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임원 자사주 취득이 사익편취? 시민단체 주장 논란

조회수 2021. 3. 10. 11:3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출처: (사진=포스코)
최정우 포스코 회장.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가 최정우 포스코 회장을 비롯한 현직 임원 64명을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9일 검찰에 고발했다. 이를 두고 시장은 시민단체의 과도한 경영 개입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오너 또는 경영진의 자기주식 매입은 주가 방어와 책임 경영 차원에서 이뤄지는 만큼 미공개 정보를 활용해 사익을 추구했다는 비판은 지나치다는 설명이다.


최 회장 등을 고발한 시민단체는 참여연대 경제금융센터와 민주노총 금속노조,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민생경제위원회 등 3곳이다. 이들 단체는 “경영진은 특정 시기 조직적으로 자사 주식을 매입했고 매수 수량도 사전 공모한 것처럼 규모가 유사하다”며 “사전에 동일한 정보를 전달받았다고 보는 것이 상식에 부합한다”고 주장했다.


참여연대 경제금융센터는 ‘포스코 최정우 회장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고발 기자회견’ 자료에서 “피고발인들은 포스코의 임원들로서, 회사 및 계열사의 임직원들은 투자자의 투자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회사의 업무와 관련된 미공개중요정보를 해당 회사의 주식 매매거래에 이용해서는 안됨. 그런데 최정우 회장 등 임원 64명은 2020. 3. 12~27.까지 포스코의 1조원 규모 자사주 매수 계획이 2020. 4. 10.자 이사회 결의를 통해 외부에 공개되기 전 미공개중요정보를 이용하여 포스코 주식 총 19,209주(주당 170,000원 기준 약 32억원)를 취득함”이라고 했다.


자사주 취득 정보를 사전에 알았을 가능성이 크고 이 때문에 포스코 임원들이 자사주를 미리 매입했다는 논리다.


시간순으로 보면 최 회장 등 포스코 임원 64명은 지난해 3월 13일부터 같은 달 31일까지 회사 주식을 잇달아 매입했다. 최고재무책임자(CFO)인 전중선 부사장이 1000주를 매입하면서 포문을 열었고, 최종교 상무가 100주를 매입하면서 마지막 순번에 이름을 올렸다. 포스코 임원 64명이 18일에 걸쳐 매입한 주식은 1만8909주에 달한다. 임원이 주식을 매입하는 데 들어간 금액은 26억원에 달한다.


시기적으로 보면 전 부사장이 주식을 매입한 시기는 코로나19 팬데믹 선언이 발표된 다음날이었다. 같은날 포스코 주가는 17만8000원을 기록했다. 중국 우한과 미국, 유럽 등 세계 곳곳이 ‘락 다운’되면서 포스코의 수요처인 공장들이 연달아 생산을 중단했다. 지난해 1월20일 포스코 주가는 24만9000원을 기록했는데, 코로나19 상황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면서 주가는 꾸준히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 기간 동안 포스코 주가는 39.8% 하락했다.


포스코 임원의 주식 매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난해 3월23일. 같은 날 포스코 주가는 13만3000원을 기록하면서 최저점을 기록했다. 최 회장을 비롯 임원들이 대대적으로 주식 매입에 나서면서 하락세를 보이던 포스코 주가는 소폭 상승하기 시작했다.


그러다 임원들의 주식 매입이 끝난 후 포스코는 지난해 4월10일 이사회를 열고 ‘자사주 금전신탁 운용(안)’을 안건에 부쳤다. 포스코는 해당 안건이 이사회를 통과한 후 보도자료를 통해 1조원을 들여 자사주를 매입한다고 밝혔다. 자사주 신탁 계약이란 상장기업이 증권사 등 금융기관에 일정 금액을 맡겨 놓고 한도 내에서 주식을 사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사주를 신탁 계약하는 경우 증권사가 투자금을 들고 주가가 떨어질 때 자사주를 매수해 주가 급락을 선제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 기업이 주주에 주가를 관리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낼 수 있어 긍정적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글로벌 주식시장이 불안해지면서 회사 주식이 과도하게 저평가됐다”며 “주식 매입을 통해 시장에 명확한 시그널을 전달하고 주가 회복에 대한 의지를 보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포스코가 자사주를 매입한 건 2007년 이후 13년 만으로 매우 이례적이다. ‘팬데믹’이란 특수성과 포스코가 13년 만에 자사주를 매입한 점을 볼 때 경영진이 미공개 정보를 활용해 사익을 추구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보는 시각에 따라 의혹의 시선을 가질 수 도 있는 셈이다. 하지만 시장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는 지나치게 평면적인 해석일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

