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먼데이]NFT, 콘텐츠와 블록체인 경계 허문다

조회수 2020. 10. 12. 10:11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토큰)는 블록체인에서 파생된 요소 중 가장 독특한 성질을 자랑한다. 바로 ‘유일무이함(Unique)’이다.


NFT는 이름처럼 각각의 토큰이 동일한 가치를 갖고 교환되는 일반 가상자산과 달리 서로 다른 속성으로 단 하나씩만 존재한다. 복제도 불가능하다. 또 소유권은 블록체인 장부상에 영원히 기록된다는 점에서 이를 디지털 콘텐츠에 접목하는 사례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출처: 같은 듯 모두 다른 NFT / 이미지=픽사베이

게이머의 소유욕 자극하는 NFT 게임 아이템


NFT를 가장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분야는 게임계다. 게임사는 NFT 기반 게임 아이템을 통해 유저들의 소유욕을 자극한다. 같은 이름, 같은 성능의 아이템이 계속 만들어지는 기존 게임과 달리, NFT 요소가 접목된 게임에선 동일한 아이템은 단 하나도 존재할 수 없다. 모든 아이템에 ‘유일성’이 부여되는 셈이다.


과거 수많은 대형 게임의 서비스 존망을 가른 ‘아이템 복사’ 같은 사고도 NFT 기반 게임에선 있을 수 없다. 유저들은 신뢰할 수 있는 환경에서 게임 플레이를 통해 가치가 높은 NFT 아이템을 얻고, 게임사는 유저들이 이를 거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수집, 교환 생태계를 형성한다.


시초는 널리 알려진 이더리움 기반의 고양이 교배/수집 게임 ‘크립토키티’다. 유저가 NFT 속성의 고양이들을 교배해 자신만의 희귀한 고양이를 만든다는 단순한 발상의 이 게임은 단기간에 큰 인기를 끌었다. 실체가 없는 가상 고양이임에도 전성기엔 희귀 고양이가 수천만원 이상에 거래될 정도였다. 비록 지금은 이용자가 많이 줄었지만 크립토키티는 NFT 게임 및 NFT 융합 콘텐츠의 잠재적 시장 가능성을 증명한 사례로 널리 회자된다.

이후 퀄리티를 크게 높인 NFT 게임들이 잇따라 등장하며 주목을 끌었다. NFT 고유의 유일성과 소유권을 가상세계에 접목한 ‘디센트럴랜드(Decentraland)’나 블록체인판 마인크래프트로 불리는 ‘더샌드박스(The Sandbox)’가 대표적이다.


이들 게임의 유저는 가상세계의 부동산을 구입해 소유권을 얻고, 건물을 짓는 등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한다. 또 직접 제작한 아이템을 거래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도 역시 유저들의 관심을 끄는 요소다. 


특히 게임 아이템의 권리가 게임사에 귀속되는 기존 게임과 달리, NFT 아이템은 게임 내에 속하지만 근본적인 소유권은 게이머에게 있으며 게임 서비스가 종료돼도 블록체인 플랫폼에 남는다는 점에서 영속적인 가치를 지닌다.

출처: 샌드박스 플레이 장면

이 같은 특징을 바탕으로 디센트럴라이즈는 2017년 ICO(암호화폐공개) 단계에서 200억원 이상의 토큰 판매고를 올렸으며, 세계 최대 규모의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는 더샌드박스 내 16만6464개의 부동산 중 4012개를 직접 구매하며 높은 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또 지난 2일에는 크립토키티 개발사인 대퍼랩스가 블록체인 기반 게임 ‘NBA 탑샷’을 삼성 갤럭시 스토어에 오픈베타로 공개하며 주목을 끌었다. 갤럭시 스토어 최초의 블록체인 게임이다.


NBA 탑샷도 NBA 역사상 중요한 순간이 기록된 라이브 장면을 NFT로 판매하며 이용자는 이들을 수집해 자신만의 팀을 만들거나 경쟁에 나설 수 있다. 실제 NBA 선수 애런 고든이 직접 투자에 나서기도 한 NBA 탑샷은 클로즈베타에서만 4만3000팩을 판매해 20억원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국내에선 사행성 논란…적극적 대책 마련돼야


한편, 국내 일부 게임사들도 NFT 기반 블록체인 게임 출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시장 전망은 불투명한 상태다. 무엇보다 게임물관리위원회(이하 게임위)가 NFT 요소를 포함한 게임의 심의를 무기한 연기하고 있어 논란이 지속되는 중이다.


