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하락장서 돈 버는 사람들..3가지 공략방법 살펴보니

조회수 2019. 2. 25. 17:06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암호화폐 시장이 또다시 하락장을 맞이했다. 2017년 말부터 2018년 초까지 암호화폐 시장을 들끓게 했던 투자 열풍은 사라지고, 침체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 침체기에도 새로운 방법으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돈을 벌고 있는 이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락장에서 수익을 내고 있는 암호화폐 업계의 ‘마이더스의 손’은 누구일까. 대표적인 이는 지분증명(PoS, Proof-of-Stake) 방식을 통해 담보물 이자를 받는 네트워크 관리자와 암호화폐 대부업자이다. 또 콘텐츠 산업에서 블록체인 기반 분산형 애플리케이션(디앱)을 통해 부수입을 얻는 이들도 하락장에 주머니를 불리고 있다.

1.”코인 담보로 이자 받자”…신개념 보상체계 ‘지분증명’

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택하는 블록체인이 늘면서 암호화폐를 담보로 맡기고 이자를 얻는 이들이 눈에 띈다.

지분증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여러 관리자가 하나의 거래 장부로 합의하기 위해 활용하는 알고리즘의 일종이다. 합의는 거래 데이터를 정리하는 분기(블록)마다 이뤄진다. 작업증명(PoW. Proof-of-Work)은 분기 마감에 필요한 연산 작업을 먼저 해낸 채굴자에게 암호화폐 보상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와 달리 지분증명은 암호화폐를 담보로 맡긴 후 분기 마감을 집행할 관리자를 선출하는 식이다. 이때, 담보물을 많이 맡길수록 선출 확률이 높아진다.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쓰이는 작업증명과 달리 지분증명은 상대적으로 널리 쓰이는 합의 알고리즘은 아니다. 다만 대표자를 따로 선출해 지분증명 알고리즘을 운영하는 이오스(EOS), 스팀잇(Steemit)처럼 위임지분증명 방식(DPoS, Delegated Proof-of-Stake)은 익숙한 이름일 수 있다. 암호화폐를 묶어둔 채 지분증명에 참여하는 방식은 분기 마감에 대한 암호화폐를 이자처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적으로 수익을 내는 ‘티끌 모아 태산’ 전략에 가깝다.

암호화폐 전문 투자사 멀티코인 캐피탈의 카일 사마니(Kyle Samani) 파트너는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시장 상황과 상관없이 담보 제공자는 담보물로부터 이익을 얻는다”며 “멀리 내다본다면 스테이킹(Staking)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통신은 “새로 등장한 암호화폐 수탁업체(custody)도 담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며 “이달 출시된 디지털 자산 플랫폼 이온(EON)은 고객이 지분증명으로 얻은 이익에 5%의 수수료를 매기려 한다”고 전했다.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브라이언 암스트롱 대표 또한 지난 21일 포춘지 기고를 통해 지분증명으로 이자받는 방법을 언급했다. 암스트롱 대표는 테조스 블록체인을 예로 들어 “채굴자에 해당하는 베이커(baker)가 콜드월렛* 담보물에 대한 대변인 역할을 한다”며 “고객 자금은 여기에 안전하게 보관하면서도 네트워크 관리 활동에 참여해 이자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콜드월렛(cold wallet) : 인터넷 연결을 차단한 암호화폐 보관 지갑. 온라인으로 연결해두는 지갑은 핫월렛(hot wallet)이라 부른다.

2.하락장서 빛 발하는 ‘코인 대부업’

암호화폐 하락장에 도리어 미소 짓는 사람도 있다. 대부업(lending) 종사자들이다. 암호화폐 시장 침체기가 장기화하자 암호화폐를 낮은 가격에 팔지 않으려는 채무자와 단기 매도를 노리는 ‘큰손’이 대부업 고객으로 떠오르고 있다. 암호화폐 상승장에서는 투자자에게 암호화폐 매수 비용을 대출해 수익을 냈다면, 하락장에는 전혀 다른 수익 모델을 운영하는 셈이다.

지난달 30일 포브스 보도에 따르면 장외거래(OTC) 서비스업체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탈의 지난해 암호화폐 대출 규모는 11억 달러(한화 1조2300억 원)를 달성했다. 제네시스 글로벌 트레이딩의 마이클 모로 대표는 “단기 투자와 장기 투자 모두 활발하게 이뤄질 때 전반적인 유동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며 “이 분야에 더 많이 공을 들일 때라는 게 입증됐다”고 짚었다. 대출 수요 증가와 함께 높은 이자율을 부과, 암호화폐 시장이 하락할 때 수익을 보전할 완충재까지 염두에 뒀다는 후문이다.

