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대농 복기(復棋)] 역시 농구는 '가드'와 '센터' 놀음

조회수 2021. 5. 6. 15:58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사진 제공 - 대학농구연맹)

[KUSF = 이정엽 기자] 고려대가 천신만고 끝에 성균관대를 꺾고 4강 진출에 성공했다.


고려대학교는 2일(일) 서수원칠보체육관에서 열린 2021 KUSF 대학농구 U-리그(이하 U리그) 1차 대회 6강전 제 2경기 성균관대학교와의 경기에서 종료 직전 터진 박무빈의 결승 자유투에 힘입어 85-83으로 승리를 거뒀다.


이날 결과로 고려대는 4강 진출에 성공해 5월 3일 오후 5시 숙명의 라이벌 연세대와 결승 자리를 놓고 다툰다.


고려대는 평소와 다른 스타팅 라인업을 들고 나왔다. 본래 2명의 가드, 2명의 포워드, 1명의 센터를 세웠던 것과 달리, 4명의 가드를 투입하는 파격적인 라인업을 기용했다. 의도는 분명했다. 성균관대의 기동력을 제어하기 위함이었다.


(사진 제공 - 대학농구연맹)

부진했던 4학년, 약점을 드러내다.


조별예선에서 고려대를 이끈 선수는 단연 정호영(188cm, G)과 신민석(198cm, F). 주장과 부주장 역할을 맡고 있는 이들은 코트 안에서 솔선수범하며 공격의 중심이 되었다. 특히 슈팅에 일가견이 있는 두 선수는 매 경기 많은 3점슛을 기록하며 조별 에선 3연승에 공헌했다.


하지만, 성균관대와의 6강 경기. 이들은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먼저 정호영은 강한 압박에 흔들리는 모습. 성균관대가 갑작스럽게 강하게 프레스를 붙자 많은 실책이 나왔다. 이번 경기에서 무려 6개의 실책을 범했다. 고학년답지 않은 모습. 특히 마지막 상황에서도 공격 상황에서 치명적인 턴오버를 허용하며 동점의 빌미를 내줬다.


이와 더불어 더 아쉬웠던 부분은 슈팅력과 마무리 능력이었다. 본인의 장점을 잘 살리지 못한 활약이었다. 3점슛 성공률 14%로 부진했고, 운동 능력을 이용한 드라이브 인도 마무리가 잘 되지 않았다.


신민석 역시 마찬가지. 정호영보다 존재감이 더 떨어졌다. 본래 3번 포지션을 보는 그는 매치업 상대가 가드 포지션의 선수가 나오자 스피드를 쫓아가지 못했다. 수비, 트랜지션 상황에서 많은 실점을 허용했다.


그렇다고 공격이 된 것도 아니었다. 신장의 우위를 살리지 못했다. 하윤기, 이두원이라는 센터 자원이 있음에도 자신 있게 슛을 시도하지 못했다. 드라이브 인 능력이 부족하다보니 상대가 붙는 수비를 펼쳤는데, 이를 쉽게 이겨내지 못했다.

(사진 제공 - 대학농구연맹)

농구는 가드와 센터 싸움


농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두 포지션을 꼽으라면 포인트 가드와 센터다. 두 포지션 모두 팀의 중심을 잡고 있고, 볼을 가장 많이 소유하는 포지션이기 때문.


프로농구만 봐도 그렇다. 리그 최고의 가드 양동근(은퇴)과 센터 함지훈(울산 현대 모비스)을 보유했던 모비스는 3연속 우승 등 5번의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비록 SK가 포워드 농구를 통해 2017-18 시즌 우승을 차지한 적이 있지만, 이 역시도 김선형(서울 SK)과 제임스 메이스라는 리그 정상급 가드 자원과 센터 자원을 보유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가드와 센터의 중요성은 프로에서보다 대학에서 더 잘 나온다. 대학농구 출범 초기, 중앙대는 김선형과 오세근(안양 KGC 인삼공사) 콤비를 앞세워 우승을 차지했고, 경희대 역시 김민구(울산 현대 모비스)와 김종규(원주 DB)의 역할이 컸다. 고려대 왕조 역시 김낙현(인천 전자랜드)과 이종현(고양 오리온), 그리고 가장 최근인 연세대 역시 박지원(부산 KT)와 한승희(안양 KGC 인삼공사) 듀오가 우승에 앞장섰다.


이날 경기를 승리로 이끈 선수도 포인트 가드 박무빈(187cm, G)과 하윤기(203cm, C)였다. 박무빈은 경기 초반부터 해결사 역할을 자처했다. 상대보다 우위에 있는 피지컬을 앞세워 적극적으로 림어택을 가했다. 최근 외곽슛에도 자신감이 생기면서 거침없이 슛을 시도했고, 이는 성공으로 이어졌다. 그는 1쿼터에만 11점을 기록했다.


이후에도 박무빈의 활약은 이어졌다. 지칠 법도 했지만, 꾸준히 득점을 추가했다. 득점만 한 것도 아니었다. 굉장히 적극적으로 리바운드 싸움에도 가담했다. 예선 2차전이 끝난 후 인터뷰에서 ‘문정현의 공백을 여러 선수가 조금씩 메우고 있는데, 나는 리바운드를 더 적극적으로 들어가고 있다’라는 말을 그대로 실천했다. 특히 공격 리바운드를 무려 6개나 잡아냈다. 그리고 이는 득점으로 연결되는 선순환이 이어졌다.


83-83 팽팽한 경기가 이어지는 상황. 경기를 끝낸 것도 박무빈이었다. 성균관대 이현호(180cm, G)의 파울을 유도해냈고, 자유투를 침착하게 2개 모두 성공시켰다. 이후 마지막 순간 수비 상황에서 공격 리바운드를 내줬지만, 이현호의 슈팅을 막아내면서 팀의 4강행을 결정지었다. 이날 박무빈은 31득점 11리바운드 5어시스트를 기록했다.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모두 팀 내 1위였다.


박무빈과 달리 하윤기는 승부를 결정짓는 4쿼터에 빛났다. 경기 초반 성균관대 센터 최주영(205cm, C)을 상대로 우위를 점했지만, 상대의 트랩 수비를 의식한 듯 적극적으로 골밑을 파고들지 못했다.


하지만, 4쿼터 초반 하윤기의 노련함이 빛났다. 최주영을 파울 트러블로 몰았던 그는 7분여를 남기고 5파울로 아웃시키며 상대의 골밑을 휑하게 만들었다. 이후 성균관대의 골밑은 하윤기의 놀이터가 됐다. 그는 4쿼터에만 무려 14득점을 올렸다. 승부처에서 집중력을 발휘하며 자유투도 대부분 성공시키는 침착함을 보였다. 결국 하윤기 역시 20득점을 채우며 총 20득점 9리바운드 3어시스트를 기록하며 경기를 마무리했다.


고려대와 달리 성균관대는 포인트 가드 조은후(188cm, G)와 센터 최주영이 부진했다. 높이 싸움에서 위축된 그들은 도합 9득점 9리바운드 3어시스트밖에 기록하지 못했다. 2학년 김근현(190cm, G/F) 30득점을 폭발시키는 깜짝 활약을 펼쳤지만, 패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였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