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부부사이 멀어지게 만든다는 사소한 '이것'

조회수 2020. 7. 26. 09:09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서로 얼마나 통한다고 생각하세요?

소통을 다루는 프로그램에서 30년을 함께한 부부들을 초대해 질문했습니다.


“서로 얼마나 통한다고 생각하세요?”

“그래도 한 30년 살았는데, 얼추 알지 않을까요?”

“그래도 매일같이 한 이불 덮었는데, 그 속 모르겠어요?”

제작진은 부부끼리 사용하는 몇 개의 대화 문장을 주고,

화살표한 문장이 어떤 의미로 사용된 것 같은지를

보기에서 선택하는 시험지를 내주었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거죠. 

문제 1.

“여보, 우리 이번 주에 여행가기로 했는데 회사에 일이 생겨서 나가봐야 할 것 같아. 어쩌지?”

=> “응. 알았어요.”

1) 화가 나서
2) 아무런 감정 없이
3) 진심으로 이해해서
문제 2.

=> “여보, 오늘 일찍 들어와.”

1) 일상적인 날에 하는 말투로
2) 특별한 날을 기념하자는 의미로
3) 만날 늦는 남편에게 좀 일찍 들어오라는 의미로

총 열 문제를 풀고 나서 채점을 시작합니다.

남편에게 먼저 묻습니다.


“부인이 몇 개 맞힐 것 같으세요?”


“그래도 일곱 개는 맞히지 않을까요?”


먼저 남편이 어떤 답을 적었는지를 불러가며 부부의 일치도를 확인해보았습니다.


1번에 3번, 2번에 1번…


채점을 하던 부인이 자꾸만 웃습니다.

시험지를 가리면서 부끄러워하는 것 같더군요.


“몇 개 맞히셨어요?”


“세 개요.”


남편 얼굴이 일그러집니다. 

“서운하세요?”


“아니, 뭐 서운할 것까지는 없지만. 그래도 30년인데….”


이미 얼굴에는 서운함이 가득합니다.

그러면 이번에는 역할을 바꾸어볼까요?


다른 부부를 대상으로 부인의 답을 남편이 얼마나 맞혔는지 봅니다.


“몇 개 맞히셨어요?”


“하하하. 저도 세 개요.”


오히려 그날 처음 대면한 낯선 이는 일곱 개를 맞혔습니다.

 

잘 모르니까 상대의 분위기를 더 살피고,

자주 사용하는 어휘와 말투를 유심히 듣고, 

숨어 있는 의미를 깊이 생각한 덕분이겠지요. 


우리는 가까운 사람들이니까 더 잘 안다고 생각합니다. 

그 속에 열두 번도 더 들어갔다 나왔다고 하잖아요.

그런데 정말 그럴까요?


잘 모른다고 생각해야 노력이라도 하게 됩니다.

그러니까 잘 모른다 생각하세요.

이 이야기는 책 <슬기로운 언어생활>에 나오는 콘텐츠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모든 것을 잘 알고 있는 것이 슬기로운 것이 아닙니다. 


잘 모른다고 생각할 때 우리의 슬기로움은 더욱 커집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