스카이피플의 신작 RPG ‘파이브스타즈’는 당초 ‘클레이튼’이란 카카오 계열 블록체인 플랫폼과 연동돼 출시될 예정이었으나 게임위의 잇따른 심의 연기 끝에 결국 블록체인 요소를 제거한 일반 버전을 먼저 출시했다. 지난 9월 게임위는 가상자산을 통해 이뤄지는 NFT 아이템 거래에 ‘사행성’이 조장될 수 있다며 다각적 심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아울러 가상자산사업자(VASP)의 사업 신고 의무와 기준을 강화한 특금법 개정안이 내년 3월 국내 시행을 앞두고 아직 세부 시행령이 공개되지 않은 상황에서, 블록체인 게임을 심의하는 것이 자칫 추후 골치 아픈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점에도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은 “답답하다”는 입장이지만, 일각에선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도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미 가상자산 투기로 인해 블록체인에 대한 정부·대중의 인식이 부정적인 상황에서, 블록체인 게임마저 사행성 문제가 생길 경우,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대신 게임위 등에선 우선 국내 상황에 걸맞은 가이드라인이라도 최대한 신속히 내놓을 필요가 있다. 문제 해결을 무작정 회피하는 것은 자칫 국내 블록체인 게임 콘텐츠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술품, 수집품에도 NFT 접목…전망 밝아


게임 외에도 디지털 콘텐츠에 NFT를 접목하고 좋은 성과를 올린 사례는 적지 않다. 가깝게는 지난 7일 미국의 크리스티 경매(Christie’s Auction)에서 ‘블록21’이란 예술품이 한화 1억5000만원 정도에 낙찰된 예가 있다.


예술가 벤 젠티리(Ben Gentilli)가 디자인한 이 작품은 비트코인과 그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가 주제이며 작품 전반에 다양한 비트코인 요소를 담아 만들어졌다. 이는 특히 작품에 고유 NFT를 부여하고 이를 함께 판매함으로써 예술품의 실물적 가치와, 구매자의 소유권을 디지털 장부에 영원히 기록하는 내재적 가치를 동시에 만족해낸 사례로 주목된다.

출처: 왁스를 통해 유통된 샤트너의 NFT 사진 조각

또 지난 8월에는 영화 ‘스타트랙’의 커크 선장으로 유명한 배우 윌리엄 샤트너가 자신이 개인적으로 소장 중인 사진들을 NFT 카드로 공개해 9분 만에 매진시키는 기록을 세웠다. 샤트너는 블록체인 기반 아이템 거래 플랫폼 왁스(WAX)를 통해 스타트랙 배우 동료들과 찍은 사진, 샤트너의 딸이 태어난 당시의 사진, 샤트너 본인의 치아 엑스레이 등 다양한 사진을 5장짜리 팩, 30장짜리 메가 팩 등으로 만들어 공개했다.


각 카드에는 사진의 일부만 그려져 있어 하나의 사진을 완성하려면 수집가들 사이에서 나머지 일부가 그려진 카드를 교환하거나 구입해야 한다. 유명 스타의 소장품을 모으는 과정에 게임 요소를 더한 사례다.


지난 7월 그라운드X는 국제 NGO 굿네이버스와의 협력을 통해 카카오톡 클립에 탑재된 가상자산 지갑 ‘클립’으로 아프리카 취약 아동 지원에 대한 기부 시스템을 마련했는데, 참여자에게는 기부 인증 카드를 NFT로 제공함으로써 참여자가 자신의 기부 기록을 블록체인 플랫폼에 영구히 기록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최근 출시한 클레이튼 모바일 지갑 ‘카이카스’를 통해서는 케이팝 아이돌 포토카드를 NFT 카드 형태로 모을 수 있는 ‘클립포카’ 서비스를 선보이기도 했다.


이 밖에도 NFT의 활용 영역은 무궁무진하다. 개인이 하나의 NFT를 완전히 소유하는 것 외에도 지분 형식으로 나눠 일부만 소유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최근 소유에서 대여(Lent)의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는 음악·영상 등의 디지털 저작권 시장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양한 활용 사례가 꾸준히 나오고, 또 발굴되고 있는 만큼 시장 규모도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토큰 데이터 제공업체 NonFungible.com는 지난 3월 “올해 NFT 시가총액 규모는 작년에 비해 1억달러 이상 증가한 3억1500만달러(3630억원)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By 리포터 이건한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