암호화폐 담보대출 서비스업체 블록파이의 잭 프린스 대표는 “소비자 관점에서 암호화폐 대부업은 대출로 시작돼 다각화한 핀테크 회사처럼 보이기 시작할 것”이라며 “학생 대출부터 모기지, 재산 관리 등으로 확장한 소파이(SoFi)와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소파이는 동문 커뮤니티를 통해 학자금을 대출하는 서비스로 출발한 핀테크사다.  

이에 암호화폐 대부업으로 영역을 넓히는 움직임도 포착된다. 지난해 소파이 앤서니 노토(Anthony Noto) 대표는 “밀레니얼이 경제적으로 더 독립하도록 돕고자 한다”며 “2019년 신규 투자상품 중 암호화폐를 추가하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거물 투자자 마이크 노보그라츠가 이끄는 미국 암호화폐 투자은행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 또한 2억5000만 달러를 조달해 암호화폐 담보대출 사업을 시작하겠다고 발표했다.

블록체인 기반 대출 스타트업 다르마(Dharma)는 지난 5일 미국 벤처캐피털 코인베이스 벤처스, 와이컴비네이터(Y Combinator)를 포함한 다수 투자자로부터 700만 달러(한화 78억 원)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

국내에도 암호화폐 대출업체가 등장했다. 스타트업 더널리(TheNully)가 이달 선보인 암호화폐 대출 서비스 브릭(brick)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를 담보로 현금을 빌려준다. 브릭은 블록체인 상에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스마트컨트랙트 기술을 활용해 대출 계약과 결과를 공개하는 것이 특징이다.

3.디앱 시장은 코인으로 ‘용돈 벌이’ 실험 중

디앱 시장에서는 암호화폐로 부수입을 버는 사례가 종종 발견된다. 게임 디앱에서는 아이템을 거래 플랫폼에 팔아 수익을 냈다는 경험담이 나온다. 또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는 글이나 영상을 게시해 사용자 반응에 따라 암호화폐를 보상으로 받기도 한다. 하락장과 상관없이 인센티브를 얻는 사례다.

출처: eosknights
이오스나이츠 아이템창과 마켓플레이스 화면.

게임 디앱 시장은 암호화폐 하락장에도 수익 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곳 중 하나다. 이더리움 기반 고양이 수집 게임 크립토키티의 창시자 베니 지앙(Benny Giang)은 지난해 11월 블록인프레스와의 인터뷰에서 ‘크립토키티가 리그오브레전드(롤)보다 재미없다’는 사용자에게 “롤이 용돈을 벌어주진 않고, 도리어 돈을 쓰게 하지 않느냐”고 되물었다. 그는 “블록체인 게임은 풀타임 게이머를 포함해 게임으로 돈을 버는 파이를 상위 2%에서 30%로 늘려주는 일”이라며 “소수의 플레이어가 크립토키티로 돈을 버는 실험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 해시드 김서준 대표는 지난 21일 해시드랩스 투자 설명회에서 “머지않은 미래에 현실세계 경제보다 가상경제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며 “기술 발전으로 일자리가 줄어드는 시점에서 가상세계가 경제활동을 받쳐주는 새로운 공간이 돼 선순환이 일어날 때 ‘현실의 인터넷’,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은 가상현실이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오스 블록체인 기반으로 방치형 RPG ‘이오스나이츠’를 개발한 바다 스튜디오의 신명진 대표는 “블록체인 특성상 게임 사용자는 재미를 느끼는 만큼 게임을 통해 돈을 벌고자 한다”며 “사용자와 이익을 공유하는, 사용자가 돈을 벌게 하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아이템 마켓플레이스(거래 시장)에서 아이템을 판매해본 사용자는 디앱에 강하게 빠져든다”고 전했다. 현재 이오스나이츠는 게임 사용자가 많을수록 특별 임무(퀘스트)가 더해져 성과가 올라가는 ‘성장 연동 보상 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 블로그 서비스인 스팀잇은 게시물의 ‘좋아요’, 공유 활동에 비례해 암호화폐 보상을 지급한다.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에 따라 서비스 내 영향력을 높이는 스팀파워나 미국 달러와 가치를 연동하는 스테이블코인 스팀달러를 주는 식이다. 블록체인 기반 유튜브를 표방한 디튜브(dtube) 또한 영상 콘텐츠 반응을 통해 콘텐츠 생산자가 암호화폐 보상을 얻는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