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식용유인 '카놀라유'의 뒷얘기

조회수 2018. 4. 16. 16:01 수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지난해 찾아간 마시씨의 귀리 밭은 언뜻 보기에 여느 유기농 농장과 다르지 않았습니다. 


그 해 11월 마시씨는 농장 울타리를 고치다가 유전자변형 카놀라 씨앗을 발견했습니다.

20m 떨어진 이웃 농가에서 날아온 것이었죠.

(마시씨가 유기농 인증 농장임을 표시하기 위해 세웠던 표지판)

유기농 인증기관은 NASAA는 마시씨의 농장 479ha중 70%에 대해 인증취소했습니다.

마시씨는 유전자변형 카놀라를 기른 이웃 농부에 대해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냈습니다.

세계 최대 유전자변형 종자 기업몬산토는 자사의 씨앗을 사용한 이웃 농부의 소송비용지원했습니다.


마시씨의 소송비용을 지원하기 위해 안전식량재단(SFF)이라는 시민단체에서 모금을 했고  

마시씨는

만약 내가 키우는 양이 다른 곳에서 해를 끼친다면 내가 보상해주는 게 관습법인데 유독 유전자변형작물에선 이 원칙부정한다"

고 반발했습니다.

만약 내가 소송에서 이겼다면 유전자변형작물 씨앗을 판 회사는 주위에서 넘어온 유전자변형작물로 피해를 입은 모든 곳에 배상해야 했을 것"

이라며

그게 내가 이길 수 없었던 이유"

라고 억울해 했습니다.

출처: @ASSY

유전자변형 카놀라 재배 면적은 계속 늘어났고 유전자변형 카놀라가 이웃 농장으로 날아가 피해입히는 일잦아졌습니다. 토종 작물의 씨를 말릴 수 있다는 우려도 높아졌죠. 

식품업계에서는 유기농 카놀라유를 생산하면 가격인상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이런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유전자변형작물은 전 세계 곳곳에서 바람, 곤충을 통해 생태계로 유출됐습니다. 유전자변형작물 섭취가 인체에 유해한지 여부를 떠나 유전자 변형작물 오염은 소비자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유기농 식품을 섭취할 권리침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도 스티븐 마시씨와 비슷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지난해 5월 강원도 태백 유채꽃 축제장에서 미승인 유전자변형 카놀라 종자발견됐습니다. 이 역시 몬산토사의 카놀라였습니다.

공식적으로 유전자변형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한국에서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한 걸까요?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월부터 수입된 중국산 유채 종자79.6t 32.5t에 유전자변형 카놀라가 혼입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국립환경과학원 조사에 따르면 2009~2012년에 이런 식으로 유전자변형작물이 유출된 곳국내 47개 지역에 달합니다. 한국도 안전지대가 아닌 셈이죠.

그래서 호주엔 수십년 전부터 토종 씨앗을 모아 온 사람들이 있습니다. 지난해 호주 바이런 베이에서 만난 시드세이버스네트워크(Seed Savers Network) 창립자 미셸 팬톤씨와 아내 주드씨 부부.

그들은 1986년 호주 정부가 외래종 씨앗 도입 허용 법안을 만들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농부들에게 "편지씨앗을 담아 교환하자"고 제안했습니다.

토종 씨앗의 독자성을 지키며 널리 재배하려는 아날로그적인 방법이었죠.

팬톤씨는

그동안 9000가지의 샘플 씨앗을 받았다"
콩의 경우 우리는 800종류를 갖고 있다"

고 말했습니다.


팬톤씨는 

기후는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씨앗은 세대를 거듭하면서 한 지역의 기후에 적응해 나가는데 계속해서 씨앗을 심어야 씨앗이 날씨의 변화기록할 수 있다"

고 설명했습니다.

팬톤씨는

전쟁 후 재건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종자회사들이 들어간다"
그 전에 해당 지역을 찾아 토종 씨앗을 보존하고 서로 나눌 수 있도록 해야 했다"

고 했습니다. 토종 씨앗 보존이 더 중요해지는 이유는 유전자변형작물이 계속 확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유전자를 변형한 소수의 씨앗만 사용하면 특별히 취약한 질병이 도래했을 때 종 자체전멸할 우려도 있습니다.

팬톤씨는 한국 농부들도 토종 씨앗을 기르고 서로 연결돼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그는

소규모 농부들만이 이런 움직임을 시작할 수 있다"
이미 일본과 대만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자연친화적 농부들이 씨앗을 교환하고 있다"

고 소개했습니다.


▼더 많은 영상과 취재의뢰는 이곳으로!▼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