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환자 50명을 1명이 돌봤을 때 벌어진 참상

조회수 2020. 9. 13. 09: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화가 난다

1970년대 미국.


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뉴욕의 윌로브룩 주립병원 안에서 벌어진 끔찍한 참상을 폭로했다.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극심한 지적 장애가 있는 환자 약 50명을 단 한 명이 돌보고 있었던 것.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이게 얼마나 심각한 취급이었냐면, 밥을 먹일 수 있는 시간이 한 명당 하루에 3분밖에 안 된다는 것이었다.


이곳에 입원해 있는 환자들은 대부분 스스로 밥을 먹지 못하는 사람들이었음에도.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제대로 된 관리 없이 방치된 것과 다름 없던 처참한 당시 상황을 이렇게 회상하는 이도 있었다.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벌거벗고 자신의 분뇨를 묻힌 채 바닥에 누워서 측은한 소리를 내고 있었죠. 애절한 통곡과 같던 그 소리를 잊을 수가 없습니다. 정말 충격적이었어요. 어떻게 그럴 수 있나 싶었죠."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이처럼 끔찍한 사건이 벌어지게 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그건 당시 누구도 관심 두지 않았던 장애인 인권에 대한 인식 때문이었다.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대중교통을 통한 이동은 거의 불가능했던 시대. 경사로 하나 설치해 달라는 요구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거절당했던 시대.


이처럼 1970년대 미국 사회에서 장애인들은 차별 받는 존재였다.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그런데 놀랍게도 의외의 곳에서 인권 운동에 대한 불씨가 피어오르게 된다.


바로 캠프 제네드에서다.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당시 장애를 가진 10대들을 한자리에 모았던 캠프 제네드.  이 캠프에서 강조된 가치는 자유로움이었다.


남의 눈치 보지 말고 한 번 신나게 놀아보자고 모인 이 캠프가 어쩌다 장애인 인권운동의 시초가 되었을까?


그 이유는...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친구를 사귀는 것도, 사랑을 나누는 것도, 장애인이라서 따라오는 편견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할 수 있었던 곳이었기 때문.


이 캠프가 장애인들에게는 그동안 억압된 자아를 찾고, 자존감을 찾게 된 계기였다는 것이다.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그중에서도 지도 교사였던 주디 휴만은 캠프를 다녀온 후 적극적인 행동에 들어가기도 했다.


사회에 만연했던 불평등을 인지하게 됐고, 그것에 맞서 싸우기로 한 것.


특히나 이 법에 집중했다. 재활법 504조, 차별 금지 조항.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여기에 '연방 자금을 쓰는 병원과 교육기관 교통수단 등에서 차별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명시하고자 노력했다.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주디 휴만의 노력에도 재활법 504조는 제대로 시행되지 않았다.


정치인들이 약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기 때문. 이번에도 역시나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에서였다.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이때 힘을 모은 것이 바로 캠프 제네드 참가자들이었다. 정부 건물 앞에서 점거 농성에 들어가는 등 적극적인 행동을 펼친 것이다.


약 한 달 동안의 점거 농성. 캠프 참가자 외에도 수많은 장애인들이 함께했다. 이것이 바로 1977년 일어난 '섹션 504 쟁취를 위한 점거 운동'이다.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긴 투쟁 끝에 정치인들도 손을 들었다. 마침내 얻어낸 장애인의 권리.


그건 휠체어를 탄 사람도 공공건물에 접근할 수 있으며, 도시 어디든 도로를 통해 자유롭게 다닐 수 있고, 버스나 열차를 탈 수 있는 권리였다.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비장애인들이 너무나 당연히 여기는 평범한 일상인 버스나 열차를 탈 권리와 모든 공공시설에 들어갈 권리. 이 기념비적인 법안의 통과는 확실히 보여줄 것입니다. 미국 정부는 더는 국내 최대 소수 집단에 동등한 기회가 거부되는 걸 허용하지 않겠다는 사실이요. 이보다 못한 것은 부도덕한 것입니다."(주디 휴만)
출처: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이 같은 기본적인 권리를 얻기 위해 오랜 시간 투쟁해야 했던 이들.


장애인 민권운동 시초였던 캠프 제네드부터 한 나라의 법을 바꾸기까지 뜨거웠던 역사를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로 만나 보시길 바란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