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 본문
이런 삶, 진정한 플렉스가 아닐까.
외제차 핸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쾅쾅 내리치면서 눈물 흘리는 삶, 명품 핸드백 흠집 날 거 1도 신경 안 쓰고 바닥에 집어 던지면서 엉엉 울 수 있는 삶, 한강 보이는 자가 아파트에서 고독에 잠겨 눈시울을 붉힐 수 있는 삶.
앞뒤 맥락 다 빼고 딱 그 장면만 보면 한 번 그렇게 살아보고픈 삶이긴 하니까.

그리하여 준비해 본 대리만족 시간이다.
외제차 핸들 쾅쾅 내리치면서 우는 사람, 럭셔리 하우스에서 허전함과 그리움에 잠 못 이루는 사람을 에디터N이 실제로 발견했단 말이지.
드라마 속에서 찾아본 플렉스한 순간들, 바로 이것이다.

"나도 외제차 핸들 쾅쾅 치면서 울고 싶다."
비싼 것은 억대를 호가한다는 외제차 B모 브랜드. 그런 차를 그냥 소유하는 것만으로는 저 소원을 이룰 수 없다.
외제차 따윈 아무것도 아니라는 듯이 핸들을 쾅쾅 내리치면서 엉엉 울 수 있을 정도는 되어야, 플렉스한 삶이라 말할 수 있는 거다.

유사한 예1 "나도 다정다감 남편이 딱 한 번 내 편 안 들어줬다고 삐져서 고급 세단 핸들 쾅쾅 치면서 울먹이고 싶다."
(이 경우, 고급 세단 플러스 '다정다감한 남편'도 반드시 있어 줘야 성립.)
유사한 예2 "나도 외제차 액셀 거칠게 밟으며 평일 낮 한강 다리 건너고 싶다."
(이 경우 주의사항, 퇴근 시간 꽉 막힌 강남대로 말고 꼭 여유로운 평일 낮 한강 다리여야만 함.)

"나도 방 다섯 개 혼자 다 쓰는 럭셔리 하우스에서 외로움과 그리움에 잠 못 이루며 뒤척이고 싶다."
혼자 살 때면 문득 찾아오는 외로움 그리고 그리움.
이왕 자취하면서 외로움을 느낄 것이면 이 집이 좋겠다. 자는 방, 서재, 운동하는 방, 손님방, 그냥 비워두는 방까지 무려 방 다섯 개 딸린 럭셔리 하우스가.

유사한 예1 "나도 한강뷰 자가 아파트에서 화려한 야경을 배경으로 한껏 슬픔에 잠기고 싶다."
"나도 오빠랑 치킨 닭 다리 두고 싸우는 거 말고 회사 지분 가지고 싸우고 싶다."
어차피 현실남매 사이가 다 싸움의 연속이라면 다음번엔 이런 싸움을 기대해 보겠다.
이제 제발 치킨 닭 다리 서로 더 먹겠다고 싸우지 말자. 제발 부모님이 물려주실 회사 지분 가지고 한 번 제대로 싸워보자(?).
유사한 예1 "나도 호텔 로비 레스토랑에서 다 먹지도 않을 브런치 잔뜩 시켜 놓고 엄마한테 멀쩡한 집 놔두고 왜 1년 내내 호텔에서 지내냐고 뭐라고 하고 싶다."
모녀 사이도 마찬가지다. 어차피 아웅다웅할 현실 모녀 사이라면, 일단 호텔 로비 레스토랑에서 만나고 싶은 마음. 먹지도 않을 브런치 시켜놓고 본격적으로 이야기를 나눠보자고.

"나도 고급 레스토랑에서 반도 못 먹은 스테이크 버려두고 눈물 흘리면서 뛰쳐나가고 싶다."
특별한 날 마음먹고 가게 되는 고급 레스토랑.
하지만 스테이크값 따윈 생각 않고 싶다. 반도 못 먹었다고 해도 상관없다. 화가 나면 화가 나는 대로 비싼 고기 두고 뛰쳐나가 울 수 있는 삶, 정말 원하고 있으니까.
유사한 예1 "나도 고급진 레스토랑에서 혼자 앉아서 한껏 고독에 잠기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