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영화 〈82년생 김지영〉의 소설보다 더 문학적인 장면

조회수 2020. 7. 14. 11:17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82년생 김지영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처음 본 관객들은 ‘미숙이’ 때문에 많이 울었습니다. ‘미숙’은 영화 속 김지영의 엄마 이름이죠.



육아 때문에 일을 할 수 없었던 지영은 다시 일을 하기 위해 애를 씁니다. 육아는 여전히 문제입니다. 아이를 돌봐줄 사람을 구하기가 어려운 상황, 남편 대현이 자기가 육아휴직을 쓰겠다고 해서 방법을 찾은 듯했으나 이번에는 시어머니가 반대합니다. 


이때 지영이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내는 병을 앓는다는 사실을 엄마가 알게 됩니다. 엄마는 지영에게 “밥 잘 챙겨 먹어라”, 그리고 “엄마가 근처로 와서 아이를 봐줄 테니 일해라”, 이 짧은 이야기만 전합니다. 


그때 지영의 눈빛이 달라집니다. 지영은 집을 나서려는 엄마의 뒷모습을 보며 이렇게 말합니다.

미숙아… 그러지 마.

여러 사람의 목소리를 내는 김지영이 외할머니의 목소리를 내는 이 장면은 원작 소설에 없습니다. 


영화만의 장면입니다.


지영은 엄마의 엄마가 되어 미숙이 과거 오빠들 뒷바라지를 위해 청계천에서 미싱을 돌렸던 과거를 꺼냅니다. 

너 미싱에 손 그리 돼서 왔을 때 엄마 가슴이 얼마나 찢어졌는지 몰라…
그때… 마음껏 안아주지도 못하고.. 고맙다는 말도 못 하고

미숙아… 미안하다…

지영이 힘들어도 다 알아서 할 거야.
강단 있게 키웠잖아.
그렇지?

이 장면을 처음 봤을 때는 ‘엄마’의 고단한 과거에 대한 ‘딸’의 뜻하지 않은 위로를 보여주는 것 같았습니다. 그 자체로 감동적이고 슬픈 장면이죠. 

하지만 다시 보니 이 장면에는 그보다 더 다양한 감정이 복잡하게 얽혀있었습니다. 엄마가 과거처럼 가족을 위해 자신이 원하는 걸 포기하지 않았으면 하는 딸의 바람이 드러나는 장면인 동시에 엄마로서는 딸이 아프다는 사실을 처음 발견한 순간이기도 하니까요. 


이때 미숙이 흘리는 눈물은 고통스러웠던 과거 때문이면서 아픈 딸 때문일 겁니다.무엇보다 이 장면은 가족 때문에 원하는 것을 포기할 수밖에 여성의 삶이 지금도 반복되고 있다는 현실을 매우 영화적으로 보여줍니다. 


극 중에서 김지영이 말하는 자신을 둘러싼 ‘벽’은 여성이고, 엄마이기 때문에 겪는 한계입니다. 그 벽은 엄마가 ‘미숙’으로 불리던 시절부터 겪었던 것이죠.지금은 지영이가 겪고 있고요. 어쩌면 지영의 딸 아영이가 나중에 엄마가 된다면 또 겪게 될지 모르는 일입니다. 지영이의 목소리를 통해 나타난 외할머니도 정도가 다를 뿐 비슷한 상황이었겠죠.

〈82년생 김지영〉은 원작처럼 연대기적인 방식으로도 같은 이야기를 할 수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82년생 김지영〉은 ‘미숙아, 그러지 마…’란 한 줄의 대사로 훨씬 더 감정적인 장면을 만들어 이야기를 전합니다. 문학적인 상상력이 원작 소설보다 더 돋보이는 장면이라고 할까요? 나중에 다시 본다면, 또 다른 감정이 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coen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