일반적으로 회사 경영진과 임원의 주식 매입은 주가 부양과 책임 경영 차원이다. 경영진이 대대적으로 주식을 매입할 경우 유통주식수가 줄어들어 단기간에 주가를 방어하는데 효과적이다. 경영진이 주식을 대대적으로 사들일 경우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메시지로 읽힌다. 실제 최정우 회장 등 경영진과 임원이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에 대대적으로 나서면서 책임경영의 일환으로 받아들여졌다.

포스코 외에도 현대차그룹과 롯데그룹, LS그룹 등 대그룹의 경영진들은 팬데믹 이후 사비를 들여 주식을 사들였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190억원을 들여 현대자동차와 현대모비스 주식을 매입했다.


기업의 자사주 매입에 대한 시장의 인식도 달라졌다. 자사주 매입은 주주평등의 원칙과 불공정 거래 위험을 이유로 금지됐는데 1994년 증권거래법이 개정되면서 허용되고 있다. 오히려 경영권 방어와 책임경영 차원에서 장려되고 있다.


기업이 자사주를 매입한다고 해서 주가가 반드시 오른다는 보장도 없다.


이 때문에 포스코 경영진이 미공개 정보를 활용해 주식 매매거래에 활용했다는 건 억측이라는 게 기업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포스코가 1조 규모 자사주를 매입할 경우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글로벌 철강시황은 원가 인상과 수요 산업의 불황으로 언제든 악화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정 기간 동안 자사주를 활용해 주가를 방어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불확실성이 있을 수밖에 없다. 포스코는 자사주 신탁 계약기간을 1년으로 한정했다. 1년 이후에는 계약기간이 끝나 자사주 매입을 할 수 없다.


포스코 경영진이 자사주를 매입할 경우 시세차익을 보는 건 충분히 예상가능했던 일이다. 경영진이 주식을 대대적으로 매수했던 시기는 포스코 주가가 10년 만에 최저점을 기록한 시기였다. 시장은 포스코 주가가 조만간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굳이 포스코가 1조를 투입해 자사주 매입하지 않았더라도 경영진은 시세차익을 남길 수 있었다는 의미다.


당시 임원들이 매입한 주식수를 살펴보면 천차만별이다. 17%는 100주 미만으로 주식을 샀다. 강성욱 상무는 21주를 구매해 가장 적게 주식을 구매한 임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주식을 가장 많이 산 임원은 CFO인 전중선 부사장이다. 그는 포스코의 ‘재무 수문장’으로서 가장 많은 주식을 구매했다. “포스코는 문제없다”라는 명확한 시그널을 시장에 전달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최정우 회장과 전중선 부사장 등 핵심 임원들은 현재까지 주식을 전혀 팔지 않았다. 최 회장은 1526주를 보유하고 있어 변동이 없고, 전 부사장은 1262주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 임원은 언젠가 주식을 매매해 시세차익을 남길 것이다. 그럼에도 ‘1조 자사주 매입’이라는 미공개 정보 때문에 주식을 매입했다는 것은 억측이라는 게 시장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포스코 임원들이 미공개 정보를 활용해 주식을 샀다는 건 지나친 억측”이라며 “오히려 정권의 포스코 흔들기가 시민단체를 통해 이뤄지는 게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다.


참여연대는 “피고발인들의 행위에 대해서는 면밀한 수사를 통해 준엄한 심판이 있어야 할 것임. 특히 이사회 결의 직전 1달 동안의 회사 내부 자료에 대한 신속하고 엄정한 수사가 절실히 요구됨”이라고 주장했다.


출처: (자료=금융감독원)
팬데믹 직후 포스코 주식을 구매한 임원 현황.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