우는 일이 

흔했다고 합니다.


이렇다 보니 계급이 낮으면

트집이 잡히지 않기 위해서라도

본심을 철저히 숨길 수밖에 없었고,


​계급이 어느 정도 높아도

상대방에게 칼이 있는 이상

자기 마음대로는

행동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네마와시와 메이와쿠는

일본인들이 정교하게 짜인

일본식 사회적 시스템에​

쉽게 순응할 수 있는 배경으로 작용했고,


그 결과, 국민이 한뜻으로

국가와 기업의 경제 정책에

따를 수 있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④ 주군·가신 문화


한국에 4대 재벌

삼성, 현대, SK, LG가 있듯이,


일본에도 3대 재벌

미쓰이, 미쓰비시, 스미모토가 있습니다.


일본 재벌집단의 역사는

에도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일본의 재벌집단은 이러한

전통적 봉건 관계에 기반을 둬,


주군을 따르는 가신들처럼

법률이나 시스템을 넘어선

공고한 유대성이 있습니다.


*봉건 관계

: 주군과 신하의 관계.


주주와 경영진이 기업에

비교적 높은 충성도를 보이는 것도

일본이 안정적인 경제 대국으로

성장하는 데는 기여를 했습니다.

출처: 각 사

*일본 3대 재벌의 재미있는 사풍


참고로 일본의 이 3대 재벌을

사람의 미쓰이, 결속의 스미토모,

조직의 미쓰비시라고 부르는데요,


이들은 각각 업종별 특징에서 나온

재미있는 사풍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쓰이스미토모

대표적 상인 집단인데요,


미쓰이는 확고한

거상의 이미지이지만,


스미토모는 밑바닥부터 커온

잔뼈 굵은 상인의 이미지에

더 가깝다고 합니다.


반면 미쓰비시는 단독 행동보단

집단행동이 우선되는

중후장대 산업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보니,


인재의 독자적인 퍼포먼스보다는

조직의 힘으로 일을 처리하는 것을

더욱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중후장대(重厚長大) 산업

: 철강업·중공업 같은

큰 장치산업을 이르는 말.


스미토모도 제조업 중심이지만

미쓰비시보다는 규모가 작은

소재 산업 중심이다 보니,


소수 정예군단의 결속된 힘을 강조하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 세간의 평입니다.


이들과 달리 미쓰이는

철저한 엘리트 상인 집단을 추구하며

이재에 뛰어난 인재를 키우는 것이

최고라는 모토로 실리와

인재를 중시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렇게 기업과 직원의 관계가

전통적 사풍에 뿌리를 둔

가문과 가신의 관계로 유지되어 있어,


임직원들이 기업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는 점도

일본 경제의 좋은 문화요소입니다.

⑤ 시고토 문화


독일의 사회과학자

막스 베버(Max Weber)는 자신의 저서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직업을 신의 소명이라고 

생각하는 합리화"

자본주의의 불을 당겼다고 말했습니다.


일본인들에게도 서구 문명에서 말하는

소명(calling)과 비슷한

직업의식에 대한 윤리가 있습니다.


통합과 유대를 중시하는 일본답게

그들은 직업과 학력의 차이로 인해

갈등이 없도록 사회적 갈등 관리

아주 오랫동안 관리해왔습니다.


하고 있는 일이 세상에

해악을 끼치는 것이 아닌 이상

​직업에 귀천이 없고

뭐든 최선을 다하는 것이 가치 있다

인식을 보급해,


국가 경제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노동력을 확보한 것입니다.

일본을 가깝고도 먼 나라라고

자주 표현하는데요,


정치·경제적 배경과 더불어

문화적 이해에 바탕을 두고

일본이 어떻게 경제 대국으로

올라섰는지 잘 기억한다면,


일본이라는 국가에 대한

경제적 이해의 폭을

더 넓힐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문헌]

- Dower, John. "The Useful War," in Carol Gluck and Stephen Graubard, eds., Showa: The Japan of Hirohito. New York & London: W.W.Norton, 1992.

- "전후 미국의 대일 점령정책 - 경제정책을 중심으로" (1997), [사회와 역사], 한국사회사학회, 통권 제 52집, 문학과 지성사

- Gordon, Andrew. A Modern History of Japan: From Tokugawa Times to the Present. New York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 松下政塾 : Column Series (1990~1997)

- 전후 일본경제론 (강영수 저, 대왕사 간)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콘텐츠의 타임톡 서비스는
제공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