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볼빙은 할부가 아닌 대출이다

조회수 2018. 5. 2. 08: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일부결제금액이월약정'의 다른 이름

지난달, A는 사용하는 카드사의 전화를 받았습니다. 현재 '일부결제금액이월약정(리볼빙)' 사용을 권유하는 것이었습니다. 카드대금이 연체 되어도 자동으로 이월처리가 되어 연체로 인한 신용도 하락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 마침, 늘어난 할부에 허덕이던 A는 딱 한 달만 서비스를 이용하기로 했습니다.


어쩌다 한 번은 괜찮겠지?

 

리볼빙(revolving)이란 카드 대금 중 일부만 갚고, 나머지는 다음으로 돌려(revolve) 갚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결제일에 대금을 모두 결제할 필요 없이 대금의 최소비율 이상을 결제하면 잔여 대금의 결제는 연장됩니다. 당장 대금을 갚지 않아도 되지만 이자율은 평균 16.6~19.5%로 높습니다. '소중한 신용등급을 지키기 위해서라면..'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리볼빙은 일종의 대출입니다! 잘못 사용하시면 신용 등급이 떨어질 수도 있죠. 

같이 한 카드사의 리볼빙 안내문 일부를 살펴볼까요?

[일부결제금액이월약정]은 일종의 대출이므로 수수료(이자)가 부과됩니다.

[일부결제금액이월약정]을 이용하시면 본인의 용등급이 하락할 수 있으며, 약정결제비율을 100% 미만으로 신청하여 지속적으로 이용한 경우 본인이 갚아야 하는 대금이 계속 늘어나게 됩니다.

  리볼빙의 가입만으로는 신용도에 영향이 없습니다. 어쩌다 한 번은 연체보다는 좋습니다. 하지만 소비는 습관입니다.  할부같이 느껴지는 리볼빙 서비스의 특성상 결제금액이 이월 돼도 안일한 소비를 지속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를 조금씩만 결제하여 채무가 누적되면 신용등급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리볼빙 서비스를 이용시 한번에 100%를 결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 번에 결제할 자신이 없다면 쓰지 않아야 하죠.


리볼빙 현명하게 사용하기

 그래도 리볼빙 서비스를 이용한다 하시는 분들은 이를 현명하게 이용하시면 됩니다.

1. 서비스 이름 및 가입 여부 확인 : '자유결제', '회전결제', '페이플랜'등 카드사마다 리볼빙 이름이 다릅니다. 현재 사용중인 카드사의 서비스 이름은 무엇인지, 현재 가입이 되어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선결제로 이용액 축소 및 빠른 상환 : 리볼빙 서비스의 기본은 선결제 통한 이자 부담을 더는 것입니다. 여유자금이 생기는 즉시 최대한 결제 비율을 조정해 잔액을 줄여 이자 폭탄을 피하세요.

3. 카드 사용대금 및 결제일 준수 : 리볼빙 서비스를 이용시 대금 결제일을 꼭 지켜셔야 합니다. 연체가 될 경우 대금과 연체이자 동시 부담, 신용도 하락으로 인한 사용한도 감액, 카드사 간 연체 정보 공유로 신용평가 시 불이익 가능성이 있습니다.

카드값은 곧 부채다.

 신용카드는 대금을 결제하기 전까지는 '부채'입니다. 보통 '빚'이라고 하면 무섭지만 '카드값'은 괜찮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카드값'은 엄연히 '빚'이죠. 잘못된 소비습관으로 카드값에 휘말리기 보단 카드 수를 1~3개 내외로 줄이고 예산표를 작성하여 계획된 소비를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구체적인 목표를 짜는 것이 어려우시다면 아래 3가지 질문으로 시작하세요.

 1. 최근 3개월 신용카드 평균 사용 금액이 어떻게 되는지?

 2. 이번달 사용 금액은 얼마인지?

 3. 할부나 연체금액이 있는지?

브로콜리 어플을 통한 카드 청구서 및 연체금 확인

 그리고 자산과 카드 소비가 적당한지를 고민해보세요. 차근히 생각하고 분석하시면 줄여야할 소비가 확실히 보이실 겁니다. 브로콜리 어플을 이용하시면, 위 모든 사항을 한번에 확인 하실 수 있으며 소비패턴 분석도 가능합니다. 어렵게 생각하지 않고 '쓰는 돈'과 '써도 되는 돈'에 대한 생각으로 시작해보세요. 건강한 자산관리는 자신의 자산과 소비패턴의 정확한 이해부터 시작됩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