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색한 한자어를 바로잡기만 해도 글은 달라진다

조회수 2017. 10. 24. 22: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어려운 말로 설명하거나 무게 잡지 않고, 그야말로 편안하게 지극히 실질적으로
“음악에 도무지 소질이 없고 음악 지식도 별로 없는 나는 이 책을 준비하기 전까지 모짜르트의 오페라 <마적>이 ‘말을 탄 도적 떼’인 줄 알았다. 제임스 조이스의 소설을 읽어 본 일이 없는 나는 도서관 서가에서 <사자들>이 보일 때마다 ‘사자처럼 용맹한 투사들’을 떠올렸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를 여적 읽어 보지 않았는데, 그 뜻을 알기 전에는 ‘신통방통한 영웅들의 이야기’인 줄 알았다. 다 같은 한국어인데 왜 이리 어려운가. 독자가 헷갈릴 수 있는 여지를 번역자가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다.”

자꾸 인용하게 된다. 글쓰기 강사 이강룡이 쓴 『번역자를 위한 우리말 공부』(유유, 2014)는 그렇게나 훌륭한 책이다. 어려운 말로 설명하거나 무게 잡지 않고, 그야말로 편안하게 지극히 실질적인 예를 들면서다.


위에서 얘기한 걸 들으며 나는 몇 번씩이나 무릎을 쳤는지 모른다. 수없이 고개를 주억거리기도 했다. 계속 되는 그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모차르트 오페라 <마적> :  <마술 피리>

제임스 조이스의 소설 <사자들>:  <죽은 자들>

헤시도오스의 <신통기> : <신들의 계보>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 <등대로>:  <등대를 향해>

한자어나 개념어나 명칭을 만들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었지만 원뜻을 쉽게 드러내지 못한다면 무용지물이다. 읽었을 때 뜻이 드러나지 않는 한자어가 있다. 이것을 자주 쓰는 한자어를 활용해 알기 쉽게 바꾸는 게 한자어 번역의 출발이다.


‘미필적 고의’를 일상 의사소통에서 ‘고의적 묵인’이나 ‘방치’나 ‘회피’나 ‘외면’ 등으로 바꿔 쓰면 원뜻의 본질이 더 잘 드러난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나쁜 화폐가 좋은 화폐를 몰아낸다’로 고치면 조금 더 나아진다. 


‘노견’은 단순하게 ‘길 어깨’라고 직역하기보다 ‘갓길’이라고 의역하는 게 낫다. 갓길을 주로 일컫는 말인 ‘길섶’도 좋은 표현이다. ‘공자는 은인이다.’라는 문장보다는 ‘공자는 은나라 사람이다’로 풀어 쓰는 게 훨씬 의미전달이 잘 된다.


미필적 고의 –> 고의적 묵인, 방치, 회피, 외면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 –> 나쁜 화폐가 좋은 화폐를 몰아낸다

노견 –> 직역하면 ‘길 어깨’지만 어색하다. –> 갓길, 길섶

공자는 은인이다 — 공자는 은나라 사람이다.



외래어 남용의 문제


드라마틱한 스토리 –> 극적인 이야기

랭킹 리스트 –> 순위 목록

마트에서 쇼핑을 하다 –> 대형 유통 매장에서 장을 보다

아이러니한 운명 –> 얄궂은 운명

앵커의 클로징멘트 –> 진행자의 끝인사

업데이트된 데이터 –> 갱신 자료

업그레이드되다 –> 발전하다

오버액션하던 시대 –> 지나치게 반응하고 행동하던 시대

이벤트를 오픈하다 –> 행사를 열다

점프하다 –> 도약하다

체크하다 –> 확인하다

커버하다 –> 아우르다

프로모션 프로젝트 –> 판촉 기획

땡땡이 무늬 –> 물방울 무늬/ 점박이 무늬

(참고로, 땡땡이는 일본어 ‘덴덴(点点)에서 온 말이다.)

출처: soonukk.com
이강룡의 <번역자를 위한 우리말 공부>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